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회 수 933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인쇄 첨부


영상저널리즘의 재정의가 필요하다

 

 

20135월 미국에서 8번째로 큰 신문사인 시카고선 타임즈(The Chicago Sun Times)’는 퓰리처 상을 탄 베타랑 존 화이트(John H. White)를 포함한 28명의 정규직 사진기자들을 해고했다. 프리랜서 사진기자들을 고용해서 비용을 절감하려는 이러한 경향은 아이폰 사진(iphone Photography)이 커버 사진으로 사용될 정도로 아마추어 사진들의 영향력이 커진 이 시대에 더 이상 낯선 풍경이 아니다.

 

매체가 그 시대의 지배적인 커뮤니케이션 양식을 규정한다라는 플루셔(Vilem Flusser)의 설명처럼, 새로운 매체의 등장은 우리가 생각하고 행동하는 방식에 영향을 미친다. 디지털매체는 매체생산물의 단순한 수용자였던 사람들을 생산자의 지위로 끌어올렸을 뿐 아니라, 전에 존재하지 않았던 시공간이 압축된 새로운 매개 문화(Mediated culture)를 창조하고 있다. 새로운 매체는 새로운 소통방식과 의식 형태로의 출발점이다.


이러한 새로운 매체 문화에서 커뮤니케이션의 중요한 재료는 텍스트가 아닌 이미지가 채우고 있다. 이미지 중심의 페이스북이나 인스타그램의 높은 인기와 텍스트에 기반한 트위터의 상반된 쇠락에서 볼 수 있듯이, 이미지는 새로운 소통방식과 문화에서 그 중심을 차지한다. 매체철학자 볼츠(Norbert Boltz)는 텍스트에 집착하는 사람들을 디지털 시대의 문맹인으로 표현하면서 이미지는 지식의 저장고의 기능과 함께 사회적 커뮤니케이션의 중요한 단위로 작동하고 있음을 강조하고 있다. 텍스트의 매개 없이 공간자체를 전달할 수 있는 VR(Virtual Reality)같은 새로운 이미지 처리 기술의 등장, 텍스트를 영상화하고 이미지로 추상화하는 것이 일상화된 현대의 문화, 또 이미지 자체가 본질이 된 현대 사회 속에서 영상의 중요성은 지겨울 만큼 듣게 되는 일상적인 수사(Cliché)가 되었다.


하지만, 이러한 이미지 과잉의 시대 속에서 영상 전문가들이 해고되어 나가는 모습은 역설적이다. 사진에디터이자 이미지 연구분야의 권위자인 프레드 리친(Fred Ritchin) 뉴욕대 교수는 사진기자들은 혁신 아니면 죽음이라는 양자택일의 순간에 직면해 있다고 경고하고 있다. 그는 현대 영상저널리즘은 단순히 눈길을 끄는 이미지메이킹 작업을 넘어 어떻게 의미 있는 사진을 만들 것인가에 대한 혁신적 사고를 필요로 한다고 강조하고 있다


지금까지 인스타그램에서 생성되고 공유된 사진은 400억장이 넘으며, 유저들이 경험하는 주관적 진실과 다양한 관점들은 주요 언론사들의 권위적이고 배타적인 프로페셔널 이미지들과 다양한 플랫폼 위에서 충돌한다. 일방향적이고 폐쇄된 주류 언론사들의 정보전달 방식은 비선형적이고 탈중심적이며 다양한 관점이 교차하는 매체 환경 속에서 급격히 약화되고 있다.

 

이러한 매체 문화가 지배하는 시대는 수많은 이미지와 영상들을 새로운 소통방식에 맞게 창조하고 가공하고 재구성하는 영상전문가들을 필요로 한다. 리친 교수는 내러티브를 만들 수 있는 이미지 전문가들과 이야기꾼(Storyteller)의 수요는 폭발적이며, 이러한 흐름에 부합하지 못하면, 영상기자의 미래는 존재하지 않을 것이라고 진단한다.

 

영상제작이 대중화된 현대사회는 촬영이라는 영역을 전문가의 작업에서 대중적이고 일상적인 행위로 변화시켰다. 영상저널리즘은 이미 아마추어와 프로들의 이미지와 영상물들이 섞이는 혼종의 장이 되고 있다. 이와 함께 하이퍼텍스트가 가능한 디지털 플랫폼과 통신기술의 발전은 영상과 텍스트를 선형적으로 배치하던 기존의 틀을 넘어, 탈중심적이고 다관점적이며 즉각적이고 참여적인 새로운 제작방식으로의 변화를 촉발시키고 있다

큰 반향을 일으켰던 뉴욕타임즈의 이라크에서 전사한 얼굴들(Faces of the Dead in Iraq)’과 같은 주류 언론의 포토에세이나, 7억명의 사람들<7 Billion Others> 과 같은 비선형적 다큐멘터리는 시도된 지 벌써 십여 년이 넘은 낡은 사례가 되었으며, 최근 주류 언론들이 앞다투어 시도하고 있는 클라우드소싱 저널리즘(Crowdsourcing Journalism) 역시 이제 더 이상 몇몇 언론사들이 시도하는 일회성 이벤트가 아니다.

 

결국, 영상기자들이 새로운 시대의 변화된 커뮤니케이션 방식에 적응하는 것은 필수적이다. 변화된 시대는 영상기자들에게 기획과 프로덕션, 그리고 포스트 프로덕션 전반에 걸쳐 새로운 전문성을 요구한다. 분명한 점은, 새로운 매체의 등장과 이미지의 대중화 시대가 도래했다고 해서 영상저널리즘의 중요성은 변하지 않는다는 점이다. 영상의 생산과 변형, 그리고 유통이 대중화된 디지털 영상매체의 시대라고 해서 사실의 증거로서의 영상의 가능성을 폄하하는 것은 책임을 방치하는 일이다. 다양한 관점과 의견이 홍수처럼 쏟아지는 지점에서 실체를 규명하는 사건의 인용(Quotation from appearances) 으로서 맥락화된 영상의 역할은 결코 축소될 수 없다.

 

단지, 변화된 시대의 영상저널리즘은 증거로서의 영상이라는 기계적 중립성에 대한 맹목적 믿음에서부터, 이미지들의 맥락화와 다양한 관점을 반영하는 서사로 그 중심축을 옮겨 놓고 있다. 결국, 이러한 이미지 과잉의 시대에 영상저널리즘의 진정한 가치를 빛내는 작업은 이미지의 중립성 논쟁이나, 이미지의 품질을 논하는 전통적 개념을 넘어, 새로운 매체와 서사전개 방식에 부응할 수 있는 기술적 윤리적 가능성과 그 준비에 달려있다. 영상저널리즘의 재정의와 실천. 이는 이미 우리가 선택할 수 있는 하나의 옵션이 아니라 직종의 생존이 걸린 지점이다.



 20171112_143800_HDR.jpg




  1. (줌인) 영상저널리즘의 재정의가 필요하다

    영상저널리즘의 재정의가 필요하다 2013년 5월 미국에서 8번째로 큰 신문사인 ‘시카고선 타임즈(The Chicago Sun Times)’는 퓰리처 상을 탄 베타랑 존 화이트(John H. White)를 포함한 28명의 정규직 사진기자들을 해고했다. 프리랜서 사진기자들을 고용해서 ...
    Date2018.03.15 Views933 file
    Read More
  2. KBS 이사회, 고대영 사장에 대한 본격 해임절차

    KBS 이사회 해임제청안 상정 지난 10일 KBS 이사회는 서울 여의도 KBS에서 비공개 임시 이사회를 열고 고대영 사장에 대한 해임제청안을 이사회에 공식 안건으로 상정했다. 129일 동안 지속된 파업을 끝내고 공영방송 정상화가 가능할지 귀추가 주목된다. 앞...
    Date2018.01.12 Views733 file
    Read More
  3. 더불어 사는 '살기 좋은 공간' - 스마트 시티 <下>

    ‘함께 살아가는 방법’ 그러면 이런 살기 좋은 공간을 만들기 위해 노력하고, 함께 살아가는 방법은 무엇인가? 스페인 바르셀로나에 사는 C 씨, 그의 옆집에 사는 아저씨를 그 동네에선 ‘오꾸빠(Okupa, 영어의 Occupy)’라고 부른다. 오꾸빠는 2008년 금융위기 ...
    Date2018.01.12 Views732 file
    Read More
  4. 한국방송카메라기자협회 창립 30주년

    카메라기자의 권익과 영상 발전을 위해 노력한 30년 지난 11월 7일 한국방송카메라기자협회가 창립 30주년을 맞이했다. 지난 반세기 동안 권력의 탄압과 언론자유를 수호하는데 앞장서 온 한국방송카메라기자협회의 역사를 되돌아본다. 1987년 11월 7일 프레스...
    Date2018.01.10 Views1249 file
    Read More
  5. 한국방송카메라기자협회, 광주시의회와 '한츠페터상 제정 논의'

    광주시의회, 한국방송카메라기자협회 제안에 검토 입장 지난 12월 7일 한원상 회장이 광주시의회를 방문해서 이은방 의장과 면담을 가지고 '위르겐 힌츠페터 상' 제정 방안을 논의했다. 왼쪽부터 한원상 회장, 이은방 의장, 김영범 부국장(MBC), 서재덕 부장(K...
    Date2018.01.10 Views717 file
    Read More
  6. 더불어 사는‘살기 좋은 공간’ - 스마트 시티 <上>

    ‘살기 좋은 공간’을 만들기 위한 인간의 노력은 궁극적인 생존의 문제와도 같은 맥락에 닿아 있다. 무엇을 바꿀 것인가? 현재 무엇이 필요한가? 앞으로 살아가기 위한 대책은 무엇인가? 2050년 세계인구가 98억 명으로 증가하게 된다면, 도시는 더욱 커지고, ...
    Date2018.01.10 Views751 file
    Read More
  7. '한국방송카메라기자상' 트로피, 작가에게 들어본다<1>본상 트로피

    본상 트로피 휴먼을 상징한다. 형상이 의미하듯 조리개를 넓게 혹은 좁게..... 보는 각도에 따라 변하는 것들에 대한 깊은 통찰과 삶의 가치를 보다 넓고 깊게 추구함을 테마로한 트로피이다. 박진환 / 장인미술 작가 ⋅현 장인미술 작가 ⋅춘천 에디오피아 6.2...
    Date2018.01.10 Views825 file
    Read More
  8. '한국방송카메라기자상' 트로피, 작가에게 들어본다<2>굿 뉴스 메이커상, 특별상, 공로상 트로피

    굿 뉴스 메이커상, 특별상, 공로상 트로피 큐브는 한 개의 꼭짓점에 3개의 면이 만나고, 모두 6개의 정사각형 면으로 이루어진 3차원 정다면체다. 그것은 완벽한 기호를 지향하여 인간이 만든 구조적인 세계를 조형적으로 압축해 낸다. 그러한 세계는 아스키...
    Date2018.01.10 Views828 file
    Read More
  9. '한국방송카메라기자상' 상장 작품 작가에게 들어본다.

    신창세기 ( Re-Genesis) 나는 1999년 삼베 위에 옻칠을 하면서 지금까지 신창세기라는 작품을 (Re-Genesis) 계속 발표하고 있다. 이번 그림을 대나무와 나팔을 모티브로 삼은 것은 기자들이 사철 푸르고 속이 비어있는 따뜻한 대나무와 같이 마음을 비울 때 ...
    Date2018.01.09 Views522 file
    Read More
  10. 줌인-과유불급(過猶不及)

    윤영찬 국민소통 수석(맨 왼쪽)이 진행한 '특집방송 11시 50분 청와댑니다'에 출연한 남관표 안보실 2차장, 김현철 경제보좌관(오른쪽부터). 출처: 청와대 페이스북 ‘특집방송 11시 50분 청와댑니다’ 윤영찬 국민소통수석이 진행하고 남관표 안보실 2차장, 김...
    Date2018.01.09 Views610
    Read More
  11. 다시 뛰는 MBC 영상기자

    뉴스콘텐츠취재 2부 재건된 부서팻말 MBC 파업을 승리로 이끈 영상기자들 공정방송을 위한 73일간의 총력 투쟁이 언론노동자들의 승리로 막을 내렸다. 시사매거진2580의 제작거부, 영상기자 블랙리스트 폭로부터 영상편집부의 왜곡·조작 보도지침 폭로 기자회...
    Date2018.01.09 Views1116 file
    Read More
  12. KBS 파업은 현재...

    KBS의 기자들은 8월28일 시작한 기자협회의 제작거부를 현재까지 이어오고 있다. 기협의 제작거부를 기점으로 KBS양대노조도 파업을 잇달아 시작하였다. KBS노조는 총파업 선언 이후 지명파업을 거쳐 방송법이 개정되면 사퇴하겠다는 고대영 사장의 말에 11월...
    Date2018.01.09 Views583 file
    Read More
  13. 위르겐 힌츠페터 기자를 도운 파울 슈나이스 목사

    1980년 <5⋅18 광주 민주항쟁>의 진상을 카메라에 담아 전 세계에 알린 당시 독일 제1공영방송사(ARD)의 도쿄 특파원, 위르겐 힌츠페터(2016년 1월 사망). 힌츠페터에게 광주의 소식을 처음 알린 사람은 당시 일본에서 동아시아 선교사로 활동한 독일인 파울 슈...
    Date2017.11.04 Views1014 file
    Read More
  14. 힌츠페터 국제보도상 추진

    한국방송카메라기자협회 ‘힌츠페터 국제보도상’ 추진 광주광역시 “지원 적극 검토” 한국방송카메라기자협회(회장 한원상)는 1980년 당시 ‘5·18광주민주항쟁’의 참상을 전 세계에 처음 알린 독일 제1공영방송 소속 위르겐 힌츠페터(2016년 1월 사망)의 기자정신...
    Date2017.11.03 Views766 file
    Read More
  15. MBC노조 “부당한 ‘보도영상지침' 내렸다” 폭로

    세월호, 촛불시위 등 축소⋅왜곡...... “김장겸 사장 등 관련자 법적 대응 방침” MBC 보도국이 뉴스를 제작하는 과정에서 세월호 참사와 촛불 집회 등과 관련해서 ‘불공정한 보도영상지침'이 존재했다는 사실이 폭로되었다. 여기에는 김장겸 현 MBC 사장이 관...
    Date2017.11.03 Views742 file
    Read More
  16. 지역 방송사, 지방자치단체 홍보영상 의존도 심각해

    지역 방송사, 지방자치단체 홍보영상 의존도 심각해 방송의 객관성⋅공정성에 부합한 지 검토 필요 방송통신위원회와 방송통신심의위원회, 제도적 장치 마련 필요 한국방송카메라기자협회,‘영상보도윤리’지켜나갈 것 지역 방송사들이 인력난의 이유로 지방자치...
    Date2017.11.03 Views736 file
    Read More
  17. KBS·MBC 총파업, 경영진 사퇴와 공영방송 정상화 촉구

    KBS·MBC 총파업, 경영진 사퇴와 공영방송 정상화 촉구 방통위, 방문진 업무 검사 이어 ‘보궐이사’ 2명 선임 방송통신위원회(이하 방통위)가 지난 26일 MBC 대주주인 방송문화진흥회의 보궐이사 2명을 선임하면서 ‘공영방송 개편’을 본격적으로 시작했다. 전국...
    Date2017.11.02 Views692 file
    Read More
  18. 낙하산이 없는 회사에 다니자

    “낙하산이 없는 회사에 다니자” 전 직장에 다닐 때 내가 항상 생각하던 말이다. 공직자들이 퇴진 후 노후수단으로 기관장으로 오거나, 여당 정치인이 자신들의 전리품인 마냥 공공기관장으로 내려오는 것을 보고 지내면서 그들의 무소신과 무능력에 개탄하지 ...
    Date2017.11.02 Views639 file
    Read More
  19. <영상기자 블랙리스트>, 김장겸을 정조준하다!

    <영상기자 블랙리스트>, 김장겸을 정조준하다! 긴박했던 영상기자 비상총회 지난 8월 7일 오후 6시30분 경영센터 2층 M라운지. 긴급 소집된 MBC 영상기자회 비상총회가 열렸다. 심상치 않은 분위기 속에 많은 영상기자들이 한 자리에 모였고, 권혁용 영상기자...
    Date2017.11.02 Views533 file
    Read More
  20. 지워진 영상기자, 가려진 진실

    지워진 영상기자, 가려진 진실 사측이 원하는 ‘카메라’라는 존재 2012년 8월 17일 김재철 사장은 보도영상부문을 갈기갈기 해체했다. 경영진은 끊임없이 영상기자 직군의 존재를 부정했다. 그들에게 우리는 어긋난 존재였다. 방송 제작 환경에 적합하지 않은, ...
    Date2017.11.02 Views562 file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4 5 6 7 8 9 10 11 12 13 ... 41 Next
/ 41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