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회 수 841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인쇄

No Attached Image

KBS-MBC 내부서도 사장 퇴진 요구

 

5월 19YTN 조준희 사장의 자진사퇴한 이후, KBSMBC 구성원들은 현 고대영, 김장겸 사장에게 퇴진을 촉구하고 있다.

전국언론노동조합 KBS 본부는 "헌정사상 최악의 국정농단 사태로 탄핵된 대통령이 임명한 사장과 이사장의 권한과 지위를 더 이상 우리에게 기대하지 말라. 이미 당신들의 권위는 땅에 떨어져서 회복이 불가능하다""말도 안 되는 정책들로 공영방송을 망친 책임을 지고 국민의 심판을 받아야 한다"고 밝혔다. 5월 24일에는 20년차 이상 기자 71명과 KBS PD협회도 성명을 냈다.

5월 26일에는 KBS 10년차 이상 20년차 미만 기자 215명이 연명 성명을 사내 게시판에 게시하고 고대영 사장의 결단을 촉구했다.

215명의 기자들은 그간 KBS의 국정농단 사태와 정권비호, 내부 문제제기에 대한 징계 등을 비판했다. 또 기자들은 촛불 시민혁명의 성과는 단지 정권을 바꿔놓은 것이 아니다. 정권교체는 단지 수단일 뿐, 그동안 우리사회를 짓누르며 차별과 불평등을 양산했던 적폐를 걷어내는 것이라며 지금 당장 모든 걸 내려놓는 게 유일한 정답이다. 그게 당신들이 사랑했다던 KBS를 위한 마지막 행동이라고 요구했다.

하지만 KBS 공영노조 등 일부에서는 사장과 이사들의 임기는 방송법에 따라 보장되고 있다법은 반드시 지켜져야 하고, 그것이 민주주의이고 법치라고 주장했다.

전국언론노동조합 MBC본부도 지난 22일 성명서를 내고 퇴출이 임박한 MBC 경영진이 자멸을 재촉하고 있다고 하고 MBC본부는 새 정부는 파괴된 헌정 질서와 민주주의 회복이라는 시대적 과제를 안고 탄생했다. 검찰, 재벌 개혁에 이어 가장 중요한 개혁 대상이 바로 언론이다. 특히 MBC는 지난 9년 이명박, 박근혜 정부 하에서 가장 노골적인 방송 장악, 여기에 맞서는 가장 강력한 저항, 그리고 이에 대한 가장 악랄한 탄압이 이어졌던 곳이라며 “MBC 문제의 해결은 언론 개혁의 최우선 과제이자, 헌정 질서와 민주주의 회복의 시금석이라고 강조했다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조회 수
왜 분노해야 하는가 - 장하성 - file 2017.06.14 671
제1회 힌츠페터국제보도상, 첫‘기로에 선 세계상’(대상) 수상자에 미케일 아르신스키(Mikhail Arshynski) 벨라루스(Belarus) 영상기자 선정 file 2021.09.01 667
내년 8월, 힌츠페터 국제보도상 첫 시상 file 2021.01.06 663
국민이 뽑은 숨은 영웅.... “당신이 우리의 영웅입니다.” MBC 故 이용안 국장, 국민추천포상 수상 file 2019.03.12 662
KBS 이사회, 고대영 사장에 대한 본격 해임절차 file 2018.01.12 656
지역 방송사, 지방자치단체 홍보영상 의존도 심각해 file 2017.11.03 655
박근혜 전 대통령, 청와대 퇴거 영상이 없다고... file 2017.08.30 654
정광용·손상대 친박단체 대표, 폭력시위 주도로 구속 - 카메라기자협회, 지난 3월 27일 정광용 박사모 회장 경찰에 고발 file 2017.06.06 652
한국방송카메라기자협회, 광주시의회와 '한츠페터상 제정 논의' file 2018.01.10 652
영상 저작물의 창작자 권리 실현방안 세미나 개최 file 2017.06.22 649
KBS·MBC 총파업, 경영진 사퇴와 공영방송 정상화 촉구 file 2017.11.02 645
뒤늦게 폴란드 공항에서 열린 힌츠페터 국제보도상 시상식 file 2022.03.23 645
AR·VR 그리고 NEWS IMAGE file 2017.05.23 638
남북정상회담 취재준비에 분주한 방송사 file 2018.05.04 628
영화 ‘택시운전사’ 모티브 된 故 위르겐 힌츠페터 file 2017.08.30 626
“초상권 보호 대상, 공인 개념 등에 대한 사회적 합의가 중요” file 2019.07.03 614
독일, 저작재산권·인격권 모두 ‘창작자 귀속’ 영국·미국·EU, 창작자의 저작인격권 ‘인정’ file 2020.07.08 612
탄핵반대 시위대 카메라기자 폭행 카메라기자협회, ‘국민의 알 권리 침해’ file 2017.05.22 609
검찰 포토라인, 걷어내야 할 악습? “국민 알 권리 중요…더 큰 혼선 생길 수도” file 2019.05.07 604
“ ‘영상보도 가이드라인’ 준수 여부 언론상 심사기준에 명문화해야” file 2019.07.03 601
Board Pagination Prev 1 ...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 40 Next
/ 40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