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회 수 396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인쇄 첨부
[신간 소개]  
              흐름의 한국 축적의 일본
                        한일 간 차이를 만드는 세 가지 축
 
 
å 사진.jpg

 

저자 국중호 일본 요코하마시립대학교 국제종합과학부 교수

 
한국과 일본, 무엇이 그렇게 다른가?
일본을 알아야 한국이 보인다
 
  한국이 몇 년 내지 몇 십 년 차이를 두고 일본의 상황을 그대로 따라간다는 식의 진단을 들어봤을 것이다. 그런 징후로 일본이 앞서 겪었고 이제 한국에서 가시화되고 있는 저출산과 고령화, 저성장 진행을 꼽기도 하는데, 과연 그러한 진단은 사실일까?
 
 한국과 일본의 대학에서 각각 경제학 박사학위를 취득하고, 30년 가까이 머물면서 일본을 깊이 경험한 저자는 그런 진단은 일부 현상적 징후가 엇비슷하게 나타남을 지적하는 데 불과하다고 말한다. 물리적인 거리는 가까워도, 양국 간에는 그 근저에 깔린 사고방식을 비롯해 질적 및 양적으로 두드러진 차이를 보인다는 것이다. 그러면서 한국과 일본의 경제, 사회, 정치 등을 조목조목 비교하고 그 차이를 이 책에 상세히 밝히고 있다.
 
 그는 양국 비교 및 이해를 위한 세 가지 축을 제시한다‘. 넓고 얕게’의 한국과‘ 깊고 좁게’의 일본, 디지털 한국과 아날로그 일본, 흐름의 한국과 축적의 일본이 바로 그것이다. 특히 여기서 한국의‘ 흐름’ 속성과 일본의 ‘축적’ 속성에 주목하면서 앞으로 두 나라가 서로 가진 장점을 배우고 조화를 이뤄 더 나은 미래를 향해 나아갈 것을 제안하고 있다.
 
 
차이를 만드는 세 가지 축
 
 저자가 양국 비교를 위해 제시한 세 가지 축 중 그 첫 번째는‘, 넓고 얕게’의 한국과‘ 깊고 좁게’의 일본이다. 그에 따르면, 한국인은 자신의 전문분야 외에 관여하는 곳이 많은 편이다. 자신의 전문 분야에 대한 식견이 다른 분야보다 높기는 하지만, 다른 분야에 대해서도 관심을 보이며 상당 정도의 지식을 갖고 있다. 이에 비해 일본인은 여기저기 관여하는 바가 적은 편이라 자신이 종사하는 전문 분야에 깊이 파고드는 성향이 강하다.
 
 두 번째는, 디지털 한국과 아날로그 일본이라는 축이다. 조선 말기 쇄국 정책, 일제 식민지 지배, 한국전쟁을 거친 한국은 거의 모든 산업에서 일본에 뒤져 있었다. 그러던 한국이 일본을 따라잡고 앞서가는 대표적인 분야가 ICT 산업이다. 이것저것을 경험하며 다시 비약을 이뤄보려는 성향이 강한 한국인에게는 디지털 속성이 잘 들어맞았기 때문이다.이와 달리 일본인은 조직 내 사람들과 연계하며 그동안 해오던 방식을 조금씩 개선해나가는 아날로그적 사고에 익숙하다. 그래서 일본은 아날로그 기술과 부합하는 자동차나 기계장비 산업에서 강점을 발휘한다.
 
 세 번째는 흐름의 한국과 축적의 일본이라는 축이다. 대륙과 해양을 잇는 지역에 위치한 한반도는 이것저것 혼합되어 흐름의 속성이 역력하다. 쌓인 자산이 금방 소진되기도 하고 다시 일약 큰 소득을 벌어들이기도 한다. 이와 달리 대륙의 끝 섬에 자리 잡은 일본은 갖가지를 쌓아가는 축적 성향의 기질이 강하다. 장기간에 걸친 기술·자본·지식 축적이 많은 반면, 국채 누증처럼 바람직하지 않은 것도 쌓여왔다.
 
 이 세 가지 축을 통해 저자는 사회, 경제, 정치 등에서 양국이 어떠한 특징적 차이를 보이는지, 한국인과 일본인의 생각이나 사고방식은 어떻게 다른지 명확히 밝히면서, 앞으로 우리가 취해야 할 태도 및 나아갈 방향 등을 제시하고 있다.

  1. No Image

    국방부 카메라기자실 신설

    02Jun
    by
    2011/06/02 Views 3713 
  2. No Image

    YTN 전산장애

    04Jun
    by
    2013/06/04 Views 1955 
  3. "KBS 현장 포착" 그리고 뉴스의 내일

    01Jun
    by
    2005/06/01 Views 6384 
  4. No Image

    "NHK, 눈물의 내부고발" 그리 멀지 않은 미래 우리의 모습이```

    24Mar
    by
    2005/03/24 Views 6983 
  5. No Image

    "YTN" 우리는 상식을 지키기 위한 싸움을 하고 있습니다.

    10Jan
    by
    2009/01/10 Views 4792 
  6. No Image

    "내가 보아야 국민이 본다는 각오로 항상 먼저 보겠습니다"

    13Mar
    by
    2006/03/13 Views 6201 
  7. No Image

    "믿음을 주는 정직한 카메라기자가 되겠습니다"

    12Jan
    by
    2008/01/12 Views 6823 
  8. "바다와 같은 사람이 되도록 노력하겠습니다"

    04Jul
    by
    2008/07/04 Views 6294 
  9. No Image

    "바람직한 보도 기준 정립의 계기 마련"

    18May
    by
    2007/05/18 Views 6954 
  10. No Image

    "백 마디 말보다 강력한 한 컷의 영상"

    20Feb
    by
    2007/02/20 Views 6534 
  11. "아는 만큼 보인다" 선배님, 알고 싶습니다!

    14Mar
    by
    2006/03/14 Views 6379 
  12. "아빠, 오늘은 어디 갔었어?"

    17May
    by
    2007/05/17 Views 6621 
  13. No Image

    "카메라기자들 까짓 것..."

    18May
    by
    2006/05/18 Views 6306 
  14. No Image

    "카메라기자의 코너... 그 시작에 대한 책임감 커"

    25Jun
    by
    2007/06/25 Views 7303 
  15. No Image

    "훌륭한 후배들과의 경쟁에서 뒤쳐지지 않겠다."

    11May
    by
    2005/05/11 Views 6356 
  16. No Image

    <YTN은 지금!> "투쟁 끝났습니까?"

    14Apr
    by
    2009/04/14 Views 4510 
  17. No Image

    <디지털 방송환경의 변화와 보도영상 세미나> 참관기

    25Jun
    by
    2010/06/25 Views 4016 
  18. No Image

    <미디어아이>의 최효진 기자입니다!

    10Oct
    by
    2009/10/10 Views 5277 
  19. <세종로청사> KBS 민상기 국장 정년 퇴임식 및 송별회

    13Jun
    by
    2009/06/13 Views 5469 
  20. <영상보도가이드라인> 2차 개정 본격 돌입

    08May
    by
    2024/05/08 Views 1592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41 Next
/ 41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