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회 수 1906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인쇄 수정 삭제

No Attached Image

방송장악 2기 체제는 안된다.

이명박 정부 5년, 방송통신위원회는 위원장이 주축이 되어 그들의 권한을 함부로 행사해 왔다. 물론 방송통신위원회 내에는 여당이 임명한 위원들만 아니라 야당 쪽이 임명한 위원들 역시 존재하기에 이해가 다른 세력 간의 견제가 가능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지난정부 5년 동안 그들의 권한을 사용해 다방면에서 언론의 공정성과 독립성을 해쳐왔다.
새롭게 출범하는 박근혜정부에 새로 신설된 미래창조과학부로 넘어갈 방송통신위원회의 권한은 대체로 규제와 진흥에 관한 것들이다. 미래창조과학부는 지상파, 라디오 방송 허가권, 케이블과 위성방송 허가권, 유료방송 사업자 채널구성과 운용 및 약관 승인권 등을 담당하게 된다. 이를 이용해 각 언론사에 반정부적인 보도는 하지 말라는 압력을 행사하지 않을까 우려된다.
합의제인 방송통신위원회 기능은 축소하고, 장관 1인의 지휘 하에 놓인 미래창조과학부에 방통위의 권한을 대폭 몰아주는 것은 청와대가 배후에서 방송 재허가권과 광고, 주파수 등을 통해 방송을 장악하는 ‘방송장악 2기 체제’가 완성될 것”이라는 우려의 목소리가 크다.

야당과 언론단체, 학술·시민단체는 한목소리로 새누리당의 ‘방송정책을 미래창조과학부로 이관해야 한다.’ 는 원안만을 고수하고 있다고 비판하고, 방송·통신 정부조직 개편은 방송통신위원회의 합의제 기능이 올바로 작동되도록 재정립되고 기관의 독립성이 더욱 강화되는 방향으로 이뤄져야 한다”면서 “순수한 의미의 통신진흥 업무만이 미래창조과학부로 이관돼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우리가 접하는 많은 문제들 중 공론화되는 것은 대체로 언론을 통해서 결정되어진다. 그만큼 언론은 우리 사회와 개인에게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언론의 공정성과 독립성이 훼손되어 진정한 역할을 하지 못한다면 우리사회, 그리고 구성원들 모두 잘못된 정보에 의해 잘못된 판단을 할 수 밖에 없을 것이다.
박근혜정부와 여당은 또 다시 지난 정권과 마찬가지로 권력의 시녀로서의 역할을 모색한다면 또다시 사회의 불신과 혼란을 일으킬 수 있다는 점을 알아야 할 것이다.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조회 수
“1980년 광주의 비극, 지금도 세계 곳곳에서 계속돼, 힌츠페터 기자의 5.18취재정신 이어가야” file 2022.11.02 288
“6월, 미디어법 관련 국회 난투극 재발되나?” file 2009.05.18 4744
“KBS2TV·SBS ‘조건부3년’재허가한다” file 2021.01.06 333
“공공성 빠진 저급미디어 난립 우려” 2005.06.02 7387
“드론 취재, 안전이 우선” 항공안전법 준수 등 드론 교육 필요 file 2019.11.07 543
“디지털이 바꿔 놓은 뉴스취재의 기록 ” 2008.07.04 5792
“몰카 촬영 여부 판단 기준은?” “물리력으로 취재 방해할 땐 어떻게…” file 2020.11.16 441
“언론 자유 중요성, 진실 보도 당위성을 스스로 돌아보는 기회 될 것” file 2023.12.21 239
“언론, 인권 감수성 부족” 비판에“ 오히려 잘 된 일” 지적도 file 2020.05.11 465
“언론이 작고 위태로운 성냥일지라도 그것이 없다면 어둠은 훨씬 커질 것” file 2023.06.29 189
“없애는 것만이 능사는 아니다”포토라인과 알 권리 file 2019.05.07 799
“영상기자들, 초상권 침해 규정 절반만 인지” file 2023.03.03 353
“지역 방송사 영상기자 평균 연령 50대” “개인 차로 자가운전해 취재” file 2021.01.06 614
“초상권 보호 대상, 공인 개념 등에 대한 사회적 합의가 중요” file 2019.07.03 665
“카메라기자와 카메라감독 통합운영을 바라보며” 2009.05.18 5611
“코로나19 이후 해외 취재 재개한다” file 2021.05.06 453
“한국 언론사(史)의 이정표…윤리적 다짐 넘어 실질적 지침이 될 것” file 2019.01.02 438
“현장 정착 위해 교육·홍보 필요” “동영상 교육 자료도 효과적일 것” file 2019.07.03 565
간담회 - 젊은 카메라 기자들의 수다 file 2013.12.17 3642
감사로 털고 주인 바꾸고 압수수색으로 겁 주고 돈줄 죄고… file 2023.06.29 218
Board Pagination Prev 1 ...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 41 Next
/ 41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