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회 수 846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인쇄 첨부


영상저널리즘의 재정의가 필요하다

 

 

20135월 미국에서 8번째로 큰 신문사인 시카고선 타임즈(The Chicago Sun Times)’는 퓰리처 상을 탄 베타랑 존 화이트(John H. White)를 포함한 28명의 정규직 사진기자들을 해고했다. 프리랜서 사진기자들을 고용해서 비용을 절감하려는 이러한 경향은 아이폰 사진(iphone Photography)이 커버 사진으로 사용될 정도로 아마추어 사진들의 영향력이 커진 이 시대에 더 이상 낯선 풍경이 아니다.

 

매체가 그 시대의 지배적인 커뮤니케이션 양식을 규정한다라는 플루셔(Vilem Flusser)의 설명처럼, 새로운 매체의 등장은 우리가 생각하고 행동하는 방식에 영향을 미친다. 디지털매체는 매체생산물의 단순한 수용자였던 사람들을 생산자의 지위로 끌어올렸을 뿐 아니라, 전에 존재하지 않았던 시공간이 압축된 새로운 매개 문화(Mediated culture)를 창조하고 있다. 새로운 매체는 새로운 소통방식과 의식 형태로의 출발점이다.


이러한 새로운 매체 문화에서 커뮤니케이션의 중요한 재료는 텍스트가 아닌 이미지가 채우고 있다. 이미지 중심의 페이스북이나 인스타그램의 높은 인기와 텍스트에 기반한 트위터의 상반된 쇠락에서 볼 수 있듯이, 이미지는 새로운 소통방식과 문화에서 그 중심을 차지한다. 매체철학자 볼츠(Norbert Boltz)는 텍스트에 집착하는 사람들을 디지털 시대의 문맹인으로 표현하면서 이미지는 지식의 저장고의 기능과 함께 사회적 커뮤니케이션의 중요한 단위로 작동하고 있음을 강조하고 있다. 텍스트의 매개 없이 공간자체를 전달할 수 있는 VR(Virtual Reality)같은 새로운 이미지 처리 기술의 등장, 텍스트를 영상화하고 이미지로 추상화하는 것이 일상화된 현대의 문화, 또 이미지 자체가 본질이 된 현대 사회 속에서 영상의 중요성은 지겨울 만큼 듣게 되는 일상적인 수사(Cliché)가 되었다.


하지만, 이러한 이미지 과잉의 시대 속에서 영상 전문가들이 해고되어 나가는 모습은 역설적이다. 사진에디터이자 이미지 연구분야의 권위자인 프레드 리친(Fred Ritchin) 뉴욕대 교수는 사진기자들은 혁신 아니면 죽음이라는 양자택일의 순간에 직면해 있다고 경고하고 있다. 그는 현대 영상저널리즘은 단순히 눈길을 끄는 이미지메이킹 작업을 넘어 어떻게 의미 있는 사진을 만들 것인가에 대한 혁신적 사고를 필요로 한다고 강조하고 있다


지금까지 인스타그램에서 생성되고 공유된 사진은 400억장이 넘으며, 유저들이 경험하는 주관적 진실과 다양한 관점들은 주요 언론사들의 권위적이고 배타적인 프로페셔널 이미지들과 다양한 플랫폼 위에서 충돌한다. 일방향적이고 폐쇄된 주류 언론사들의 정보전달 방식은 비선형적이고 탈중심적이며 다양한 관점이 교차하는 매체 환경 속에서 급격히 약화되고 있다.

 

이러한 매체 문화가 지배하는 시대는 수많은 이미지와 영상들을 새로운 소통방식에 맞게 창조하고 가공하고 재구성하는 영상전문가들을 필요로 한다. 리친 교수는 내러티브를 만들 수 있는 이미지 전문가들과 이야기꾼(Storyteller)의 수요는 폭발적이며, 이러한 흐름에 부합하지 못하면, 영상기자의 미래는 존재하지 않을 것이라고 진단한다.

 

영상제작이 대중화된 현대사회는 촬영이라는 영역을 전문가의 작업에서 대중적이고 일상적인 행위로 변화시켰다. 영상저널리즘은 이미 아마추어와 프로들의 이미지와 영상물들이 섞이는 혼종의 장이 되고 있다. 이와 함께 하이퍼텍스트가 가능한 디지털 플랫폼과 통신기술의 발전은 영상과 텍스트를 선형적으로 배치하던 기존의 틀을 넘어, 탈중심적이고 다관점적이며 즉각적이고 참여적인 새로운 제작방식으로의 변화를 촉발시키고 있다

큰 반향을 일으켰던 뉴욕타임즈의 이라크에서 전사한 얼굴들(Faces of the Dead in Iraq)’과 같은 주류 언론의 포토에세이나, 7억명의 사람들<7 Billion Others> 과 같은 비선형적 다큐멘터리는 시도된 지 벌써 십여 년이 넘은 낡은 사례가 되었으며, 최근 주류 언론들이 앞다투어 시도하고 있는 클라우드소싱 저널리즘(Crowdsourcing Journalism) 역시 이제 더 이상 몇몇 언론사들이 시도하는 일회성 이벤트가 아니다.

 

결국, 영상기자들이 새로운 시대의 변화된 커뮤니케이션 방식에 적응하는 것은 필수적이다. 변화된 시대는 영상기자들에게 기획과 프로덕션, 그리고 포스트 프로덕션 전반에 걸쳐 새로운 전문성을 요구한다. 분명한 점은, 새로운 매체의 등장과 이미지의 대중화 시대가 도래했다고 해서 영상저널리즘의 중요성은 변하지 않는다는 점이다. 영상의 생산과 변형, 그리고 유통이 대중화된 디지털 영상매체의 시대라고 해서 사실의 증거로서의 영상의 가능성을 폄하하는 것은 책임을 방치하는 일이다. 다양한 관점과 의견이 홍수처럼 쏟아지는 지점에서 실체를 규명하는 사건의 인용(Quotation from appearances) 으로서 맥락화된 영상의 역할은 결코 축소될 수 없다.

 

단지, 변화된 시대의 영상저널리즘은 증거로서의 영상이라는 기계적 중립성에 대한 맹목적 믿음에서부터, 이미지들의 맥락화와 다양한 관점을 반영하는 서사로 그 중심축을 옮겨 놓고 있다. 결국, 이러한 이미지 과잉의 시대에 영상저널리즘의 진정한 가치를 빛내는 작업은 이미지의 중립성 논쟁이나, 이미지의 품질을 논하는 전통적 개념을 넘어, 새로운 매체와 서사전개 방식에 부응할 수 있는 기술적 윤리적 가능성과 그 준비에 달려있다. 영상저널리즘의 재정의와 실천. 이는 이미 우리가 선택할 수 있는 하나의 옵션이 아니라 직종의 생존이 걸린 지점이다.



 20171112_143800_HDR.jpg




  1. No Image

    2007 MBC와 사랑할 시간

    <안녕하세요? 2007 신입카메라기자입니다> 2007 MBC와 사랑할 시간 혹독하게도 추운 겨울이었다. 뉴스에서는 백년만의 따뜻한 겨울이라고 연일 이상고온을 강조하고 있었지만, 합격자 발표를 초조히 기다리는 두 남자의 심정은 매일 매일이 혹한기였다. 그렇...
    Date2007.02.20 Views5798
    Read More
  2. No Image

    19대 총선과 보도영상의 공정성 세미나 개최

    한국방송카메라기자협회(회장 태양식)는 5월 25일 오후 6시, 서울 그린월드호텔에서 ‘19대 총선과 보도영상의 공정성’ 세미나 및 제43회 이달의 카메라기자상 시상식을 개최한다. 이 세미나는 미디어 정치 시대의 영상저널리즘은 어떤 성격을 지니고 있고 바...
    Date2012.04.28 Views2678
    Read More
  3. 19대 대통령 선거 무엇을 보도 할 것인가 -방송언론의 독립 없이 진정한 민주주의 없다.

    19대 대통령 선거 무엇을 보도 할 것인가 방송언론의 독립 없이 진정한 민주주의 없다. 1987년 이후 민주화 과정에서 방송사들은 정권과 권력으로부터 독립되고 간섭에 영향 받지 않는 공정방송의 시스템을 만들기 위해 끊임없이 노력해왔다. 영상취재 준칙 제...
    Date2017.05.23 Views419 file
    Read More
  4. 12월 1일 이후 지상파 DMB 방송 시작과 낮방송 확대

    12월 1일 이후 -지상파 DMB 방송 시작과 낮방송 확대 지상파 DMB 방송이 시작되었다. 또 낮 시간 방송연장으로 시청자들은 장소와 시간에 구애 없이 지상파 방송을 볼 수 있게 되었다. 방송시간 연장은 단순한 방송의 연장이 아니고 콘텐츠양의 증가를 의미한...
    Date2005.12.16 Views6319
    Read More
  5. 100호 발행 축사-박원순 시장

    영상저널리즘의 바른 길을 모색하는 한국방송카메라기자협회의 회보 <카메라기자>가 벌써 발행 100회를 맞았습니다. 오늘도 어김없이 전국 현장 곳곳에서 고군분투 하고 계실 방송카메라기자 여러분들이 흘린 땀과 열정이 맺은 결실입니다. 진심으로 축하드립...
    Date2015.09.07 Views1512 file
    Read More
  6. 100호 발행 축사- 양동암

    카메라기자의 생각을 공유하는 신문 어떤 과거의 일은 꽤 시간이 지났는데도 한 장의 사진처럼 떠오르는 경우가 있습니다. 카메라기자 신문 100호 기념 원고 청탁을 받고 떠올려본 2003년. 그 기억 역시 겨울의 끄트머리 충무로 인쇄골목의 여백이라는 조그만 ...
    Date2015.09.04 Views1268 file
    Read More
  7. 100호 발행 축사- 심상정 대표

    무더운 여름날, 땀은 비 오듯이 흐르고 걸음 속도에 맞춘 뒷걸음질이 아슬아슬 합니다. 눈이 뒤에라도 있는 양 능숙한 발걸음이지만 한 눈에 보아도 육중한 카메라가 더 없이 묵직해 보입니다. “조심하세요” 라고 말씀드리려는 찰나 사방에서 질문이 쏟아지고,...
    Date2015.09.07 Views1123 file
    Read More
  8. 100호 발행 축사- 신진수

    충무로의 밤을 지키고 있을 또 다른이들에게 “신차장, 협회 편집부장 좀 맡아줘..” “헉! 선배.. 다른 어떤 일이라도 다 맡을 테니 신문 만드는 것만은 제발 좀…” 팀 선배인 태양식 회장이 2011년 카메라기자협회장으로 취임하자마자 회장사 후배로서 당연히 협...
    Date2015.09.04 Views1086 file
    Read More
  9. 100호 발행 축사- 성인현

    100호에서 200호, 300호가 되길 바라며. 내가 한국방송카메라기자협회 신문을 발행한게 17호부터였으니 벌써 10년이 넘은 일이다. 당시에는 월간지였고, 한번은 16면으로 증면 발행한 기억도 있다. 협회보가 친목의 장으로써 우리 회원들의 동정이나 알아야할 ...
    Date2015.09.04 Views1083 file
    Read More
  10. 100호 발행 축사- 문재인 대표

    반갑습니다. 새정치민주연합 당대표 문재인입니다. 먼저, 한국방송카메라기자협회의 카메라기자협회보 100호 발간을 대단히 뜻 깊게 생각하며 진심으로 축하합니다. 아울러 역사의 현장에서 최고의 영상을 담기 위해 최선을 다하고 계신 카메라기자 여러분들의...
    Date2015.09.07 Views1432 file
    Read More
  11. 100호 발행 축사- 김무성 대표

    안녕하십니까? 새누리당 대표최고위원 김무성입니다. 카메라기자 100호 발행을 진심으로 축하드립니다. 1987년 창립 이래 한국방송카메라기자협회는 우리나라 자유언론의 발전과 방송문화 창달을 위해 많은 노력을 해왔습니다. 현장을 밤낮없이 발로 뛰며 시대...
    Date2015.09.07 Views1563 file
    Read More
  12. 10.29 참사 취재한 영상기자들, 심각한 트라우마 호소

    10.29 참사 취재한 영상기자들, 심각한 트라우마 호소 영상기자들, ‘확장된 기억’ 때문에 트라우마 피해 다른 언론직종 비해 더 심각 10.29이태원참사 초기, 참사현장과 합동분향소, 영안실 등을 취재했던 많은 영상기자들이 심각한 취재트라우마를 호소하고 ...
    Date2022.12.28 Views252 file
    Read More
  13. No Image

    -건의-카메라 로고 스티커 제작합시다.

    ytn 윤원식입니다. 예전에 한국방송카메라기자 스티커 제작하지 않았습니까? 소속감도 생기고 좋더군요. p2나 xdcam 으로 바뀌면서 안 붙여져 있는데, 새로이 제작해서 회원들이 붙여서 다닐수 있으면 좋겠습니다. 한국방송카메라기자협회 카메라 부착 스티커 ...
    Date2010.02.27 Views5255
    Read More
  14. No Image

    - 경찰서 마다 외부 연결 인터넷 라인이 있다면?

    어제 동대문 경찰서 성폭행범 찍으러 갔었드랬습니다. 경찰서 취재 많이 가는데요. 요즘 각사가 대부분 인터넷 송출을 합니다. 많이 하죠. 근데, 인터넷 송출할 경우 경찰서 취재때는 항상 pc방을 찾거나 주변 인터넷이 되는 곳을 찾느라 밖으로 나가 시간을 ...
    Date2010.07.17 Views4269
    Read More
  15. No Image

    (칼럼) 영상기자 2세대의 자가당착(自家撞着)

    영상기자 2세대의 자가당착(自家撞着) 1950년 한국전쟁의 발발과 함께, 등장한 한국의 영상기자는 올해로 61년의 직업적 역사와 전통을 가지며, 발전해오고 있다. 60여년 ‘한국영상저널리즘사’에 있어서, 영상기자 2세대는 한국영상저널리즘의 아버지들이라고 ...
    Date2011.05.21 Views3509
    Read More
  16. No Image

    (줌인)방송카메라기자에 대한 폭행 더 이상 두고 볼 수 없다.

    방송카메라기자에 대한 폭행 더 이상 두고 볼 수 없다. 지난 2월1일 SK그룹 최태원 회장과 최재원 부회장에 대한 선거 공판과정을 취재하던 KBS 정환욱 기자가 취재를 막으려는 SK측 경호원에 의해 발등 뼈가 부러지는 큰 부상을 입었다. 포토라인이 무너지는 ...
    Date2013.03.29 Views2441
    Read More
  17. (줌인) 카메라기자의 빈자리

    카메라 기자의 빈자리 신고한 지 150일 만에 송환된 정유라를 공항에서 체포한 검찰과 그 뒤를 쫓는 위험한 레이싱이 도로 위에서 무법을 양산했다. 중앙선을 넘고 호송 차량을 가로막으며 속도경쟁을 벌이는 가운데 뉴스는 계속된다. 생방송을 연결한 회사는 ...
    Date2017.07.20 Views713 file
    Read More
  18. (줌인) 영상저널리즘의 재정의가 필요하다

    영상저널리즘의 재정의가 필요하다 2013년 5월 미국에서 8번째로 큰 신문사인 ‘시카고선 타임즈(The Chicago Sun Times)’는 퓰리처 상을 탄 베타랑 존 화이트(John H. White)를 포함한 28명의 정규직 사진기자들을 해고했다. 프리랜서 사진기자들을 고용해서 ...
    Date2018.03.15 Views846 file
    Read More
  19. (줌인) 뉴스 영상 저작권 시대를 열며

    줌인(카메라기자 107호) 뉴스 영상 저작권 시대를 열며 뉴스 영상 저작권 시대가 열렸다. ‘언론자유’와 ‘국민의 알 권리 실현’을 위해 노력한 카메라 기자의 땀과 열정이 그 결실을 보게 된 것으로 자축하지 않을 수 없다. 방송 뉴스 미디어의 선진국이라 자부...
    Date2017.06.21 Views904 file
    Read More
  20. (줌인) 뉴스 그리고 ‘재현의 공간’

    뉴스 그리고 ‘재현의 공간’ 인간은 공간에 기초하여 삶을 뿌리박고, 사회적 관계를 영위하며 살아간다. 이런 공간에 대해 르페브르는 지각 공간으로 물리적 구체화를 만들어 ‘공간적 실천’을 하면서, 지식과 기호, 코드 등을 사용하여 ‘공간을 재현’해 구체화...
    Date2017.08.29 Views439 file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Next
/ 40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