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회 수 433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인쇄 첨부
제88회 이달의 영상기자상 전문보도부문 인권보도
MBC강원영동 김재욱 기자
 
<어느 장애인과 활동지원사 이야기>

 

 

 

조금 나아졌다고는 하나, 아직 우리 주위에는 사람들의 시선과 자존감 결여로 인해 세상과 단절된 채 살아가고 있는 장애인들이 많이 있습니다. 그저 남들처럼 평범하게 일상생활을 하고 싶을 뿐이라는 한 중증장애인이 있었습니다. 그의 모습을 통해 집과 시설 안에 갇혀 살고있는 모든 장애인들에게 용기를 주고 싶다, 그리고 그들의 자립과 사회 참여에 꼭 필요한 존재인 장애인활동지원사의 고충과 제도의 문제점을 다뤄 보자, 하는 것에서 프로그램이 출발했습니다.

 

1편 지호씨의 영화제 도전기

 35살 박지호 씨는 뇌병변장애 1급 장애인입니다. 그는 두 손을 전혀 쓸 수 없고, 겨우 걸을 수는 있지만 근육 강직으로 그마저도 힘겹습니다. 그는 활동지원사의 도움 없이는 일상생활이 힘듭니다. 하지만 그는 모든 인간과 마찬가지로 자신은 직장 생활, 취미 생활을 하고 싶고 또 충분히 할 수 있다고 말합니다. 장애인도 비장애인들과 똑같다고.

 

 그는 이번에 ‘29초 영화제’에 도전했습니다. 두 손 대신 발가락으로 하는 투박한 편집이지만 한 컷, 한 컷 심혈을 기울여 자신의 이야기를 담아 냅니다. 마침내 영화제 당일. 대중교통을 이용해 강원도 속초에서 서울까지 이동하는데 보통 사람들에게는 매우 평범한 그 이동이 그에게는 전혀 쉽지 않은 일입니다.

 

 드디어 시상식이 열리고, 끝내 그의 이 름은 호명되지 않았습니다. 하지만 그는 영화제만으로도 즐거운 여정이었다고 말합니다. 그리고 앞으로도 자신의 여정은 계속 도전하는 데 있다고 말합니다.

 

2편 지호 씨의 또 다른 엄마

 지호 씨는 6개월 전부터 혼자 살고 있습니다. 부모님과 떨어져 자립을 시작했습니다. 35살 성인에게는 자연스러운 일이지만 지호 씨에게는 활동지원사의 도움 없이는 불가능한 일입니다.

 

 지호 씨에게 활동지원사 김숙 씨는 제2의 엄마 같은 존재입니다. 이른 아침부터 일터에 있는 오후까지, 김숙 씨는 하루 평균 6-7시간을 지호 씨를 돕습니다. 하지만 두 명의 장애인을 돌보는 김숙 씨는 지호 씨를 돕는 자기 근무시간을 최대 4시간밖에 기록할 수 없습니다. 법정근로시간을 준수해야 하기에 사실상 무급 ‘봉사’를 하고 있는 실정입니다. 휴게시간도 문제입니다. 개정된 근로기준법 상 4시간에 30분, 8시간에 한 시간씩 쉬어야 하지만, 지속적인 돌봄을 제공하는 장애인 활동지원의 특성 상 정해진 휴게시간을 기계적으로 지키기는 어렵습니다. 이들을 취재한 날 활동지원사 김숙 씨는 지호 씨와 무려 14시간을 함께 했습니다. 하지만 그가 기재한 근무시간은 4시간에 불과합니다.

 

 지호 씨를 속초에서 서울까지 동행 취재하던 날, 가장 안타까웠던 것은 사람들이 장애인에게 보내는 시선이었습니다. 물론 지금은 이전 같이 장애인을 대놓고 쳐다보거나 동정하는 눈길로 바라보지는 않습니다. 하지만 장애인은 여전히 따가운 시선을 느끼고 의식합니다. 그날, 실제로 관찰해 본 결과 이 둘 옆을 지나가는 사람들이 보내는 시선은 평범한 것이 아니었습니다. 둘과 몇 발자국 떨어져 걷는 나도 곁눈질과 중얼거림 등을 어렵지 않게 엿볼 수 있었습니다. 심지어 이동 중 들른 식당의 주인이 이 둘을 계속 관찰(?) - 손님이 식사 중에 혹시 불편한 건 없는지 확인하는, 그런 의미의 관찰은 아니었습니다 - 하는 통에 식사를 제대로 할 수 없는 지경이었습니다. 지호 씨는 활동지원사에게 내내 미안하다고 말했습니다.

 

 함께 사는 세상을 꿈꾸는 것은 인간에게 있어 가장 의미있는 가치가 아닌가? 프로그램을 제작하면서 가지게 된 바람은 (이 리포트를 본 단 몇 사람만이라도) 시선과 곁눈질, 중얼거림, 태도가 장애인들의 삶을 얼마나 힘들게 만드는지 알았으면 하는 것입니다. 이 세상은 결코 비장애인만의 것이 아닙니다. 장애인들을 바라보는 불편한 시선이 사라지는 것만으로도 (그것은 우리가 할 수 있는 아주 작은 실천입니다) 장애인과 비장애인이 한데 어울려 사는 공동체가 현실 속에서 얼마든지 만들어질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우리부터 작은 실천을 실행에 옮겨 봐요!

 

 

김재욱 / MBC강원영동    김재욱_증명사진.jpg

 


List of Articles
날짜 제목 조회 수
2018.07.03 제80회 이달의 영상기자상 지역뉴스부문 G1강원민방 이광수 기자 - '마구잡이' 콘크리트 타설 file 548
2019.05.21 제86회 이달의 영상기자상 전문보도부문 인권보도 제주MBC 김승범 기자 - 4ㆍ3 다큐 ‘희춘’ file 551
2018.07.03 제80회 이달의 영상기자상 뉴스부문 MBC 김해동기자 - 고개숙인 조현민 '물은 안 뿌렸다' file 554
2018.07.23 제81회 이달의 영상기자상 뉴스부문 SBS 정상보 기자 - 축구 국가대표팀에 고성에 달걀 투척까지 file 554
2017.05.15 제67회 이달의 카메라기자상 기획보도 대구MBC 마승락 <삼국유사, 일연의 꿈> file 555
2018.07.03 80회 이달의 영상기자상 기획보도부문 KBS 지선호, 고형석, 권준용 기자 - 인터뷰 시리즈 '듣다' file 564
2019.03.27 제85회 이달의 영상기자상 뉴스부문 MBC 박주영 기자 - 하노이 북미정상회담 김정은 특별열차 - 트럼프 에어포스원 단독취재 file 573
2020.01.21 제90회 이달의 영상기자상 전문보도부문 인권보도 KBS제주 조세준 기자 <탐사K-기다리다 죽는 사람들> file 583
2019.03.27 제85회 이달의 영상기자상 지역뉴스부문 G1 유세진, 홍성백 기자 - 폐기물 된 물고기 아파트 file 589
2019.05.21 제86회 이달의 영상기자상 지역뉴스부문 KBS제주 김형준 기자 - 악취관리지역 측정조사 부실 논란 file 590
2019.05.21 제86회 이달의 영상기자상 전문보도부문 문화ㆍ스포츠 KBS제주 고진현 기자 - 잊혀지는 문화유산 file 602
2019.11.26 제89회 이달의 영상기자상 기획보도부문 MBC 박주일 기자 - 스트레이트-논두렁시계의 비밀 file 607
2020.11.06 제94회 이달의 영상기자상 뉴스부문 MBC 김희건, 이지호 기자 <뉴스에 못다 전한 수해현장> file 617
2021.01.27 제96회 이달의 영상기자상 지역기획보도부문 포항MBC 양재혁 기자 <포항MBC 특집 다큐멘터리 '그 쇳물 쓰지마라'> file 619
2018.10.17 제82회 이달의 영상기자상 전문보도부문 영상기획 부산MBC 이성욱, 김욱진 기자 - M-STORY file 623
2020.08.27 제93회 이달의 영상기자상 환경보도부문 SBS 이병주, 서진호, 양현철 기자 <바다거북 배 속 들어찬 비닐..."재활용률 21% 불과" 외 1편> file 624
2021.01.27 제96회 이달의 영상기자상 영상기획부문 KBS춘천 박영웅 기자<은빛 설원에 만개한 얼음꽃…소양강 상고대> file 627
2022.03.25 제103회 이달의 영상기자상 보도특집다큐부문 JIBS 윤인수 <제주 지하수의 경고 바다의역습> file 627
2020.12.09 제95회 이달의 영상기자상 문화보도부문 MBC충북 김병수 기자 <장인의 기록 "궁시장 양태현"> file 631
2019.05.21 제86회 이달의 영상기자상 전문보도부문 멀티기자 MBC 현기택 기자 - 고성산불-화마에 불탄 삶의 터전 연속보도 file 634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17 Next
/ 17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