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회 수 6780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인쇄 첨부


*작품 개요*

중국 베이징 올림픽 요트경기가 열리는 칭따오 연안에서 이상번식하고 있는 가시파래가 사상 처음 제주바다로 유입됐다. 제주 MBC 취재탬은 7월 24일부터 취재에 나섰다.

국립수산과학원과 한국해양연구원 합동으로 조사에 나선 결과 제주 서쪽 연안에서부터 제주 동남쪽 200Km 해상까지 가시파래가 해류를 따라 이동하고 있었다. 해상에 떠다니는 중국의 가시파래는 예상보다 훨씬 많았고, 가시파래 군락은 녹색 잔디구장을 연상케 했다.

해상에 떠 다니던 가시파래들은 3-4일 만에 제주서쪽 연안을 시작으로 전 해안을 덮쳤다. 일부 해수욕장은 수영을 하지 못할 정도였다. 공무원과 주민들의 가시파래 수거작업이 대대적으로 이뤄졌지만 계속 밀려오는 가시파래를 수거하는데 많은 어려움을 겪었고, 제주자치도는 국가 차원의 해양방재업무로 처리해주고 수거 예산을 긴급 지원해주도록 국토해양부에 요청했다.

주민들은 사상 처음 갑자기 밀어닥친 많은 량의 가시파래를 보고 원인규명과 대책을 호소했다. 중국 칭따오 연안에서 발생한 가시파래가 해류를 따라 제주연안으로 밀려왔다는 제주MBC 연속 보도로 원인을 알게 된 도민들은 좀더 정확한 유입경로와 실태, 피해 대책을 요구하는 등 관심이 높아졌다.

*추천 의견*

올 여름 중국 칭따오에서 발생한 가시파래의 유입은 중국의 공업화로 발생되는 각종 오염물질이 제주와 한반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고 있음을 보여준 사례로 평가되고 있다. 중국의 공업화로 발생된 각종 오염물질이 대기와 해류를 따라 제주바다와 황해로 점차 유입되고 있는 사실이 관련 연구기관에 의해 조금씩 밝혀지고 있을 뿐, 눈으로 직접 확인된 적은 없었다.
전문가들도 가시파래의 이동은 중국의 오염물질이 언제든지 한반도로 유입될 수 있음을 알리는 계기가 됐다는 평가다. 제주바다는 여름철이면 중국 양쯔강 담수와 함께 불청객 해파리가 유입된 후 남해를 거쳐 동해로 흘러가고 있다.
최근에는 중국의 공업화 영향으로 중국 연안에서 광역화되는 적조도 제주 쪽으로 점차 확산되고 있다.
가시파래는 인체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해조류이기 때문에 생태계에는 큰 피해를 입히지 않았지만
유류사고나 인체에 치명적인 오염물질의 경우 막대한 피해가 예상되고 있다.
따라서 가시파래의 유입 경로와 원인, 대책을 면밀하게 분석해 대형사고에 대비해야 한다는 경각심을 심어줬다.


List of Articles
날짜 제목 조회 수
2022.11.25 제107회 이달의 영상기자상 '뉴스특종단독보도'부문 대통령실 출입 영상기자단 대통령 비속어 취재 file 544
2022.11.25 제107회 이달의 영상기자상 '지역뉴스특종단독보도'부문 목포MBC 노영일 허술한 경찰 야간당직 체계 연속보도 file 286
2022.11.25 제107회 이달의 영상기자상 '지역뉴스탐사기획보도'부문 KBS광주 이성현 햇빛∙바람에 멍들다 - 재생에너지의 명암 file 343
2022.11.25 제107회 이달의 영상기자상 '멀티보도'부문 KBS 최연송 DEEP] 공간의 기록 file 336
2022.09.30 제106회 이달의 영상기자상 '지역뉴스탐사기획보도'부문 G1 원종찬, 하정우 천연동굴, 갈 길을 묻다! file 451
2022.09.30 제106회 이달의 영상기자상 '국제,통일보도'부문 KBS 이재섭, 류재현 시사기획 창<전쟁과 음악> file 352
2022.09.30 제106회 이달의 영상기자상 '환경보도'부문 KBS 홍성백, 송혜성 시사기획 창 <고장난 심장, 북극의 경고> KBS 9시뉴스 북극시리즈 4편 DEEP 위기의 북극 현장을 가다 2편 file 411
2022.07.22 제105회 이달의 영상기자상 지역뉴스특종단독보도부문 KBS춘천 임강수, 이장주 <[단독] 춘천 도심 하천 물고기 집단 폐사 연속보도 7편> file 541
2022.07.22 제105회 이달의 영상기자상 멀티보도부문 KNN 전재현 <위대한 유산 100경> file 335
2022.07.22 제105회 이달의 영상기자상 '새로운시선'부문 MBC충북 김병수, 신석호 <UHD 영상뉴스 ‘미래유산을 찾아서’ 1편 철도교통의 미래유산 충주역 급수탑 외 2편> file 398
2022.07.22 제105회 이달의 영상기자상 인권,노동보도부문 KBS대전 심각현 <달그릇 2부작, 나는 일제강제동원 생존자입니다> file 313
2022.07.22 제105회 이달의 영상기자상 환경보도부문 KCTV제주방송 김용민 <1. 보이지 않는 공포, 항공 미세먼지 외 1편> file 336
2022.05.27 제104회 이달의 영상기자상 지역뉴스특종단독보도부문 포항MBC 박주원 <폐양어장 길고양이 학대 사건 연속 보도> file 501
2022.05.27 제104회 이달의 영상기자상 지역뉴스탐사기획보도부문 목포MBC 민정섭 <세월호 조타수 단독 인터뷰 등 세월호 참사 8주기 기획 보도> file 333
2022.05.27 제104회 이달의 영상기자상 국제,통일보도부문 SBS 김용우 <‘우크라이나 전쟁’ 우크라이나, 트란스니스트리아 현장 취재> file 262
2022.03.25 제103회 이달의 영상기자상 보도특집다큐부문 JIBS 윤인수 <제주 지하수의 경고 바다의역습> file 627
2022.01.21 제102회 이달의 영상기자상 뉴스부문 MBC 허원철 장영근 [단독] '골프장'·'기독교 언론사' 대표 아들‥불법 촬영물 62개 등 연속보도> file 527
2022.01.21 제102회 이달의 영상기자상 멀티보도부문 안동MBC 임유주 <다큐멘터리 화엄> file 386
2021.11.19 제101회 이달의 영상기자상 지역뉴스부문 KBS부산 정운호 <항운노조 의혹 시리즈 5편> file 748
2021.11.19 제101회 이달의 영상기자상 영상기획부문 MBC충북 김병수 MBC충북 창사51주년 특집다큐멘터리 '부처가 된 나무' file 806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17 Next
/ 17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