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회 수 1497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인쇄 첨부
<10부작 미니 다큐멘터리 '남도의 혼, 도자기 오디세이'>
목포MBC 김승호



 


 



제37회 한국영상기자상 수상소감


1500년을 이어온 전남도공들의 ’혼‘을 기록하다


목포MBC 김승호_수상소감.jpg


 도자기는 인류의 발전과 진화를 알려주는 문명의 상징물로 손꼽힌다.


 인간이 처음 만들어 낸 첨단 기술의 결정체였으며 최초의 고부가가치 상품이자 최대의 국제 교역 상품이었다. 우리 전통 도자기는 청자, 백자, 녹청자, 분청사기, 옹기까지 제작 방법과 재료, 이름까지 다양하다.


 도자기가 선을 보이던 옛적 도자기술을 가진 나라는 곧 세계 첨단 기술을 선도한 국가를 의미했고 15세기까지 세계에서 자기를 구워낼 수 있는 나라는 중국과 한국뿐이었다.


 그런데 도자기 선진국인 두 나라에서도 도자기 태동부터 시작해 도자기의 모든 역사를 품고 있는 지역은 많지 않다. 한반도에서는 서남해, 남도문화권이 유일하다. 4세기 무렵 영산강 유역 마한의 도공에서 시작해 현대의 산업형 생활자기에 이르기까지 이어지는 남도의 도자기는 어느 한시기에 반짝 유행했다 사라진 가벼운 것이 아니었다. 무려 1500년 동안, 영산강을 따라 거대한 ‘도자기 문명로드’를 구축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다.


 4세기 마한시대의 옹관 도공들부터 시작해 오늘에 이르기까지 한국 도자 역사를 이끌어 왔던 위대한 길. ‘남도 도자기 로드’ 탐험을 통해 시대의 질곡을 겪으면서도 매시기마다 빼어난 아름다움을 거듭 창조해 왔던 남도 도자기 역사를 담아내고, 이를 통해 남도 도자기의 새로운 비전을 찾아보려 했다.


 ‘남도의 혼, 도자기 오디세이’는 영산강을 따라 형성되고 이어온 도자의 역사를 기록한 다큐멘터리이다.


 특히 삼국시대부터 옹기와 질그릇을 만들어온 도자기의 고장 무안의 분청사기는 임진왜란 이후 일본 도자기에도 영향을 끼쳤다. 나주부터 무안, 강진, 영암, 해남까지 세포처럼 연결돼 살아 숨 쉬는 도자 역사를 기록했다.


 목포MBC가 시도한 10부작 숏폼 미니 다큐멘터리 ‘남도의 혼, 도자기 오디세이’가 명맥을 잇고 있는 도공들에게 힘을 주고 우리 도자의 역사가 새로 조명받는 계기를 제공하는 조그만 역할을 할 수 있기를 기대해 본다.



김승호 / 목포MBC 16-3 목포MBC 김승호.png





  1. 제36회 한국영상기자상 온라인 브로셔

    Date2023.02.17 Views1777
    Read More
  2. 제37회 한국영상기자상 환경보도부문 - KCTV제주방송 김용민 <KCTV환경기획 뉴스멘터리 사라진 제주 돌>

    <KCTV환경기획 뉴스멘터리 사라진 제주 돌> KCTV제주방송 김용민 제37회 한국영상기자상 수상소감 ‘먹돌’ 사라진 자연환경 보여주려 고민… 환경영향평가 한계와 개선 방안 찾은 보람 있는 취재 어느 날 ‘해녀 삼촌’들에게 걸려 온 전화 한 통. 과거 먹돌 해안...
    Date2024.02.15 Views1483
    Read More
  3. 제37회 한국영상기자상 국제, 통일보도부문 - SBS 최대웅 <베트남전 한국군 민간인 학살 기획보도>

    <베트남전 한국군 민간인 학살 기획보도> SBS 최대웅  제37회 한국영상기자상 수상소감 베트남전 한국군 민간인 학살, '가해자' 대한민국에 대한 고찰 ‘가해자’ 대한민국에 대한 취재를 앞두고 생각이 많아졌다. 얕은 지식으로 ‘과거에 그러한 일이 있었다.’...
    Date2024.02.15 Views1509
    Read More
  4. 제37회 한국영상기자상 멀티보도부문 - 목포MBC 김승호 <10부작 미니 다큐멘터리 '남도의 혼, 도자기 오디세이'>

    <10부작 미니 다큐멘터리 '남도의 혼, 도자기 오디세이'> 목포MBC 김승호  제37회 한국영상기자상 수상소감 1500년을 이어온 전남도공들의 ’혼‘을 기록하다 도자기는 인류의 발전과 진화를 알려주는 문명의 상징물로 손꼽힌다. 인간이 처음 만들어 낸 첨단 기...
    Date2024.02.15 Views1497
    Read More
  5. 제37회 한국영상기자상 보도특집다큐부문 - 제주MBC 김현명 <4.3특집 남겨진 아이들>

    <4.3특집 남겨진 아이들> 제주MBC 김현명 제37회 한국영상기자상 수상소감 76년 만에 드러난 '4.3 사건 속 남겨진 아이들'의 비극과 역경의 기록 제주 4.3 직권 재심 재판을 처음 취재 하던 날 제주지방법원 201호 법정 분위기를 아직도 잊을 수 없습니다. 국...
    Date2024.02.15 Views1521
    Read More
  6. 제37회 한국영상기자상 지역뉴스탐사기획보도부문 - KBS대구 최동희 <욕창이 온다>

    <욕창이 온다> KBS대구 최동희 제37회 한국영상기자상 수상소감 외로움에서 오는 병 - 욕창 9년 전 저는 영상기자협회 대학생 명예카메라기자 활동을 했었습니다. 명예기자활동을 하면서 한국영상기자상 시상식 자리에도 함께 자리를 할 수 있었습니다. 시상식...
    Date2024.02.15 Views1491
    Read More
  7. 제37회 한국영상기자상 지역뉴스특종단독보도부문 - KBS전주 한문현 <[현장K] '와르르' 국가항만, 총체적 부실 보고서 단독 기획보도>

    <[현장K] '와르르' 국가항만, 총체적 부실 보고서 단독 기획보도> KBS전주 한문현 제37회 한국영상기자상 수상소감 땜질 처방만 반복된 항만 구조물 붕괴···‘기준’은 없었다 정부가 새만금에 새로운 항만을 짓는 사업, 새만금 신항만 공사는 2040년까지 3조 7...
    Date2024.02.15 Views1594
    Read More
  8. 제37회 한국영상기자상 대상 - KBS부산 김기태 <연속기획 '목소리'>

    <연속기획 '목소리'> KBS부산 김기태  제37회 한국영상기자상 수상소감 최근 한국 사회의 가장 문제적 키워드 중 하나는 ‘혐오’와 ‘갈등’일 겁니다. 여전히 존재하는 소수에 대한 다수의 폭력, 그리고 소수의 저항이 뒤얽혀 갈등의 소용돌이는 점점 커져가고 ...
    Date2024.02.15 Views1545
    Read More
  9. 제37회 한국영상기자상 온라인 브로셔

    제37회 한국영상기자상 온라인 브로셔
    Date2024.02.19 Views1534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7 8 9 10 11 12 13 14 15 16 Next
/ 16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