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회 수 1622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인쇄

No Attached Image

 

 

 

세월호와 함께 침몰한 대한민국 언론

 

 


세월호 침몰이라는 대형재난 현장에서 대한민국 언론은 혼란과 불신을 조장하는데 커다란 역할을 하였다.

그 어느 때 보다 침착하고 정확하며 균형 있는 보도를 하여야 함에도 불을 보면 미친 듯이 여기저기 덤벼드는 밤의 불나방 같은 모습 이였다.

사고초기 기본적인 포토라인은 찾아볼 수 없었고, 팽목항에 도착하는 생존자에겐 그들의 부상여부와 정신적 피해는 아랑곳없이 카메라와 마이크를 갖다 되기에 정신이 없었다. 진정 입버릇처럼 말하는 국민들의 알권리를 위해서 였 다고 할 수 있을까! 피해자와 피해가족의 초상권 및 인권은 찾아볼 수도 없었을 뿐더러 취재 경쟁이 극에 달하다 보니 무리수를 두게 되고 확인도 안 된 연이은 오보와 생방송으로 이어진 뉴스의 양을 채우려 스스로 정부 당국의 입으로 전락하고 만 것이다.


그 모습은 공중파, 유선방송이 다르지 아니한 참으로 못난 모습들이였다.  병 주고 약주는 것도 아니고 뒤 늦게 여기저기서 반성의 목소리를 내고 있다. 스스로 면죄부를 주듯이 말이다. 다들 재난보도는 어떤 원칙을 중시해야 함을 알고 있었음에도 그러지 못했던 것이다.

국민들에겐 야유와 비난을 들을 수밖에 없는 이유이다. 해외의 모범사레는 예로들 필요도 없다. 평소 다들 알고 있는 기본적 보도원칙만 지켰어도 이토록 혼란스럽고 불신감이 가득한 사회의 모습을 만드는데 견인차 역할은 피할 수 있었을 것이다. 오히려 무능했던 정부와 한통속이 되어 그 혼란을 키우기만 하였다.


이번 사고는 현 대한민국의 후진적인 모든 모습을 드러냈다. 온갖 비리와 거짓투성이가 드러났다. 언론 역시 변하지 않는 후진적 취재와 보도 행태를 가감 없이 보여주었다. 생동감 있는 현장의 모습을 담고자 주어진 역할에 충실했던 촬영기자라고 그 책임에서 자유로울 수는 없다. 피해자들에게 무분별하게 카메라부터 갖다 된 적은 없는지  차별된 영상을 찍으려는 과욕에 스스로의 원칙을 무시한 적은 없는지 되짚어 봐야 할 것이다.


팽목항에서 자식을 잃고 울부짖는 부모의 모습에서 많은 국민들이 함께 가슴아파하며 눈물을 흘렸다. 그들과 아픔을 같이 하고자 삶의 터전을 잠시 뒤로 한 채 현장으로 달려가 스스로 자원봉사자가 된 국민들과 달리 자극적이고 선정적인 기사와 화면으로 시청률에만 여년 하는 자사 이기주의에 빠져 헤어 나오질 못했던 언론의 모습은 차가운 바다 깊이 침몰해 있는 세월 호와 다를 게 하나도 없을 것이다.

언제까지 뒤 늦은 반성과 금새 잊어버리는 오류를 반복할 것인지 답답하기만 하다.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조회 수
조준희 YTN 사장 전격 사퇴 2017.06.14 477
52시간 근로제 취지는 좋은데… file 2019.09.06 477
영상보도 가이드라인이 뉴스 품질 결정, 영상기자와 영상기자상의 명예를 높이다. file 2019.03.12 478
저작물이어도 성명 표시는 당연… 가짜뉴스에 악용 등 권리 침해 발생해도 대처 불가 file 2020.07.08 480
[신간 책 소개] 초상권, 보도되는 자의 권리, 보도하는 자의 윤리 file 2019.07.02 482
한국영상기자협회, 5·18기념재단과 힌츠페터 국제보도상 제정 추진 file 2019.09.06 488
협회 장완익 자문변호사, 사회적참사특조위 상임위원장에 선출 file 2018.07.05 489
영화<택시운전사> 올해 첫 1000만 영화가 되었다. file 2017.08.30 491
제2차 ‘영상보도 가이드라인’ 연구팀 출범 file 2019.07.03 492
“드론 취재, 안전이 우선” 항공안전법 준수 등 드론 교육 필요 file 2019.11.07 496
MBC 카메라기자들의 울분 file 2017.08.29 500
MBC노조,"'MBC 블랙리스트' 고영주가 지시했다" 회의록 공개 file 2017.08.29 504
지워진 영상기자, 가려진 진실 file 2017.11.02 505
MBC 뉴스영상국, 뉴스영상편집 ‘블러처리기준’ 마련… file 2022.08.31 506
제34회 한국영상기자상 시상식 열려 file 2021.03.09 508
문체부, 저작권법 전부 개정 작업 들어가 file 2020.07.08 511
방통심의위, 시신 운구 영상·드론 촬영 방송사에 잇달아 ‘권고’ 결정 file 2020.05.11 512
제32회 한국영상기자상 시상식 열려 file 2019.03.12 513
2022 힌츠페터 국제보도상 국제공모, 심사 마쳐 file 2022.08.31 515
다시 시작하는 ‘진짜’ 저널리즘, KBS 파업뉴스 file 2017.11.02 516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 40 Next
/ 40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