칼럼&기고 - 평범한 일상과 업무 속에서 새로운 문제의식을 찾아가는 것의 중요성
조회 수 315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인쇄 첨부

<2023힌츠페터국제보도상 수상자 국제교류행사 참여기>

평범한 일상과 업무 속에서 새로운 문제의식을 찾아가는 것의 중요성

6면_이현일_힌츠페터 교류행사1.jpg

 누군가 ‘왜 기자가 되었는가?’라며 고리타분할지도 모르는 질문을 한다면, 그래도 마음 한 편에 고이 모셔둔 ‘사회에 보탬이 되는 사람이 되고자...’라는 생각을 한다. 매일 반복되는, 어찌보면 지루한 출퇴근과 취재 속에서 ‘2023힌츠페터국제보도상’ 수상자들과 함께하는 국제교류행사에 참여할 기회를 얻게 되었고, 이를 통해 기자라는 직업에 대해 다시 곱씹어보게 되었다.

 영상기자라면 누구나 두렵기도 하지만 전쟁취재 현장에 가보고 싶은 마음이 있을 것이다.

 ‘뭔가 대단한 일을 해보고 싶다.’는 갈망 때문이 아닐까?

 이번 힌츠페터국제보도상 수상자들은 이를 일선에서 실현한 당사자들이기에 어떤 사람들일지 호기심과 기대를 안고 만나러 갔다. 하지만, 호텔 로비에서 처음 마주한 수상 기자들의 모습은 여느 외국인 관광객과 다르지 않아 보였다. 거칠고 강인한 외모의 사람들이라고 나도 모르게 예상하고 갔기에 의외였다. 또, 함께 서울의 명소를 다니며 본 그들은 관광지에서 즐겁게 사진을 찍으며, 한국의 음식 맛보고 행복해하는 당연하게도 평범한 여행자들일 뿐이었다.

 수상자들과 함께 서울투어를 진행하며, 한국의 일상을 보여주기 위해 대중교통을 이용하였다. 직접 교통카드를 사서 지하철을 탑승하였고, 가까운 거리를 이동할 땐 도보로 이동하였다.

 그러던 와중 한 수상자가 나에게 이런 질문을 했다.

 ‘한국 사람들은 조용한 것 같다. 그게 맞나. 맞다면 왜 그런가?’ 였다. 별 질문이 아닌 것 같았지만, 머리를 한 대 맞은 것 같은 기분이었다.

 ‘뭐라고 설명해야할까?’ 생각했지만, 먼저, 나는 내가 한국 사람들의 일상적인 모습에 대해 평소 어떻게 보았으며, 어떻게 생각하는지 고민해봐야 했다. 수상자들이 엿본 한국 사람들의 일상은 정신없이 바쁘고 무표정하게 어디론가 향하는 모습이었을 것이다. 또한, 핸드폰만 바라보며 주변과 단절되어 있는 모습이기도 했을 것이다. 

 그래서, ‘그냥 사람들이 바뻐서 그래 보이는 거 아니었을까요?’라며 적당히 둘러댔다.

 수상자들은 일상 속에 존재하는 특별함을 찾아 포착하였고, 이에 대해 문제를 제기했다. 이들과 대비해보니 나는 그동안 내 자신과 내 주변에서 일어나는 일들과 문제들에 대해 많은 관심을 갖지 않고, 너무나 소극적으로 바라보며 살아오고 있었던 것은 아닌지 하는 생각이 오버랩되어 창피한 생각이 들었다.

 전쟁과 극한의 위험상황을 취재하고 경험했던 기자들을 만나, 그들이 가진 대단한 점을 배우면 좋겠다는 생각으로 이번 힌츠페터국제보도상 교류행사에 참여했다. 하지만, 그들과 함께 한 짧은 시간동안, 가장 크게 느낀 것은 일상의 삶과 반복되는 취재 속에서 만나는 모든 것들을 다르게 바라보고 살피는 문제의식을 갖는 것이 내가 바랐던 ‘세상을 놀라게 할 대단한 보도’의 시작점이 된다는 것이었다.

이현일 / JTBC JTBC_이현일.png




  1. 2024년, ‘오늘을 역사로 기록하는 영상기자’

    2024년, ‘오늘을 역사로 기록하는 영상기자’ 몇 년 전 진로를 고민하는 청소년과 청년들을 대상으로‘영상기자’라는 직업을 소개하는 책을 쓴 적이 있습니다. 탈고를 마칠 즈음, 책의 제목을 어떻게 지어야 할까 고민했습니다. 뉴스 현장의 최일선에서 이 시...
    Date2024.12.20 Views124
    Read More
  2. 영상 기록, 내란을 막아 내다

    영상 기록, 내란을 막아 내다 12월 3일 오후 10시 30분, 비상계엄 포고령이 공표되던 순간, 머릿속이 새하얘졌다. 그날 포털 뉴스 댓글 창은 다 막힌 데다 네이버 카페와 여러 온라인 커뮤니티도 먹통이었다. 계엄을 실감했다. 인터넷도 끊길 수 있다는 생각에...
    Date2024.12.19 Views111
    Read More
  3. [힌츠페터국제보도상 특집상 수상소감] 통제와 탄압을 뚫고 기록한 이란여성들의 ‘생명과 자유’를 위한 저항

    “인사이드 이란 : 자유를 위한 투쟁” - 통제와 탄압을 뚫고 기록한 이란여성들의 ‘생명과 자유’를 위한 저항 ▲2024힌츠페터국제보도상 특집상 수상자 게스빈 모하메드(글) 언론인으로서, 우리는 참으로 모순적인 시대에 살고 있습니다. 클릭 한 번으로 필요한...
    Date2024.12.19 Views82
    Read More
  4. [힌츠페터국제보도상 대상 수상 소감] 팔레스타인의 기자들도, 전쟁만을 담고 싶지는 않습니다.

    "가자로부터 온 목소리" -팔레스타인의 기자들도, 전쟁만을 담고 싶지는 않습니다 ▲ 2024 힌츠페터국제보도상 대상 수상자 모하메드 사와프 (글) 전쟁의 그림자가 짙게 드리워진 나의 도시. 이웃들이 타겟이 되고, 도망칠 곳조차 없이 그 다음 목표는 나와 내 ...
    Date2024.12.19 Views45
    Read More
  5. 영상기자 여러분, 새 역사의 증인이 되어주시길 바랍니다!

    영상기자 여러분, 새 역사의 증인이 되어주시길 바랍니다! 우리 사회가 오랫동안 힘겹게 만들고 지켜온 공적방송과 이를 움직이는 시스템이 급속히 무너져 내리고 있습니다. 일반시민으로서, 시청자의 한 사람으로서, 멀리서 이 모습을 지켜보는 것만으로도 천...
    Date2024.08.28 Views143
    Read More
  6. <영상보도가이드라인> 지키지 않을 이유가 없다

    <영상보도가이드라인> 지키지 않을 이유가 없다 올해로 ‘영상기자상’ 심사 4년차가 되었다. 심사위원으로서의 소감을 밝히자면, 정말 즐겁고 보람찬 일이 아닐 수 없다. 그냥 하는 말이 아니고, 진심이다. 영상보도를 ‘뉴스현장 속에서 피어난 꽃’이라고 한 서...
    Date2024.05.08 Views327
    Read More
  7. 취재를 잊은 언론, 진실을 숨긴 언론

    [뉴스VIEW] 취재를 잊은 언론, 진실을 숨긴 언론  #장면1. 11월 22일 우리 대통령이 영국 다우닝가 10번지 총리 관저를 패스해 홀로 직진하는 장면이 생중계되었다. 현장 외신 기자들은 “어디로 가는 거야?”, “이거 다 촬영했지?”라며 웅성거렸다. 영국 언론...
    Date2023.12.21 Views404
    Read More
  8. 체르노빌의 기자들을 잊지 않은 한국에 감사

    <키이우에서 온 편지> 체르노빌의 기자들을 잊지 않은 한국에 감사 ▲유리 볼다코프 ▲아나스타샤 리지나 (유리 볼다코프의 손녀)  친애하는 조직위원회와 여러분, 우크라이나 키이우에서 인사드립니다. 저는 오월광주상 수상자이신 유리 볼다코프, 할아버지 ...
    Date2023.12.21 Views297
    Read More
  9. 평범한 일상과 업무 속에서 새로운 문제의식을 찾아가는 것의 중요성

    <2023힌츠페터국제보도상 수상자 국제교류행사 참여기> 평범한 일상과 업무 속에서 새로운 문제의식을 찾아가는 것의 중요성  누군가 ‘왜 기자가 되었는가?’라며 고리타분할지도 모르는 질문을 한다면, 그래도 마음 한 편에 고이 모셔둔 ‘사회에 보탬이 되는...
    Date2023.12.21 Views315
    Read More
  10. 영상기자, 한국과 국제사회에 대한 이해를 넓히게 된 행복한 시간

    <2023힌츠페터국제보도상 통역 자원봉사 참여기> 영상기자, 한국과 국제사회에 대한 이해를 넓히게 된 행복한 시간  언론 쪽으로 관심이 많고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부에 재학 중인 저에게 2023 힌츠페터국제보도상은 제 꿈에 한발짝 더 다가갈 수 있게 만든 ...
    Date2023.12.21 Views256
    Read More
  11. 내가 사랑한 영화 '냉정과 열정사이'

    [프레임 밖에서] - 영화 추천 내가 사랑한 영화 '냉정과 열정사이'  극장으로 가는 발걸음에 묘한 설레임과 두려움이 교차했다. 영화를 보러 가며 이런 감정을 느껴본 적이 있었던가? 마치 오래전 첫사랑을 재회하듯, 기대감과 실망감 언저리의 정의할 수 없...
    Date2023.12.20 Views493
    Read More
  12. 건강을 위해 하루 자전거 한알

    건강을 위해 하루 자전거 한알  제 취미는 자전거 타기입니다. 올해로 자전거를 탄 지는 꼭 십 년이 되었습니다. 강인하고 날렵한 신체. 현장을 누비는 영상기자에게 미덕이자 사명에 가깝다는 지론 속에 건강과 체력을 지키기 위해 시작한 운동이었습니다. ...
    Date2023.11.15 Views230
    Read More
  13. [프레임 밖에서] 어떤 상황에도 "카메라를 멈추면 안 돼!"

    [프레임 밖에서] - 영화 추천 어떤 상황에도 "카메라를 멈추면 안 돼!"  "카메라를 멈추면 안 돼!” 선배가 후배를 교육할 때 하는 말이 아니다. 일본 저예산 독립영화의 제목이다. 이 영화는 약 3,000 만 원의 제작비로 300억 원이 넘는 수익을 냈고, B급 영...
    Date2023.11.15 Views255
    Read More
  14. ‘불특정 그룹 샷의 난민사진을 본 사람들, 반난민정책 더 선호’

    [영상저널리즘 연구소] ‘불특정 그룹 샷의 난민사진을 본 사람들, 반난민정책 더 선호’ - 취재윤리, 국가가 중심의 언론 통제가 아닌 현장기자들의 주체적 판단 속 정립돼야 지난 늦봄에서 이번 여름까지 캐나다 토론토와 프랑스 리옹에서 열린 두 개의 국제...
    Date2023.08.31 Views368
    Read More
  15. [뉴스VIEW] 진실을 가짜로 만드는 무소불위의 힘은 누구인가

    [뉴스VIEW]  진실을 가짜로 만드는 무소불위의 힘은 누구인가 ‘가짜’에 상을 수여한다는 희괴한 소식을 들었다. ‘자유언론국민연합’이라는 단체 주최의 ‘2023 상반기 10대 가짜뉴스 시상식 & 기념토론회’에 한국언론진흥재단이 3천만 원이나 지원한다니 ...
    Date2023.08.31 Views275
    Read More
  16. 기후변화로 달라진 기상 재난 현장. 우리는 얼마나 준비되어 있나?

    [기후취재특집]  기후변화로 달라진 기상 재난 현장. 우리는 얼마나 준비되어 있나? 현세 인류의 기원은 약 250만 년 전으로 본다. 그리고 인류는 약 249만 년을 원시인 형태로 살았다. 이유는 기후다. 약 1만 2000년 전 마지막 빙하기인 플라이스토세(Plei...
    Date2023.08.31 Views272
    Read More
  17. [프레임 밖에서] 39년 동안 화성에서 산 우주인 _ ‘오펜하이머’와 상관없는 노래

    [프레임 밖에서] - 음악 추천 39년 동안 화성에서 산 우주인_'오펜하이머'와 상관없는 노래 크리스토퍼 놀란의 새 영화 ‘오펜하이머’가 개봉됐다. 전작인 ‘인터스텔라’에서는 상대성 원리와 블랙홀, ‘테넷’에서는 앤트로피라는 과학적 개념을 영상화했는데, ...
    Date2023.08.31 Views240
    Read More
  18. [뉴스VIEW] 졸속과 파행의 공영방송 공격

    [뉴스VIEW] 졸속과 파행의 공영방송 공격   정권이 바뀌면 새로운 정책이 입안된다. 그 정책에 많은 관심이 쏠린다. 자원과 사람이 집중되기 때문이다. 정책의 종류는 다양하다. 미디어정책도 그 하나다. 정권을 잡았다고 해서 정책이 반드시 성공하는 것은...
    Date2023.06.29 Views305
    Read More
  19. 민주주의를 위한 벨라루스의 투쟁과 한국의 힌츠페터 국제보도상

    [2023 광주민주포럼 발표문 요약1]  민주주의를 위한 벨라루스의 투쟁과 한국의 힌츠페터 국제보도상  미하일 아르신스키 (Mikhail Arshynski, 제1회 힌츠페터국제보도상 '기로에 선 세계상(대상) 수상자)  루카센코 장기독재에 신음하는 벨라루스 민주주...
    Date2023.06.29 Views333
    Read More
  20. 영상을 통한 공감과 연결, 더 나은 미래의 모색

    [2023 광주민주포럼 발표문 요약2]  영상을 통한 공감과 연결, 더 나은 미래의 모색  브루노 페데리코 (Bruno Federico, 제1회 힌츠페터국제보도상 특집상 수상자)  권력과 자본이 저지른 폭력과 범죄의 고발을 위해 시작한 영상기자로서의 삶 저는 영상저...
    Date2023.06.29 Views293
    Read More
  21. 박수칠 때 떠나자: 한국 언론의 국제뉴스의 자립 선언

    [2023 광주민주포럼 발표문 요약3]  박수칠 때 떠나자: 한국 언론의 국제뉴스의 자립 선언  김성해 (대구대학교 미디어콘텐츠학과 교수)  국제뉴스를 향한 타는 목마름과 분열의 자화상: 미,영의 언론들을 통해 세계를 보아 온 한국 언론의 관성과 학습된 ...
    Date2023.06.29 Views344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Next
/ 11
CLOSE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나눔고딕 사이트로 가기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