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회 수 112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인쇄 첨부

지역뉴스탐사기획보도부문
 G1방송 권순환 <해수면상승, 위기의 한반도>

최근 몇 년 동안 강원도 동해안 지역에서는 급격해진 조수간만의 차와 더 크고 잦아진 너울

석호의 바다화, 토양의 염분화, 태풍으로 인한 침수 피해 등이 일상화되고 있다

이는 지구온난화에 따른 해수면상승의 피해가 우리의 일상에서 구체적으로 일어나고 있는 증거로

권순환 기자와 취재팀은 다양한 예측 자료를 토대로 이를 시각화하고 수치화해 문제의 심각성을 알리고 있다

또한, 국내의 사례와 해외 사례를 직접 현장 취재해 보여 줌으로서 

우리의 해안에서 발생하고 있는 일들이 전지구적 위험현상이며

이 해결을 위해 노력해야 한다는 강력한 경고를 보내고 있다.

 

심사평: 우리들의 일상에 존재하는 기후위기의 문제를 이해하기 쉬운 영상으로 시각화해

보도하려고 한 권순환 기자의 노력을 높이 평가했다

특히, 해안 모형을 이용한 월파실험을 통해 해수면 상승으로 인해 예상되는 해안지역의 피해와

다가올 위기를 구체화해 보여준 점

해안과 해외의 다양한 해수면 상승피해를 현장취재해 영상으로 보여준 점도 좋은 평을 했다.



 

 


해수면상승, 지역에서 발견한 전지구적 문제


<G1방송 권순환>


112회 이달의 영상기자상 (2).jpg


 <22년 12월 24일 삼척시 대진항.>

 “방파제를 높여도 이젠 소용없는 거 같아요. 어째 점점 파도가 더 커지는 거 같아요.”


 <23년 3월 2일 동해시 묵호항.>

 “요즘 동해안에서는 못 느끼던 조차 때문에 항구에 정박해 놓은 배들이 자꾸 망가져요.”


 <20년 3월 21일 강릉시 경포호.>

 “민물에서 바다 굴이 집단 서식하고 있습니다. 왜 그럴까요?”


 그동안 우리가 미처 인지하지 못했던, 무심코 지나쳤던 이상 현상들이 동해안에서 더 잦아지고 있었습니다. 그 누구도 시원하게 답을 내놓지 못했습니다. 취재팀은 동해안에서 나타나고 있는 이런 이상 현상들에 집중했습니다.


 그리고 지난 8월 10일 강원 동해안 지역에 큰 피해를 입힌 제6호 태풍 ‘카눈’


 “빗물이 바다로 빠져나가야 하는데 바다가 높아지니 이 꼴이 난 거예요.”

 “집중호우와 함께 바다 수위가 높아지는 만조와 만났고, 높은 파도로...”

 “비가 아무리 퍼부어도 이런 적이 없었는데.. 갑자기 이렇게 잠기게 될 줄은..”


 우리 취재팀은 동해안을 비롯한 국내 곳곳에서 나타나고 있는 해수면 상승 관련 현상들에 주목했습니다. 그리고 알게 된 급격해진 조차와 더 크고 잦아진 너울, 석호의 바다화, 토양의 염분화, 태풍으로 인한 침수 피해까지. 이를 직접 확인하기 위해 가톨릭관동대 해양 공학 연구팀과 수리모형 월파실험을 진행하며 해수면 상승으로 인해 발생할 피해와 다가올 위기에 대한 부분을 구체화했습니다.


 본 보도는 강원 동해안에서 나타나고 있는 해수면 상승에 대한 현상을 시작으로 지역을 넘어 국내, 해외 취재를 병행하며 전 지구적인 문제를 지역 언론의 사명으로 취재한 기획보도물이라고 생각합니다. 특히 그동안 서해를 중심으로 한 해수면 상승 피해 연구가 집중된 데 비해 동해안에 대한 사례와 관련 보도는 전무했습니다. 하지만 동해안 역시 높아지는 해수면에 따른 피해로 큰 손실이 따를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선제적인 보도를 통해 지역 언론으로서 경각심을 일으키는데 기여했다고 확신합니다.


 단순 현상 제시를 넘어 무심코 지나쳤던 구체적인 현상을 발굴하고, 각종 사례를 통해 한국형 대 책, 나아가 지역형 대책을 강구할 수 있는 토대 마련을 위해 지역 언론의 역할을 넘어 국내 언론의 역할을 다했다고 자평합니다. 저희는 언론으로서 앞으로도 기후 변화에 대응할 수 있는 보도를 이어나갈 계획입니다.





List of Articles
날짜 제목 조회 수
2013.10.14 제52회 이달의 카메라기자상 기획보도부문 KBS 김용모 <가습기 살균제‘끝나지 않은 고통> file 4887
2014.01.22 제53회 이달의 카메라기자상 지역보도 부문 KBS 강릉 최만용 <종패 주권을 잃다> file 4571
2014.01.24 제53회 이달의 카메라기자상 기획보도 부문 YTN 이문세, 이승주 <독도에 살다> file 4636
2014.03.07 제54회 이달의 카메라기자상 뉴스부문 KBS 오광택 <북한군 기강해이 심각> file 4033
2014.03.07 54회 이달의 카메라기자상 기획보도 부문 대구MBC 마승락 <고려인 문명을 새기다> file 4164
2014.03.07 제54회 이달의 카메라기자상 기획보도 부문 KBS 손병우 <고위공직자 재취업 보고서 - 공생의 세계> file 4150
2014.03.27 제55회 이달의 카메라기자상 지역보도부문 G1 권순환,유세진 <수달 가족 바다 나들이> file 4034
2014.03.27 제55회 이달의 카메라기자상 기획보도부문 SBS 최준식 <군함에 짝퉁 부품> file 4407
2014.03.28 제55회 이달의 카메라기자상 뉴스부문 MBC 권혁용 <단독보도-신고리 1호기 냉각수 누출사고 쉬쉬> file 4765
2014.07.09 제56,57회 이달의 카메라기자상 기획보도부문 KBS대전 심각현 <공존의 땅 섬> file 2559
2014.07.09 제56,57회 이달의 카메라기자상 지역보도부문 G1강원민방 심덕헌 홍성백 <산천어축제 무덤> file 2895
2014.07.09 제56,57회 이달의 카메라기자상 뉴스부문 SBS A&T 김흥기 <북한실상> file 3945
2014.10.08 제58회 이달의 카메라기자상 기획보도부문 KBS 조현관 <인간과 재난> file 3618
2014.10.08 제58회 이달의 카메라기자상 지역보도부문 G1 이광수 <열목어산천어 서식지 뒤죽박죽> file 3739
2014.10.08 제58회 이달의 카메라기자상 뉴스부문 SBS 정상보 김태훈 <‘녹색인증’ 기업의 두 얼굴> file 3820
2014.11.27 제59회 이달의 카메라기자상 뉴스부문 KBS 보도영상국 영상취재부 사회팀 <뉴스광장 인천 아시안게임 D-> file 3655
2014.11.27 제59회 이달의 카메라기자상 기획보도부문 KBS대구 백창민 <수상한 이웃> file 3545
2015.01.29 제60회 이달의 카메라기자상 기획보도부문 YTN 이문세 <숨쉬는 땅, 독도> file 3874
2015.01.29 제60회 이달의 카메라기자상 지역보도부문 OBS 김영길 <남동구청, 불법 노점 철거시도...상인 1명 부상> file 3583
2015.01.29 제60회 이달의 카메라기자상 뉴스부문 KBS 지선호, 신동곤 <북-러 경협 연속 현장르포> file 4155
Board Pagination Prev 1 ... 4 5 6 7 8 9 10 11 12 13 ... 17 Next
/ 17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