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회 수 339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인쇄 첨부
[신간 소개]  
              흐름의 한국 축적의 일본
                        한일 간 차이를 만드는 세 가지 축
 
 
å 사진.jpg

 

저자 국중호 일본 요코하마시립대학교 국제종합과학부 교수

 
한국과 일본, 무엇이 그렇게 다른가?
일본을 알아야 한국이 보인다
 
  한국이 몇 년 내지 몇 십 년 차이를 두고 일본의 상황을 그대로 따라간다는 식의 진단을 들어봤을 것이다. 그런 징후로 일본이 앞서 겪었고 이제 한국에서 가시화되고 있는 저출산과 고령화, 저성장 진행을 꼽기도 하는데, 과연 그러한 진단은 사실일까?
 
 한국과 일본의 대학에서 각각 경제학 박사학위를 취득하고, 30년 가까이 머물면서 일본을 깊이 경험한 저자는 그런 진단은 일부 현상적 징후가 엇비슷하게 나타남을 지적하는 데 불과하다고 말한다. 물리적인 거리는 가까워도, 양국 간에는 그 근저에 깔린 사고방식을 비롯해 질적 및 양적으로 두드러진 차이를 보인다는 것이다. 그러면서 한국과 일본의 경제, 사회, 정치 등을 조목조목 비교하고 그 차이를 이 책에 상세히 밝히고 있다.
 
 그는 양국 비교 및 이해를 위한 세 가지 축을 제시한다‘. 넓고 얕게’의 한국과‘ 깊고 좁게’의 일본, 디지털 한국과 아날로그 일본, 흐름의 한국과 축적의 일본이 바로 그것이다. 특히 여기서 한국의‘ 흐름’ 속성과 일본의 ‘축적’ 속성에 주목하면서 앞으로 두 나라가 서로 가진 장점을 배우고 조화를 이뤄 더 나은 미래를 향해 나아갈 것을 제안하고 있다.
 
 
차이를 만드는 세 가지 축
 
 저자가 양국 비교를 위해 제시한 세 가지 축 중 그 첫 번째는‘, 넓고 얕게’의 한국과‘ 깊고 좁게’의 일본이다. 그에 따르면, 한국인은 자신의 전문분야 외에 관여하는 곳이 많은 편이다. 자신의 전문 분야에 대한 식견이 다른 분야보다 높기는 하지만, 다른 분야에 대해서도 관심을 보이며 상당 정도의 지식을 갖고 있다. 이에 비해 일본인은 여기저기 관여하는 바가 적은 편이라 자신이 종사하는 전문 분야에 깊이 파고드는 성향이 강하다.
 
 두 번째는, 디지털 한국과 아날로그 일본이라는 축이다. 조선 말기 쇄국 정책, 일제 식민지 지배, 한국전쟁을 거친 한국은 거의 모든 산업에서 일본에 뒤져 있었다. 그러던 한국이 일본을 따라잡고 앞서가는 대표적인 분야가 ICT 산업이다. 이것저것을 경험하며 다시 비약을 이뤄보려는 성향이 강한 한국인에게는 디지털 속성이 잘 들어맞았기 때문이다.이와 달리 일본인은 조직 내 사람들과 연계하며 그동안 해오던 방식을 조금씩 개선해나가는 아날로그적 사고에 익숙하다. 그래서 일본은 아날로그 기술과 부합하는 자동차나 기계장비 산업에서 강점을 발휘한다.
 
 세 번째는 흐름의 한국과 축적의 일본이라는 축이다. 대륙과 해양을 잇는 지역에 위치한 한반도는 이것저것 혼합되어 흐름의 속성이 역력하다. 쌓인 자산이 금방 소진되기도 하고 다시 일약 큰 소득을 벌어들이기도 한다. 이와 달리 대륙의 끝 섬에 자리 잡은 일본은 갖가지를 쌓아가는 축적 성향의 기질이 강하다. 장기간에 걸친 기술·자본·지식 축적이 많은 반면, 국채 누증처럼 바람직하지 않은 것도 쌓여왔다.
 
 이 세 가지 축을 통해 저자는 사회, 경제, 정치 등에서 양국이 어떠한 특징적 차이를 보이는지, 한국인과 일본인의 생각이나 사고방식은 어떻게 다른지 명확히 밝히면서, 앞으로 우리가 취해야 할 태도 및 나아갈 방향 등을 제시하고 있다.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조회 수
김소연 변호사 인터뷰 녹취본 유출한 영상기자 해고 file 2021.03.09 5173
방송 출연 아동·청소년 인권 보호 가능할까 file 2021.03.09 312
미얀마가 ‘오월광주’다! file 2021.03.09 372
저술 과정에 느낀 영상 팩트의 중요성 file 2021.03.09 418
제34회 한국영상기자상 시상식 열려 file 2021.03.09 508
주간경향 미얀마 특집호 구매, 배포 file 2021.04.15 278
6월 개최예정.<사회의 민주적 발전과 영상저널리즘>세미나, 방송문화진흥회 세미나지원 공모사업 선정 file 2021.04.15 289
영상보도 가이드라인, 대학 교재용으로 재출간 file 2021.04.15 441
5월, 6월 전파진흥협회와 함께 상반기 <영상보도가이드라인 교육>실시 file 2021.05.06 475
MBC, 성희롱 사건 ‘2차 가해’ 논란 포항MBC 양찬승 사장에 ‘문책경고’ file 2021.05.06 561
미얀마 민주화 지지 움직임 언론사로 확산 file 2021.05.06 367
정은경 질병관리청장, 2020년 ‘굿뉴스메이커상’ 수상에 감사 인사 전해 file 2021.05.06 427
“코로나19 이후 해외 취재 재개한다” file 2021.05.06 399
‘몽유와’에서‘오월광주’를보다. file 2021.05.06 428
<힌츠페터국제보도상> “5월 13일 세상에 모습을 드러낸다” file 2021.05.06 582
방송사, 고령화 대비 대책 ‘전무’ file 2021.07.06 379
‘힌츠페터국제보도상’전세계 영상기자 대상, 첫 국제공모 시작 file 2021.07.06 438
5.18, 처음으로 취재 보도한 영상기자 찾았다 file 2021.09.01 903
연대와 소통의 공간으로서의 힌츠페터 국제보도상 file 2021.09.01 471
제1회 힌츠페터국제보도상, 첫‘기로에 선 세계상’(대상) 수상자에 미케일 아르신스키(Mikhail Arshynski) 벨라루스(Belarus) 영상기자 선정 file 2021.09.01 665
Board Pagination Prev 1 ...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Next
/ 40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