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회 수 694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인쇄 첨부

영상 저작물의 창작자 권리 실현방안 세미나 개최


세미나사진.jpg

 

 지난 428일 한국방송카메라기자협회(회장 한원상)는 부산 시타딘 해운대호텔에서 영상 저작물의 창작자 권리 실현방안이라는 주제로 세미나를 개최했다.

이 날 첫 발제로 나온 류종현 부산대 초빙교수가 영상저작물의 저작권 권리관계 개선방안'에 대해서 문제 제기를 하고, 두 번째 발제자로 나온 이해완 성균관대학교 교수가 '영상 저작물의 창작자 권리 실현방안'에 대한 저작권법을 분석한 내용을 발표했다.

류종현 부산대 초빙교수는 영상저작권의 가장 큰 문제는 영상 저작물이 다수의 저작자가 기여하고 있는데 이들의 창작에 대한 노동의 댓가가 구현이 되지 않고 있다고 성토했다. 또 류 교수는 저작권은 개인의 창의성을 바탕으로 하는 것인데 사업장이 양도 추정한다는 것은 옳지 않다.”고 밝혔다.

법인이 저작권을 갖고 있는 국가는 한국과 일본 중국 등으로 알려졌다.

이해완 교수는 영상저작물에 대한 저작권은 실제로 창작활동에 참가한 자연인이 소유해야 한다법인이 아니고, 사용자도 아닌 실제 촬영을 하고 창작활동에 종사 한 사람이 저작자인 것은 너무나 당연한 것이다고 말했다. 그리고 우리나라 현재의 저작권법은 창작자 보호를 위한 규정보다 사업주에 대한 보호에 치중되어 있다고 말했다.

이 교수는 저작권법은 한쪽의 이익을 보호하는 것도 필요한데 나머지 사람들의 정당한 권익과 이익도 생각해야 한다다른 나라의 저작권법에 대한 연구를 토대로 대안을 모색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 교수는 다양한 국가의 저작권법 연구를 통해 '영상 저작물의 창작자 권리 실현방안'도 발표했다.

이 교수는 우리나라와 일본은 너무 간단하게 한쪽의 이익만 전적으로 보호를 해 온 것은 문제가 많다방송카메라기자협회가 강력한 선봉자로서 입법부 등에 호소해서 법이 개정된다면 카메라기자의 권익만 찾는 것이 아니고 넓은 범위의 한국문화산업의 종사자와 저작권법상의 권리를 실질적 찾지 못하고 있는 수많은 창작자들의 권리도 찾을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날 세미나에서 사회자로 나선 이호흥 한국저작권법학회 회장을 비롯한 박원경 한국저작권연구소 소장과 조성광 한국저작권위원회 자문위원, 장완익 법무법인 해마루 대표 변호사, 계승균 부산대 법학전문대학원 교수가 토론자로 참석했다.

이번 세미나는 한국방송카메라기자협회가 영상저작물의 저작권 관련 입법안을 마련하기 위해 기획했으며 한국언론진흥재단이 후원했다

                                                                                                                                 -이정남기자-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조회 수
건강한 사회인이 되길 바란다... 그리고 집에 일찍 좀 오렴 2008.06.25 6132
감성 경영 시대, 기업가 정신으로 무장한 카메라기자를 기대하며 2007.02.06 5423
감사로 털고 주인 바꾸고 압수수색으로 겁 주고 돈줄 죄고… file 2023.06.29 218
간담회 - 젊은 카메라 기자들의 수다 file 2013.12.17 3639
“현장 정착 위해 교육·홍보 필요” “동영상 교육 자료도 효과적일 것” file 2019.07.03 561
“한국 언론사(史)의 이정표…윤리적 다짐 넘어 실질적 지침이 될 것” file 2019.01.02 431
“코로나19 이후 해외 취재 재개한다” file 2021.05.06 449
“카메라기자와 카메라감독 통합운영을 바라보며” 2009.05.18 5611
“초상권 보호 대상, 공인 개념 등에 대한 사회적 합의가 중요” file 2019.07.03 661
“지역 방송사 영상기자 평균 연령 50대” “개인 차로 자가운전해 취재” file 2021.01.06 608
“영상기자들, 초상권 침해 규정 절반만 인지” file 2023.03.03 349
“없애는 것만이 능사는 아니다”포토라인과 알 권리 file 2019.05.07 792
“언론이 작고 위태로운 성냥일지라도 그것이 없다면 어둠은 훨씬 커질 것” file 2023.06.29 188
“언론, 인권 감수성 부족” 비판에“ 오히려 잘 된 일” 지적도 file 2020.05.11 464
“언론 자유 중요성, 진실 보도 당위성을 스스로 돌아보는 기회 될 것” file 2023.12.21 237
“몰카 촬영 여부 판단 기준은?” “물리력으로 취재 방해할 땐 어떻게…” file 2020.11.16 441
“디지털이 바꿔 놓은 뉴스취재의 기록 ” 2008.07.04 5792
“드론 취재, 안전이 우선” 항공안전법 준수 등 드론 교육 필요 file 2019.11.07 541
“공공성 빠진 저급미디어 난립 우려” 2005.06.02 7386
“KBS2TV·SBS ‘조건부3년’재허가한다” file 2021.01.06 332
Board Pagination Prev 1 ...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 41 Next
/ 41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