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회 수 816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인쇄 첨부

카메라기자의 인력 난 심각하다.


주당 법정 근로 시간 초과 근무는 기본


카메라기자들이 몇 년 전부터 노동의 강도가 높아지고 있어 인력 부족 현상에 대한 대책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한 방송사 카메라 기자는 “ 하루 종일 취재를 하고 회사에 돌아와서 편집이 끝나고 방송이 나가고 난 뒤 비로소 한 숨을 돌린다”고 말했다.

또 지역의 취재현장에서 만난 한 카메라기자는 LTE 중계장비와 수많은 배터리를 가득 싣고 있었다. 

입사한지 10년이 된 이 기자는 하루에 4개의 리포트와 단신을 취재한적도 있다. 

산술적으로 8시간 취재한다고 했을 때 2시간에 1개씩의 리포트를 완성해야 하는 것이다. 이것은 경력이 많은 카메라기자가 아니면 현실적으로 불가능한 수준인 셈이다.

이 기자는 “카메라기자들의 많은 업무량과 노동 강도로 인해 데스크와 취재기자들과 갈등이 있다.”고 하소연했다.


2-20170312_153111_Pano.jpg

박근혜 전 대통령 청와대 퇴거, 삼성동 사저를 취재중인 기자들    사진:  SBS 제일기자


인력부족 현상은 뉴스의 공정성과 객관성 훼손


최근 KBS의 경우 안식년 등으로 취재 인원이 상대적으로 감소했음에도 인원 충원이 없는 상황이다. 지역 방송국은 더욱 심각하다.

KBS 지역국은 올해 13명이 정년퇴직을 했다. 또 내년 안식년에 들어가는 인원도 13명으로 조사됐다. 특히, KBS 부산총국의 경우 최대 인원이 9명인데 현재 7명이 취재를 하고 있으며 내년에는 정년퇴직으로 인해 5명만이 남게 되어 인원부족현상은 더욱 심각해질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상황에 대해 카메라기자의 인력 부족 현상은 뉴스의 공정성과 객관성이 훼손될 위기 처해있는 심각한 상황이다.

지역의 또 다른 카메라기자는 “취재한 영상에 카메라기자의 노력이 돋보여야 하는데 불구하고 과도한 업무가 현실이 됨에 따라 TV뉴스에 질적 저하도 이어지고 있다”고 밝혔다.

한국방송카메라기자협회가 매년 주최하던 전국 신입 카메라기자 연수가 올해 무산된 것도 대부분의 방송사들이 카메라기자 신입사원을 채용하지 않기 때문이다.

지난해 전국에서 YTN이 카메라기자를 유일하게 한 명을 채용했고 올해 상반기에는 G1 강원민방이 한 명을 채용했다.

“살인적 근무” “주 40시간 근무가 뭐예요?” “현실을 반영해 인력을 충원해야 한다”

KBS는 올해 공채 계획을 갖고 있지만 MBC의 경우는 기약을 할 수 없는 입장이고 막내 카메라기자가 10년 차이다.

방송기자연합회에 따르면 지난주에 있었던 수습기자 교육에 KBS, MBC, SBS의 신입기자는 없었지만 교육인원은 31명으로 늘었다. 올해 지상파 3사에 대한 취재기자는 충원할 계획으로 알려졌다.

취재기자와 카메라기자가 철저한 협업을 통해 공정보도를 하는 방송 뉴스의 특성 상 최소한의 인원 기준을 맞춰야 하는 원칙은 파기되고 있다.

기자들은 카메라기자협회에서도 카메라기자의 인력 충원과 질 높은 영상보도를 위한 기본을 만들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나서 줄 것을 요구하고 있다.

한편, 기자들은 “카메라기자의 인력충원에 있어 걸림돌 중에 하나가 풀(POOL)이다”며 “무분별한 풀 문제는 반드시 협회 차원에서 해결해야 할 문제”라고 지적했다.

이제 청와대와 국회같이 취재지역과 취재원의 인권보호가 요구되는 곳을 제외하고 무분별하게 이뤄지고 있는 현장 풀에 

대해 강력하게 제재 할 수 있는 방안을 고민해야 할 때이다.


이정남 기자


  1. 박근혜 전 대통령, 청와대 퇴거 영상이 없다고...

    박근혜 전 대통령, 청와대 퇴거 영상이 없다고... 전속 촬영진만 찍고 언론에 풀 안해…지난 4월말 대통령기록관으로 이관돼 30년간 ‘봉인’ 헌법재판소의 파면 선고 이후 박근혜 전 대통령이 청와대를 떠나기 직전의 모습을 담은 영상이 봉인됐다. 대한민국 헌...
    Date2017.08.30 Views729 file
    Read More
  2. KBS 이사회, 고대영 사장에 대한 본격 해임절차

    KBS 이사회 해임제청안 상정 지난 10일 KBS 이사회는 서울 여의도 KBS에서 비공개 임시 이사회를 열고 고대영 사장에 대한 해임제청안을 이사회에 공식 안건으로 상정했다. 129일 동안 지속된 파업을 끝내고 공영방송 정상화가 가능할지 귀추가 주목된다. 앞...
    Date2018.01.12 Views732 file
    Read More
  3. 더불어 사는 '살기 좋은 공간' - 스마트 시티 <下>

    ‘함께 살아가는 방법’ 그러면 이런 살기 좋은 공간을 만들기 위해 노력하고, 함께 살아가는 방법은 무엇인가? 스페인 바르셀로나에 사는 C 씨, 그의 옆집에 사는 아저씨를 그 동네에선 ‘오꾸빠(Okupa, 영어의 Occupy)’라고 부른다. 오꾸빠는 2008년 금융위기 ...
    Date2018.01.12 Views732 file
    Read More
  4. 영상저널리즘의 초상권 세미나 열려

    영상저널리즘의 초상권 세미나 개최 한국방송카메라기자협회(회장 한원상)는 한국언론진흥재단의 후원으로 지난 7월 7일 오후 6시, 서울 스텐포드 호텔에서 ‘영상 저널리즘의 초상권’ 세미나를 개최했다. 이승선 충남대 교수의 사회로 진행된 이 날 세미나는 ...
    Date2017.08.29 Views734 file
    Read More
  5. 지역 방송사, 지방자치단체 홍보영상 의존도 심각해

    지역 방송사, 지방자치단체 홍보영상 의존도 심각해 방송의 객관성⋅공정성에 부합한 지 검토 필요 방송통신위원회와 방송통신심의위원회, 제도적 장치 마련 필요 한국방송카메라기자협회,‘영상보도윤리’지켜나갈 것 지역 방송사들이 인력난의 이유로 지방자치...
    Date2017.11.03 Views736 file
    Read More
  6. 왜 분노해야 하는가 - 장하성 -

    <왜 분노해야 하는가> - 장하성 - -분배의 실패가 만든 한국의 불평등 장하성 교수의 <왜 분노해야 하는가>을 보면 우리나라는 1960년 이후부터 1990년대까지 고도 경제성장과 분배의 형평성을 동시에 이루는 기적을 이루었다. 그러나 IMF이후 고도성장이 멈추...
    Date2017.06.14 Views737 file
    Read More
  7. MBC노조 “부당한 ‘보도영상지침' 내렸다” 폭로

    세월호, 촛불시위 등 축소⋅왜곡...... “김장겸 사장 등 관련자 법적 대응 방침” MBC 보도국이 뉴스를 제작하는 과정에서 세월호 참사와 촛불 집회 등과 관련해서 ‘불공정한 보도영상지침'이 존재했다는 사실이 폭로되었다. 여기에는 김장겸 현 MBC 사장이 관...
    Date2017.11.03 Views742 file
    Read More
  8. KBS, MBC 구성원 현 경영진 퇴진 요구 빗발쳐

    KBS, MBC 구성원 현 경영진 퇴진 요구 빗발쳐 KBS와 MBC 구성원들은 문재인 정부 출범으로 언론적폐 청산을 요구하며 비정상화의 정상화에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지난 정부에서 공영방송을 장악해 정권의 나팔수로 전락시켰고 공정성과 공영성을 훼손한 책임...
    Date2017.07.20 Views744 file
    Read More
  9. 협회, ‘2020 영상보도 가이드라인’ 발간

    협회, ‘2020 영상보도 가이드라인’ 발간 ‘취재-편집-관리’ 흐름 따라 구성… 영상보도 기본 원칙·드론 취재 준칙 등 제시 ▲ 2020 영상보도 가이드라인 / 출판사_그래픽시선 #1. 방사능 유출로 인해 피해가 발생한 지역에...
    Date2020.01.08 Views744 file
    Read More
  10. (줌인) 카메라기자의 빈자리

    카메라 기자의 빈자리 신고한 지 150일 만에 송환된 정유라를 공항에서 체포한 검찰과 그 뒤를 쫓는 위험한 레이싱이 도로 위에서 무법을 양산했다. 중앙선을 넘고 호송 차량을 가로막으며 속도경쟁을 벌이는 가운데 뉴스는 계속된다. 생방송을 연결한 회사는 ...
    Date2017.07.20 Views751 file
    Read More
  11. 더불어 사는‘살기 좋은 공간’ - 스마트 시티 <上>

    ‘살기 좋은 공간’을 만들기 위한 인간의 노력은 궁극적인 생존의 문제와도 같은 맥락에 닿아 있다. 무엇을 바꿀 것인가? 현재 무엇이 필요한가? 앞으로 살아가기 위한 대책은 무엇인가? 2050년 세계인구가 98억 명으로 증가하게 된다면, 도시는 더욱 커지고, ...
    Date2018.01.10 Views751 file
    Read More
  12. 이번 여름 이곳은 어떠세요? 굽이굽이 해안따라 만나는 태안해변길

    이번 여름 이곳은 어떠세요? 굽이굽이 해안따라 만나는 태안해변길 굽이굽이 리아스식 해안을 따라 아름다운 경관과 독특한 자연생태계를 자랑하는 태안해안국립공원은 2007년 12월 허베이스프리트호 원유유출사고로 인한 자연자원 훼손 방지대책 마련과 해안...
    Date2017.04.21 Views754 file
    Read More
  13. 제27회 국제 방송⋅음향⋅조명기기 전시회 열려

    제27회 국제 방송⋅음향⋅조명기기 전시회 열려 제27회 국제 방송⋅음향⋅조명기기 전시회(이하 KOBA 2017)가 지난 5월 16일부터 19일까지 4일간 서울 코엑스(COEX)전시장에서 열렸다. 이번 전시에는 한국이앤엑스와 한국방송기술인연합회가 공동주최하고 세계 각...
    Date2017.06.06 Views757 file
    Read More
  14. 힌츠페터 국제보도상 추진

    한국방송카메라기자협회 ‘힌츠페터 국제보도상’ 추진 광주광역시 “지원 적극 검토” 한국방송카메라기자협회(회장 한원상)는 1980년 당시 ‘5·18광주민주항쟁’의 참상을 전 세계에 처음 알린 독일 제1공영방송 소속 위르겐 힌츠페터(2016년 1월 사망)의 기자정신...
    Date2017.11.03 Views766 file
    Read More
  15. 대구⋅경북 카메라기자회, 다빈치교육 관심 높아

    대구⋅경북 카메라기자회, 다빈치교육 관심 높아 지난 5월 27일 대구⋅경북 카메라기자회(마승락 회장)는 대구MBC에서 다빈치에 관한 교육을 실시하였다. 이번 교육은 지역 카메라기자들이 진화하는 4K에 대한 다빈치 교육이 관심을 끌면서 색보정에 대한 교육의...
    Date2017.06.14 Views776 file
    Read More
  16. No Image

    (줌인) 가짜 뉴스·악마의 편집을 대하는 방법

    가짜 뉴스·악마의 편집을 대하는 방법 국정농단에 이은 탄핵과 조기 대선과정에서 대한민국은 ‘가짜 뉴스(fake news)’라는 거대한 괴물의 실체를 만났다. 언론사의 기사로 착각할 형식을 갖추고, 조작된 내용을 온라인과 신문형태 유인물로 살포하면서 구석구...
    Date2017.11.02 Views777
    Read More
  17. 취재현장 포토라인 개선방안 세미나 열려

    취재현장 포토라인 개선방안 세미나 열려 한국방송카메라기자협회(회장 한원상)가 주최하고 한국언론진흥재단(이사장 민병욱)이 후원한 ‘취재현장 포토라인 개선방안’ 세미나가 지난 13일 오후 6시 스텐포드 호텔(상암동)에서 개최되었다. 포토라인은 지난 199...
    Date2017.11.02 Views782 file
    Read More
  18. 일본정부, 위안부 문서 각의 결정

    일본정부, 위안부 문서 각의 결정 2007년 일본정부 각의 결정과 정면 충돌 일본정부는 카미토모코(紙智子, 62세) 일본 공산당 참의원 의원이 지난 16일에 제출한 “일본국립공문서관으로부터 내각관방부장관보실이 금년에 입수한 ‘위안부’ 관계문서에 관한 질문...
    Date2017.07.20 Views784 file
    Read More
  19. 멀티기자 단기교육 실시

    멀티기자 단기교육 실시 한국방송카메라기자협회(회장 한원상)는 방송기자연합회(회장 김현철)과 공동으로 멀티기자 교육을 실시했다. 이번 교육은 방송통신발전기금 저널리즘아카데미 사업의 일환으로 6월 28일부터 30일까지 방송회관 9층 강의실에서 개최되...
    Date2017.07.20 Views795 file
    Read More
  20. “없애는 것만이 능사는 아니다”포토라인과 알 권리

    “없애는 것만이 능사는 아니다”포토라인과 알 권리 전 대법원장의 패싱 구속된 양승태 전 대법원장은 포토라인을 무시했다. 그는 2019년 1월 11일 검찰에 출석하여 대법원 앞에서 ‘하고 싶은 말’을 한 후 검찰청 현관 앞에 마련된 포토라인을 패싱 해버렸다. ...
    Date2019.05.07 Views798 file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5 6 7 8 9 10 11 12 13 14 ... 41 Next
/ 41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