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회 수 403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인쇄 첨부
제82회 이달의 영상기자상 지역뉴스부문 KBS제주 고성호 기자
 
< 5분 빨리 가기위해 5만년을 베어낸 비자림로 >
 

 

 도로포장률 1위 제주도. 절실했던 지난날의 제주도 도로건설사업은 세월이 흘러 도로포장률 1위라는 타이틀을 얻을 정도로 많이 만들어졌다. 무분별하게 행해지는 도로건설사업 안에서 주민숙원사업과 관광객편의라는 이유로 도로가 만들어지고 있다. 하지만, 환경과 이용자를 도외시 한 채 진행되고 있고, 누구를 위한 도로인지조차 알 수 없는 길들이 만들어지고 있다. 도로를 개설하는 것뿐만 아니라 기존도로를 확장하는 사업 또한 마찬가지였다. 과연 도로는 어떻게 만들어져야 하는가.

 

 제주의 길을 취재하는 과정에서 너무나 많은 길이 만들어지고 있는 상황을접했다.

 

 그 과정에서 도로를 확장하는 비자림로를 마주하게 되었다.

 

 삼나무가 우거진 2차선 도로인 비자림로를 4차선으로 늘리는 사업이다.
 

 현장에 가보니 너무나도 참혹했다. 도로를 확장하기 위해 도로의 삼나무가 무참히 베어지고 있고 베어진 구간도 상당했다. 4차선 확장공사를 하기에는 당시에 베어진 곳만으로도 충분했다. 그런데 그게 끝이 아니었다. 공사 중인 구간의 반대편도 토지보상을 이유로 똑같이 베어낸다고 했다. 대체 이 도로는 왜 만들어져야 하는가. 지난 세월의 삼나무가 순식간에 사라질 위기에 처한 것이다. 그것도 주민숙원사업이라는 이유로 공사는 시작되었다.
 

 꼼꼼히 따져보기로 했다‘. 왜 이도로가 만들어져야 했는지, 꼭 이 방법밖에는 없었는지 말이다.’
 

 비자림로 공사와 관련한 내용이 보도되면서 도내 정치권과 시민단체들의 공사 중지요구가 빗발쳤다. 얼마 지나지 않아 제주도민을 넘어 전 국민의 관심사로 사회이슈를 만들어나갔다. 공사 중지를 위한 청와대 국민청원은 25건. 대략 4만여 명이 참여하기도 했다. 이후 여론이 거세지자 원희룡 제주도지사는 대안이 마련될 때 까지 공사를 무기한 중지하였다.

 

 빨리 만이 능사가 아니다. 진정한 길의 의미는 천천히 돌아가더라도 주변과 공감하고 소통하며 지나가는 것이다. 구불구불한 길을 밀어내고 넓고 평탄한 직선의 길로 우리는 남은 세대에게 편안하기만 한 길을 물려줄 것인가. 환경은 미래세대에 잠시 빌려 쓰는 것, 2018년 제주에 사는 우리가 꼭 한 번쯤은 고민해봐야 하는 문제이다.
 

 앞으로의 무분별한 도로건설에 제동이 필요하다. 이번 보도를 통하여 단순한 도로건설을 넘어 환경과 이용자를 고려하는 제주도 도로건설사업을 만들어나가는 계기가 되었으면 한다. 행정에서는 전문가 자문단을 꾸려 비자림로 사태에 대한 대안을 모색하고 있다. 비자림로 확장 공사는 삼나무를 자르느냐 마느냐의 문제가 아니다. 도로정책을 어떻게 짜느냐에 따라 모든 것이 달라질 수 있다. 앞으로 바람직한 도로가 마련될 때까지 주의 깊게 지켜보면서 올바른 길의 의미를 보도할 예정이다.
 

 더불어 수많은 취재현장에서 함께 고민해준 선배 강인희 취재기자와 인력이 부족한 상황에서도 많은 시간을 내어주신 제주보도국 선후배기자들에게도 감사의 인사를 드린다.

 

 

고성호 / KBS제주  KBS제주 고성호.jpg

 

 


List of Articles
날짜 제목 조회 수
2022.07.22 제105회 이달의 영상기자상 환경보도부문 KCTV제주방송 김용민 <1. 보이지 않는 공포, 항공 미세먼지 외 1편> file 336
2022.11.25 제107회 이달의 영상기자상 '지역뉴스탐사기획보도'부문 KBS광주 이성현 햇빛∙바람에 멍들다 - 재생에너지의 명암 file 343
2022.09.30 제106회 이달의 영상기자상 '국제,통일보도'부문 KBS 이재섭, 류재현 시사기획 창<전쟁과 음악> file 351
2019.02.01 제84회 이달의 영상기자상 뉴스부문 SBS 최준식 기자 - '김경두 일가 올 때만 열린다?' 팀킴 관련 단독보도 file 381
2019.08.23 제87회 이달의 영상기자상 전문보도부문 국제보도 SBS 김용우 기자 - 베트남-한국 '불법 비자 커넥션' 연속 보도 file 384
2023.03.23 제109회 이달의 영상기자상 지역뉴스탐사기획보도부문 - KBS대구 최동희 <욕창이 온다> file 384
2022.01.21 제102회 이달의 영상기자상 멀티보도부문 안동MBC 임유주 <다큐멘터리 화엄> file 386
2019.02.01 제84회 이달의 영상기자상 지역기획보도부문 KBS제주 고성호 기자 - 제주의 길 '소통과 욕망이 만나다' file 389
2020.09.08 제93회 이달의 영상기자상 뉴스부문 SBS 김용우 기자 <개풍군 대남 확성기 재설치 단독 포착> file 394
2022.07.22 제105회 이달의 영상기자상 '새로운시선'부문 MBC충북 김병수, 신석호 <UHD 영상뉴스 ‘미래유산을 찾아서’ 1편 철도교통의 미래유산 충주역 급수탑 외 2편> file 398
2018.10.17 제82회 이달의 영상기자상 지역뉴스부문 KBS제주 고성호 기자 - 5분 빨리 가기위해 5만년을 베어낸 비자림로 file 403
2019.03.27 제85회 이달의 영상기자상 전문보도부문 공공보도 SBS 최대웅 기자 - '동남아 불법 수출 쓰레기 실태' 연속보도 file 403
2019.02.01 제84회 이달의 영상기자상 기획보도부문 MBN 조계홍 기자 - 김 양식에 폐 염산 살포 연속 보도 file 403
2018.12.27 제83회 이달의 영상기자상 전문보도부문 문화⋅스포츠 대구MBC 마승락 기자 - 영상기록, 사라져 가는 것들에 대하여... file 404
2018.12.27 제83회 이달의 영상기자상 전문보도부문 인권보도 JIBS제주방송 윤인수 기자 - 잠들지 않는 남도 file 405
2022.09.30 제106회 이달의 영상기자상 '환경보도'부문 KBS 홍성백, 송혜성 시사기획 창 <고장난 심장, 북극의 경고> KBS 9시뉴스 북극시리즈 4편 DEEP 위기의 북극 현장을 가다 2편 file 411
2019.10.22 제88회 이달의 영상기자상 전문보도부문 공공보도 KBS제주 조세준 기자 - 환경영향평가 민낯을 파헤치다 file 416
2023.05.26 제110회 이달의영상기자상 뉴스특종단독보도부문 - MBC 김준형 <포탄 해외 반출 단독 보도> file 421
2021.07.23 제99회 이달의 영상기자상 멀티보도부문 MBC 박주영 기자 <[현장36.5] "저희에겐 장벽이에요"> 외 1편 file 431
2019.10.22 제88회 이달의 영상기자상 전문보도부문 인권보도 MBC강원영동 김재욱 기자 - 어느 장애인과 활동지원사 이야기 file 433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17 Next
/ 17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