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회 수 1716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인쇄 첨부

KBS 뉴스광장 영상 페이스북, 유튜브 계정 오픈

                                               

임태호-페이스북.jpg

(facebook)

 

임태호-유튜브.jpg

(youtube)

 

 

7월 29일 페이스북과 유튜브에 ‘KBS 뷰’ 페이지를 오픈했다.

보도영상국에서 관리하는 ‘뉴스광장 영상’ 업로드용이다. 디지털뉴스를 활성화하는 차원에서 보도본부 디지털뉴스부에서

네이버, 다음 등의 포털과 유튜브 그리고 각종 SNS에서 우리 뉴스를 서비스하고 있다.

하지만 ‘뉴스광장 영상’의 경우 기사 없이 영상만 업로드하다 보니 검색이 쉽지 않고 조회수가 너무 저조하여 보도영상국

자체 계정을 만들어 우리가 직접 업로드하고 짧은 기사와 검색어를 넣기로 결정하였다.
35초~40초 가량의 짧은 영상이긴 하지만 다양한 장비를 활용하여 꽤 공을 들여 제작하고 있는 상황에서

아침뉴스에만 한번 방송되는 게 아쉽다는 의견이 영상을 담당하는 영상취재부 사회팀원들 대부분의 의견이었고,

좀 더 적극적인 홍보가 필요하다는 생각에 자체 계정을 만들어서 관리하기로 했다.

특히 올해는 풍경 등의 영상 외에 24절기, 기념일 등을 주제로 영상을 제작하고 있고 시의성 있는 영상의 경우

홍보 부족이 계속 마음에 걸렸는데 어떻게 좀 더 많은 사람들에게 우리 영상을 노출할 지를 고민한 끝에 내린 결정이었다.
페이스북, 유튜브에 업로드 한 지는 이제 3달 가량인데, 최상철 기자가 제작한 ‘태권도의 날’은 페이스북에서 재생횟수가

2만 3천회를 넘겼고, 600번 이상 공유되었다. 특히나 해외 태권도인들이 큰 관심과 댓글을 남겼다.

최진영 기자가 제작한 ‘국군의 날’ 영상은 5천회 이상 재생되었고 KBS 홍보실의 “KBS 한국방송‘ 계정에서

공유되면서 외국인들에게도 많이 노출이 되었다.
물론 디지털뉴스부에서 관리하는 ‘KBS뉴스‘ 계정이나 홍보실에서 운영하는 ’KBS 한국방송‘ 계정에 비하면 팔로워도

훨씬 적어 조회수가 많이 떨어진다. 타 방송사의 주요 SNS계정의 검색수와 비교해도 엄청나게 저조한 실정이지만,

’디지털‘에서 뒤처지고 있는 우리 촬영기자가 직접 관리하는 계정이라는데 의미를 두고 싶다.

 보도영상국에서 직접 운영하면서 촬영기자들이 직접 짧은 기사나 검색어 등을 자유롭게 넣을 수 있고 각자의 SNS 계정에서도 공유하면서 활용 가능하기에 아직은 미흡하지만 대중의 관심을 점점 넓혀가고 있다.

영상 제작을 위해 만나는 사람들과 페이스북에 어떤 문구를 넣을지 같이 고민해보고 또 영상을 업로드 한 후에

들에게 오는 즉각적인 피드백을 누리는 것 또한 재미있다.

 

임태호-태권도의 날.jpg

특히 영상제작에 도움을 준 여러 기관의 공보담당자들이 우리 계정에 ’좋아요‘를 누르거나

공유하면서 감사하다는 표현을 빼놓지 않는다.
매일 30초짜리 짧은 영상을 업로드할 수 있는 시스템이 미흡하지만 갖추어졌고

다양한 주제의 질높은 영상을 모바일환경에 매일 제공해 줄 수 있다는 점에서, 그리고 공들인 영상을

다양한 사람들에게 접촉시켜 줄 수 있다는 매력이 있다. 아직은 우리 촬영기자들 지인들에 의해 퍼져나가고 있지만

시간이 지날수록 많은 사람들에게 공유되길 바란다. 그럼 당장은 ‘뉴스광장 영상’ 방송분만 업로드하고 있지만,

촬영기자 개개인의 감독판 영상, YTN 돌발영상 같은 구성물이나 전혀 새로운 포맷의 실험도 가능할 것이다.

보도영상국의 아카이브팀과 협력하면 충분히 가능성 있는 플랫폼이 될 수 있을 것이다.
각 방송사마다 디지털뉴스에 주안점을 두고 인력도 많이 충원하는 등 공을 들이고 있지만 정작 우리 영상기자가 

디지털뉴스부, 뉴미디어부 등에 파견 가 있는 경우가 별로 없다.

SBS가 최근 2명으로 늘었고 MBC 1명, KBS는 1명이었다가 다시 현업에 복귀하였다.

다른 방송사에는 거의 없는 게 현실이다. 가장 ‘디지털’과 친한 우리 영상기자가 ‘디지털뉴스’, ‘뉴미디어뉴스’의 변화에는

아무 역할을 못하고 있다는 게 안타깝다.
지금은 미흡하지만 이런 경험이 오랜 시간 쌓이다보면,

모바일 환경에서 어떤 주제가 인기가 있는지 우리 나름의 데이터가 존재할 것이고 새로운 환경에

우리 뉴스가 어떻게 생존해야 할지에 대해서도 나름 고민하게 될 것이다.

아직은 우리 내부에서도 별 관심을 끌지 못하는 작업이긴 하지만 이것이 촬영기자들도

디지털뉴스에서 배제되지 않고 모바일 환경에 잘 적응해나가기 위한 가벼운 첫걸음 정도의 의미는 있다고 하겠다. 

 

임태호 / KBS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조회 수
[신간 책 소개] 오늘을 역사로 기억하는 영상기자 file 2019.07.02 582
[신간 책 소개] 초상권, 보도되는 자의 권리, 보도하는 자의 윤리 file 2019.07.02 538
‘PD수첩’ 제작진 4명 체포 file 2009.04.29 5219
‘거리두기’ 안 되는 ‘언론’ file 2021.01.06 405
‘김여정 음성 삭제’, 청와대 vs 기자단 충돌로 비화 file 2019.07.03 556
‘뉴스영상PD’ 라는 해괴한 대체근로는 즉각 중지되어야 한다! 2012.02.22 4289
‘대통령 비속어 논란’ 국내외에서 언론자유 퇴행 우려 2022.11.02 227
‘대통령+집권여당→방통위→공영방송 이사→사장’ 수직 구조 깨져야 file 2022.05.03 271
‘뜬 구름’아닌 언론 속의 클라우드 시스템 file 2011.01.28 3917
‘몰카’부터 ‘저작권’까지…다양한 송사 사례 쏟아져 file 2019.11.07 889
‘몽유와’에서‘오월광주’를보다. file 2021.05.06 495
‘방송과 저작권’을 읽고 2013.06.04 1961
‘올해의 힌츠페터’는 누구? - ‘2023힌츠페터국제보도상’ 경쟁부문 심사 완료 file 2023.08.31 212
‘원소스 멀티유즈’ 위한 디지털 영상아카이브 file 2009.12.15 6083
‘원소스 멀티유즈’ 위한 디지털 영상아카이브 두 번째 2010.01.13 5233
‘이태원 참사’ 취재로 트라우마 겪고 있다면? 2022.12.28 186
‘함께 모색하는 영상기자의 발전’ 주제로 file 2022.08.31 253
‘힌츠페터 국제보도상’ 제정한다. file 2020.09.08 326
‘힌츠페터국제보도상’전세계 영상기자 대상, 첫 국제공모 시작 file 2021.07.06 498
“ ‘영상보도 가이드라인’ 준수 여부 언론상 심사기준에 명문화해야” file 2019.07.03 676
Board Pagination Prev 1 ... 8 9 10 11 12 13 14 15 16 17 ... 41 Next
/ 41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