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회 수 2707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인쇄 첨부

북한이미지의 올바름에 관하여

  
 
전 세계의 이목이 남북관계에 집중되고 있다. 남과 북의 정상이 손을 잡고 가상의 선에 불과한 국경선을 넘나드는 장면은 놀랍다 못해 충격적이었다. ‘놀랍고도 어지러운 반전’이라고 표현한 뉴욕타임즈의 논평처럼 이를 시청한 국내외의 많은 사람들은 실시간으로 생중계되는 이미지의 강력한 충격을 함께 경험했다. 같은 시간 속에서 같이 공유하는 미디어가 공통된 소속감을 불어넣어준다는 앤더슨(Anderson)의 ‘가상의 공동체(Imagined community)’가 생각나는 이 장면은 글로 된 어떤 논평보다 영상이 가진 감성적 파괴력이 크다는 점을 뉴스 속에서 보여주었다. 이미지의 힘에 대해 손탁(Sontag)은 ‘내 인생은 그 사진들을 보기 이전과 그 사진을 본 이후로 나뉜다’는 말로 이미지가 주는 강력한 영향력을 묘사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영상저널리즘은 사실의 객관적 기록자로서의 역할이 부각되고 있지만, 이미지는 결코 중립적이지 않다. 이미지가 특정한 프레임을 배제시키거나 포함시킴으로써 특정 이슈를 부각하고 사회적 사건에 대한 인식에 영향을 미친다는 영상프레이밍(Visual Framing) 관련 연구는 서구사회에서는 1970년대 이후 끊임없이 이어져온 분야이다. 이들 연구가 공유하는 지점은 이미지는 사람들의 인지와 상상력에 큰 영향을 미치고 집단의 정체성을 사회에 각인시킨다는 것이다.
 
  일례로 미국 부시 정부가 규정한 ‘악의 축’과 ‘테러와의 전쟁’의 프레임에 미국 주류 미디어가 사용한 무슬림의 부정적 이미지가 큰 역할을 했다는 연구들은 상당수의 학자들이 공통적으로 지적하고 있다. 또 이와 비슷하게 최근 난민이슈와 관련해서 미디어들이 난민들을 ‘경제적 이주민’으로 규정하고 이들의 범죄 장면을 주로 부각함으로써 이들에 대한 혐오와 공포심을 조장한다는 연구는 시리아 난민사태 이후 자주 등장하는 주제들이다. 이들 연구 모두 이미지가 특정 집단의 정체성을 사회적으로 규정하고 고정시키는데 큰 역할을 하고 있다는 점을 강조하고 있다. 
 
 영국 런던대(UCL)의 조프(Joffe) 교수는 위험이라는 추상적 감정을 미디어가 구체화하고 이를 사회화한다고 강조하고 있다. 이미지는 강하고 대체불가하다. ‘빨갛다’라는 텍스트를 설명하는 것은 또 다른 텍스트가 아니라 우리가 보아온 기억된 빨간색이듯, 이미지는 활자를 뛰어넘어 사람들의 감성에 직접적으로 작용한다.    
 
  이런 관점에서 남북정상이 일상적으로 대화를 나누는 장면은 너무 평화로워서 그 자체로 전복적이고 충격적이었다. 그 동안 뉴스에 사용된 북한의 이미지는 천편일률적이었다. 미사일과 군사력의 전시, 혹은 기아에 죽어가는 사람들이 북한 뉴스 아이템에 항상 들어가는 전형적인 이미지였다면 일상적 장면과 풍경은 거의 찾기 어려웠다. 뉴스 프레임 자체의 정치적 한계 안에서 더욱 도드라졌던 이러한 고정화된 이미지들은 북한에 대한 별다른 소스를 접할 수 없는 시민들에게 유일한 상상력의 재료들이 되어 왔다. 
 
  이런 관성적 영상의 사용이 남북관계에 대한 공론의 장에 바람직한 영양분을 제공하여 왔는지, 아니면 극단적 대결과 분열의 정치적 수사에 생명력을 불어넣어왔는지 뉴스의 영상을 담당하는 직업인으로서 이제 비판적으로 성찰해 볼 필요가 있다. 영상은 사람들의 상상력을 지배하는 사회적 산물이기에 성숙된 영상문화는 ‘영상의 올바름’이 작동하는 생태계에서 가능하다. 
 
우리는 당연함에 질문하지 않는 영상문화와 제작관행 속에서 살고 있다. 영상의 올바름에 대한 영국의 한 가지 사례는 이미지가 지니는 영향력과 사회적 쓰임에 대해 생각해 볼 지점을 준다.  2016년 칸(Sadiq Khan) 런던 시장은 여성의 마른 몸(Skinny Look)을 사용한 이미지 광고들을 공공교통시설에서 금지시키겠다고 발표했다. 살을 빼는 광고나 미용과 패션에서 사용되는 이러한 사진들은 여성의 몸을 물건처럼 대상화시킬 뿐 아니라, 여성 스스로 그런 비현실적인 몸매를 추구하도록 자극하며, 결국 여성자체를 비하한다는 메시지를 갖고 있다는 게 금지의 이유였다. 칸 시장이 이러한 결정을 내리게 된 결정적 사건은 ‘해변에 갈 몸이 완성되었어요(Beach body ready)’라는 광고였다.
 
 우리나라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여성의 몸을 사용한 광고들에 사람들이 항의를 하고, 이를 비판하는 온라인 청원에 시민들 7만여 명이 서명을 한 광경은 성형외과나 미용 혹은 운동 광고에 익숙해진 눈에는 참 생경했고, 이것을 강제하는 결정 역시 충격적이었다. 일상적으로 사용하는 이미지의 당연함에 대해 이의제기하고, 이런 주장이 공론화되고 제도화되는 과정을 바라보며 우리가 부족한 것은 영상기술이 아니라 문화가 아닐까 하는 생각을 하게 된다. 24시간 뉴스의 빠른 사이클에 맞춰 선정적인 아이템과 영상이 계속 사용 되는 악순환에 대한 반향으로 태동한 슬로저널리즘(Slow journalism)의 핵심역시 가속 페달이 아닌 브레이크에 관련된 것이다. 
 
  미디어는 끊임없이 같음과 차이를 사회에 기입함으로써 ‘우리’와 ‘그들’을 나누는 경계화 작업(Boundary work)을 한다. 취재원을 착취하지 않고, 소수자나 특정그룹 혹은 특정국가와 민족을 일탈적 존재로 만들어내지 않도록 우리는 어떤 윤리의식과 직무적 안전장치를 갖고 있는지 함께 고민해야 한다. 
 
  영상저널리즘은 미학적인 측면에 경도되어 기술적으로 세련된 화면을 만들어 내는 것에 본질이 있는 것이 아니라, 무엇을 찍지 말아야 하는지, 무엇을 사용하면 되지 않는지, 생산하는 이미지들이 사람들을 타자화(othering)하고 소외시키는지 아닌지, 취재원의 의미를 축소하고 그릇된 정체성을 규정하고 있지 않은지에 대한 정치적 윤리적 성찰에 그 핵심이 있다. 
 
  남북의 관계가 개선되어 더욱 안전하고 건강한 시민사회를 경험하는 것은 이 땅에 살고 있는 모든 시민들의 바람일 것이다. 건강하고 민주적인 공론의 장을 만들기 위해 ‘올바른 이미지들’을 사회에 제공하는 역할, 사람들의 직관과 상상력에 영향을 주는 직업인으로서 깊이 고민해야 하는 시점이다. 
  
03c5c3efa2374d0ab0f3e897f6477cdf.jpg
김우철/MBC     

  1. 아리랑 ‘영상기자’만이 갖는 독특한 영역

    아리랑 ‘영상기자’만이 갖는 독특한 영역 ▲ 아리랑국제방송 스튜디오 ‘아리랑국제방송’은 국내에서 ‘국제방송’이라는 타이틀을 가지고 방송 중인 거의 유일한 채널이다. 어느덧 개국한 지 20여년이 흘렀다. 긴 세월이 말...
    Date2019.07.02 Views521
    Read More
  2. 영상기자와 MNG 저널리즘

    영상기자와 MNG 저널리즘 ▲ 영상기자와 MNG 저널리즘 현재의 MNG(Mobile News Gathering)는 고화질 원본 영상을 HEVC 코덱(H.265)으로 압축한다. 모바일 통신망(LTE, 3G 등)을 통해 송출하는‘ 저용량 고효율’ 방식을 사용한다. 불과 1~2Mbps의 대...
    Date2019.07.02 Views1191
    Read More
  3. 기억의 상처를 안고

    기억의 상처를 안고 ▲ 한강에서 구조대원들이 시신을 수습하고 있다. 몇 날 며칠을 쉬지 않고 비가 내렸다. 시커멓게 변한 한강은 점점 수위를 높이며 주변 공원들을 삼켜나갔다. 그칠 줄 모르고 내리는 폭우에 취약시설이 붕괴되고 저지대가 침수되는 사고가 ...
    Date2019.07.02 Views436
    Read More
  4. 뉴미디어 새내기가 본 영상기자의 역할

    뉴미디어 새내기가 본 영상기자의 역할 뉴미디어 부서 생활 6개월, 이곳에 있다 보니 영상기자의 역할이 어디까지인가 고민하는 일이 잦아졌다. 물론 뉴스 영상을 책임진다는 일에는 변함이 없다. 다만 우리가 만들던 뉴스가 TV를 벗어나 여러 형태로 확장되면...
    Date2019.07.02 Views721
    Read More
  5. 나열하려는 욕망의 바닥

    나열하려는 욕망의 바닥 하루 중 일어나는 수많은 사건에 우선순위를 매기는 일은 아무나 할 수 없는, 난도 높은 일이다. 어떤 사건이 뉴스 가치가 높은가? 누가 혹은 누구의 말이 오늘 더 집중 조명될 필요가 있는가? 이 질문에 대한 해답은 개인마다 천차만...
    Date2019.05.08 Views446
    Read More
  6. 헬기 위 영상취재, 매년 반복되는 풍경

    헬기 위 영상취재, 매년 반복되는 풍경 헬기 위 영상취재 몇 달 된 이야기를 꺼내 봅니다. 지난 2월 1일, 수도권 상공에 헬기 2대가 떴습니다. 매년 한다는‘ 경찰청 설 명절 고속도로 교통상황 및 귀성길 장면 취재’를 위해서였습니다. (상황이 대...
    Date2019.05.08 Views497
    Read More
  7. 기독교계 뉴스 취재 현장의 실상

    기독교계 뉴스 취재 현장의 실상 기독교 뉴스 CBS 뉴스는 기독교계 내부의 일반적인 영역만을 다루지 않는다. 정치, 경제, 사회, 문화를 비롯한 다양한 영역에서 발생하는 이슈와 사건들이 한국 기독교계를 통해 어떻게 재해석되고 사회에 영향을 미치는가를 ...
    Date2019.05.08 Views479
    Read More
  8. 다시 찾아온 기회 그리고 설렘

    다시 찾아온 기회 그리고 설렘 2017년 4월 KBS 대전방송총국을 떠나 인구 10만의 작은 시골도시 충남 홍성으로 내려왔다. 내겐 입사 후 2번째 순환근무 지정이었다. 취재기자 2명과 영상기자 1명(나)이 7개 시, 군 지자체와 도청, 교육청 그 관련 기관들을 모...
    Date2019.05.08 Views404
    Read More
  9. 뉴스는 건축이다

    뉴스는 건축이다 국회 의사당 기본설계 자리를 지킨 건축은 시대를 증언한다. 그런 의미에서 그것은 하나의 기호다. 시간을 거슬러, 오늘도 사라지지 않고 유구히 존재한다. 건축물을 통해 인간은 과거를 기억하고 현 시점의 방향성을 얻는다. 만약 영상기자가...
    Date2019.05.08 Views411
    Read More
  10. ‘가난의 포르노’ 그리고 소수자들

    ‘가난의 포르노’ 그리고 소수자들 연말 세상은 미디어의 전쟁터이다. 크리스마스의 화려 한 조형물과 캐롤, 휘황찬란한 조명과 광고들의 홍수 사 이로 기업들은 판촉활동에 열을 올리고, 각종 미디어 기 업들은 특집 프로그램을 편성하고 시청자들...
    Date2019.03.08 Views683
    Read More
  11. 2019년, 다시 영상저널리즘을 생각한다

    2019년, 다시 영상저널리즘을 생각한다 올 한해는 나라나 회사나 나에게도 많은 일이 일어났던 한해였다. 파업으로 (내 인생의 마지막 파업이라 명명했다) 2017년의 절반을 길바닥에서 보내고 회사로 돌아오니 영상편집부장 업무가 맡겨졌다. 부서를 추스를 겨...
    Date2019.01.03 Views1359
    Read More
  12. 한국의 전략가들이 주시해야 하는 미국의 전통적 대외정책

    한국의 전략가들이 주시해야 하는 미국의 전통적 대외정책 지난 6월 12일 북한의 김정은 국무위원장과 미국의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사이에 정상회담이 열렸다. 그러나 회담 이후 북미 관계는 교착상태에 빠져있다. 미국 정치권 일각에서는 과거 정권 교체 대...
    Date2019.01.03 Views1639
    Read More
  13. 영상기자의 현재와 미래

    영상기자의 현재와 미래 한국영상기자협회 편집위원 김정은 기자(KBS)가 영상기자들 이 현재에 무엇을 해야 하고 미래에 무엇을 생각해야 하는지 <영 상기자의 현재와 미래>에 대해서 이번 호부터 총 4편의 글을 영 상기자(협회보)에 게재한다. 제1편 행위와 ...
    Date2019.01.03 Views1136
    Read More
  14. 52시간 근무제를 바라보는 지역방송사 현실

    52시간 근무제를 바라보는 지역방송사 현실 오늘도 시간 외 근무를 신청했다. 아무 리 발버둥을 치고 빠릿빠릿하게 움직여 봐도 시간 외의 울타리에서 벗어날 수 없 었다. 하루에 리포트 두 개를 제작하고, 틈나는 대로 미세먼지 날씨 스케치를 해 야 하고, 편...
    Date2019.01.03 Views480
    Read More
  15. 2018년을 돌아보며

    2018년을 돌아보며 퇴근길에 이모에게 전화가 왔다. 네가 김장할 정신도 없을 것 같아서 이모가 해 놓았으니 시간 될 때 찾아가라는 내용이 었다. 고맙다는 말을 하고 전화를 끊고 보 니, 올해도 저물어 가는구나 하는 생각이 들었다. 사회부 캡을 맡은 지도 1...
    Date2019.01.03 Views443
    Read More
  16. 새해를 맞아 다짐하는 세 가지

    새해를 맞아 다짐하는 세 가지 다사다망(多事多忙). 2018년 직장인들 이 뽑은 올해의 사자성어로‘ 일이 많아 눈코 뜰 새 없이 바쁨’을 뜻한다. 보름도 채 남지 않은 나의 2018년을 되돌아봤 다. 1월 평창동계올림픽을 시작으로 4.27 남북정상회담,...
    Date2019.01.03 Views496
    Read More
  17. [2019년 각오] ‘왜 하필’의 가치를 고민하는 시간

    ‘왜 하필’의 가치를 고민하는 시간 “왜 하필?”이라는 생각을 한다. 지난 12월 4일, 백석역에서 온수관이 파열되는 사고가 발생했다. 한파 주의보가 발령된 평소보다 추운 날이었다. 온수와 난방 작동이 멈춘 몇몇 가정을 방문해 취재...
    Date2019.01.02 Views453
    Read More
  18. 그림을 그리자

    그림을 그리자 (중략) 점점 이 일을 하면 할수록 그 원류를 찾아가고 싶다는 생각이 계속 든다는 것이다. 사진이나 영상이나 그 기록의 힘과 속기 성을 따라갈 매체가 아직 없지만 대상을 관찰해서 특성을 파악해 다시 재현한다는 관점, 즉 재해석의 관점에서 ...
    Date2019.01.02 Views449
    Read More
  19. 채널2의 사회학

    채널2의 사회학 모두가 알다시피 채널 2는 현장음을 수신하는 채널이다. 기자의 의도가 확실히 담겨 특정한 목소리를 담아내는 채널1과 달리 채널 2는 의도되지 않는 현장의 소리가 담긴다. 이런 채널의 속성을 매체와 사회의 관계 문제로 가져가게 되면 두 채...
    Date2018.12.19 Views472
    Read More
  20. 미디어의 속도와 책무감에 대해서

    미디어의 속도와 책무감에 대해서 알타미라와 라스코 동굴 벽화는 인류의 역사를 기록한 최초의 흔적이다. 이와 동시에 동굴 벽화라는 미디어가 발생했다. 아마 구석기에서 신석기에 이르기까지 인류가 사용한 역사 기록 미디어는‘ 동굴 벽’을 벗...
    Date2018.12.19 Views635
    Read More
  21. 군국 일본의 언론통제

    군국 일본의 언론통제  우리나라는 과거 군사정권 시대에“ 여론지도”라는 미명 하에 국민을 국내와 세계가 돌아가는 정보로부터 고립시키고 나아가 정권유지를 위한 수단으로써 언론통제가 전방위적으로 이루어졌다. 군사정권 하에서 이루어진 ...
    Date2018.10.19 Views715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Next
/ 11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