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10.19 21:32

내가 글을 쓰는 이유

조회 수 357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인쇄 첨부

                                   내가 글을 쓰는 이유

 

 

noname01.jpg

 

 
 나는 가끔 둘레길 답사기를 쓴다. 그렇게 쓴 글과 사진을 이용해 자사의 뉴미디어용 기사로 출고도 한다. 물론 스스로의 부족함에 심히 부끄러움을 느끼기도 하지만, 그래도 쓴다. 가끔은 누구도 강요하진 않지만 나만의 마감일을 정하고, 그 마감을 맞춰야 한다는 강박 내지 스트레스 때문에 저 홀로 마음이 바빠지기도 한다. 게다가 쓰는 글이 둘레길 답사기인지라, 걷고, 보고, 느끼는 과정은 그야말로 필수다. 그렇게 걷는 경험 없이는 쓸 수 없는 글이다 보니 걷기 위해 들이는 품도 적지 않다. 둘레길 답사가 정해지면 휴가를 내야하고, 휴일의 시간들을 쪼개야 한다. 이제는 눈도 넓어져 걸어야 할 길, 또는 소개하고픈 길이 지방에 있는 탓에, 한 번의 답사에 이삼일의 여정은 당연하다.
 
  그래서일까? 주변의 동료를 포함해 일부는 그렇게 품이 많이 드는 일을 굳이 하는 이유를 궁금해 한다. 내심 영상기자로서의 본업도 벅찬데(또는, 하는 일이나 잘 하지) 본업도 아닌 일을 하느라 그렇게 시간과 노력을 들일 필요가 있느냐는 속내가 엿보이기도 한다.  글쎄! 나는 왜 글을 쓸까? 나는 왜 공식적인 업무도 아닌 일에 시간과 비용을 들이고 있는 걸까? 사실 나 스스로는 내가 왜 글을 쓰는지에 대해 깊이 생각해 보지 않았다. 비록 부족하지만 그냥 내가 할 수 있는 일이니 한다는 생각으로 어딘가를 답사하고 또 글을 썼었다. 그런데 이렇게 구체적인 답을 내놓으라는 제안을 받으니 그 이유를 생각해 보지 않을 도리가 없다. 몇 가지의 이유가 떠오른다.
 
  첫째는 무엇보다 내가 좋아서 하는 일이라는 점이다. 평양감사도 제 싫으면 못한다니 어쩌면 당연한 일이다. 그렇다면 왜 글을 쓰는 것이 좋을까? 무엇보다 글을 쓰고 유형의 무언가를 생산해낸다는 성취감이 그 이유일 것이다. 내 직업(물론 우리의 직업이다)이 갖는 한계는 콘텐츠를 생산함에도 그 생산된 콘텐츠가 휘발성이 강한 탓에 온전히 보존되지 않으며, 더욱 문제는 그 콘텐츠들이 나를 대표하지 못한다는 점이다. 지금까지는 뉴스의 속성상 그것이 당연했다. 또한 역할의 특성도 있으니 생산자로서의 대표성을 운운할 계제도 아니었다. 그러나 세상이 변했다. 아니 달라졌다.
 
  두 번째는 그‘ 달라진 세상’이 이유다. 그 달라진 세상이란 다름 아닌 뉴미디어 시대의 도래다. 어느 순간 세상은 뉴미디어 안에서 허우적대고 있었던 것이다. 우연히 들어간 대학원에서들은 뉴미디어 관련 강의 역시 무언가를 하여야 한다는 의무를 부여하는 듯했다. 그렇게 뉴미디어에 대한 관심이 스스로를 계발하게 만들었으며, 그 결과가 글쓰기였던 것이다. 인터넷이라는 무한의 공간에서는 각자의 능력 여하에 따라 자기만의 콘텐츠를 만들 수도, 노출할 수도 있었던 것이다.
 
  어느 순간, 콘텐츠 생산이 분업을 통한 공동의 노력이 아닌, 각자의 노력 여하에 달린 지극히 사소한 영역(방송에 비해)으로 옮겨왔던 것이다. 마침 나(또는 우리)에게는 오랜 세월 방송 뉴스 제작에 몸담고 경험했던 자신만의 내러티브(narrative)가 있지 않은가. 뉴미디어의 흐름에 동승하지 않을 이유가 없었다. 멈추어 있을 것인가? 아니면 그것이 퇴보일지라도 움직일 것인가? 나는 움직임을 선택했다.
 
  세 번째 이유는 그‘ 움직임’에 있다. 어차피 움직이기로 했으니, 기왕이면‘ 앞으로’ 나아가야 하지 않겠는가. 스스로의 발전에 기여해야 했던 것이다. 어쩌면 글을 쓴다는 것은, 나 스스로 나를 돌아보는 과정이면서, 나 자신의 부족함을 확인하는 과정이기도 하다. 다행인 것은 누구나 그렇듯 부족함을 알면 그 부족함을 채우려는 의지와 의욕이 생긴다는 사실이다. 흔히들“ 아는 만큼 보인다”고 하지 않던가. 아는 것이 없으니 보지 못하는 스스로에 대한 연민 내지 애틋함이 생기더라는 말이다.
 
  실제 글을 쓴다는 것은, 나아가 어떤 형식의 콘텐츠를 만든다는 것은 스스로에게 새로운 정보와 지식의 습득을 강제하는 일이기도 하다. 그리고 경험까지도 강제한다. 알아야 글을 쓰든 말든 할 것이 아닌가. 그러니 움직이지 않을 수가 없는 것이다. 지식을 위해, 경험을 위해 눈과 손발을 예전보다는 조금 더 부지런히 움직여야 했던 것이다‘. 쓰는’ 작업이 가져다준 부수적인 덤이면서 글을 쓰는 또 다른 이유였던 것이다. 그러니 비록 작은 부분일지라도 글쓰기는 분명 나를 자극하고, 성장시키는 동력원이라는 사실도 어렴풋하게나마 깨닫게 된다. 그러니 더더욱 무언가를 쓰지 않을 도리가 없다.
 
  일이냐 아니냐는 그다음의 문제이다. 일이라는 것도 결국은 개인적인 역량이 업무라는 공적인 영역에서 발현되는 성과나 성취가 아니던가. 나 자신과 조직의 성과에 기여했다면 그것이 바로 일인 것이다.
 
  결국 글을 쓴다는 것은 나 자신의 발전과 성장을 위한 긴 여정의 부분이었다는 것을 새삼스레 깨닫게 된다. 한편으론 어쩌면 방탕하고 무책임했던 지난날에 대한 뒤늦은 회한(?)이 글이라는 도구를 만나 나 자신을 채찍질하고 있는 중인지도 모른다. 하지만 아직도 가야 할 길은 멀고 게으름이 몸에 밴 습관은 쉽게 고쳐지지도 않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제 막 뗀 걸음마를 멈추고 싶은 생각은 없다. 특별한 목적이 따로 있는 것도 아니니 그저 묵묵히 걸어가기만 하면 될 것이다.
 
  그렇게 둘레길이든 인생길이든 가리지 않고 꾸준히 걷다 보면, 아마도 이런저런 글들(http://news.sbs.co.kr/news/reporterPage.do?reporterId= cymin)이 내 이름이 적힌 이름표를 달고 내 곁으로 달려와 그렇게 쌓일 것이다. 어쩌면 내 앞에 쌓이는 나의 글들이 정작 내가 글을 쓰는 이유일지도 모르겠다는 생각이 든다.
 
noname02.jpg

 

  그래서 스스로에게 부탁하노니, 각성이라는 이름의 자신을 향한 발견이면서, 변화하는 세상 속에서 세상과 나의 간극을 좁히는 방법이기도 한 글쓰기가 오래도록 지속되기를 염원하면서, 글이라는 새로운 친구들과의 끊임없는 만남을 기대해 본다.

 

 



박대영 / SBS    1624162.jpg

 

 

 

 


  1. 한국영상기자협회, 국내 최초 ‘영상보도 가이드라인’ 발간

    한국영상기자협회, 국내 최초 '영상보도 가이드라인’ 발간 구체적인 예시와 판례 등 제시 취재원·영상기자 인권 보호 명시 ▶ 영상보도 가이드라인 ▶ 지난 11월 9일 한국프레스센터에서 한국영상기자협회 주최로 영상보도윤리 가이드라인 제정...
    Date2019.01.02 Views986 file
    Read More
  2. 그것은 저널리즘이 아니다 ‘영상기자들의 묵시록’

    그것은 저널리즘이 아니다 ‘영상기자들의 묵시록’ 대충 짐작은 했지만 현실은 더욱 열악했다. <영상보도 가이드라인> 작업을 하면서 듣게 된 취재현장에 관한 이야기는 외부자로서 다소 충격적이었다. 대다수 영상기자들이 오랜 기간 겪었으며 지...
    Date2019.01.02 Views631 file
    Read More
  3. “한국 언론사(史)의 이정표…윤리적 다짐 넘어 실질적 지침이 될 것”

    “한국 언론사(史)의 이정표…윤리적 다짐 넘어 실질적 지침이 될 것” 영상보도 가이드라인 연구팀 이승선 충남대 언론정보학과 교수 인터뷰 영상보도 가이드라인을 제작하게 된 계기는 무엇인가? “가장 먼저, 취재원에 대한 인격권 침...
    Date2019.01.02 Views464 file
    Read More
  4. 영상보도 가이드라인 관심 높아

    영상보도 가이드라인 관심 높아 지난 11월 26일 발간된‘ 영상보도 가이드라인’은 전국 방송사와 대학 등에 배부돼 관심이 높았다. 가이드라인이 출간된 지 이틀 만에 절판이 되었고 KBS와 TV조선, 타 방송사에서 추가 주문이 이어졌다. 특히 KBS ...
    Date2019.01.02 Views488 file
    Read More
  5. 힌츠페터 국제보도상, 광주 5.18기념재단과 논의

    힌츠페터 국제보도상, 광주 5.18기념재단과 논의 내년에 공청회를 열고 2020년 시상식을 목표로.... ▶ 지난 11월 22일 한원상 한국영상기자협회장은 <힌츠페터 국제보도상> 제정과 관련하여 광주 5.18기념재단을 방문해 이철우 재단 이사장과 실무진을 만났다....
    Date2019.01.02 Views533 file
    Read More
  6. 남북정상회담 비속어 논란, 청와대 “사실 아니다”

    남북정상회담 비속어 논란, 청와대 “사실 아니다” 음성 분석 전문가 통해 진상 파악… 조사 결과 공개하진 않을 듯 ▶ 지난 18일 문재인 대통령과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평양 백화원 영빈관에서 담소하는 장면에서 비속어가 들린다는 주장이 ...
    Date2018.12.19 Views420 file
    Read More
  7. 스마트폰 취재, 새로운 변화

    스마트폰 취재, 새로운 변화 스마트기기의 확산으로 미디어시장은 급격한 변화를 진행 중이다. <유튜브>를 필두로 한 스트리밍 사이트들은‘ 뉴 미디어’를 자처하며 새로운 영역을 이미 개척했고, 스마트폰의 대중화는 이를 더욱 촉진시킨 기폭제 ...
    Date2018.12.19 Views523 file
    Read More
  8. Produce 299

    Produce 299 전국 8도 시군구에서 모인 299인의 재선 희망 국회의원들! 이들의 프로듀서는 바로 뉴스를 보고 있는 당신. 국민 프로듀서들이 지켜보고 있는 가운데 가장 혹독하게 피감기관을 질책하게 될 299명의 의원들. 2019년 총선의 승기를 잡을 멤버는 100...
    Date2018.12.19 Views442 file
    Read More
  9. 협회, '영상보도윤리 가이드라인’ 연구팀 출범

    협회, ‘영상보도윤리 가이드라인’ 연구팀 출범 한 국방송카메라기자협회는 한국언론진흥재단의 지원을 받아 영상보도윤리 가이드라인을 제작하기로 하고 지난 6월 7일부터 목동 한국 방송회관 15층 한국방송카메라기자협회에서 출범식을 갖고 연...
    Date2018.10.20 Views640 file
    Read More
  10. 협회, '한국영상기자협회'로 명칭 변경 & 한국영상기자협회 로고 공개

    협회, '한국영상기자협회'로 명칭 변경 한국방송카메라기자협회는 지난 7 월 11일 운영위원회와 제1차 임시총 회를 갖고 협회의 명칭을‘ 한국영상기 자협회’로 변경하기로 만장일치로 의 결했다. 협회는 특허청 등록과 사업허가증 변경, ...
    Date2018.10.19 Views656 file
    Read More
  11. MBC 이용안 국장 별세

    MBC 이용안 국장 별세 지난 8월 11일, MBC 뉴스콘텐츠취재1부 이용안 부장이 강원도 고성군 인근 바다에 빠진 지인을 구조하다 숨졌다. 고 이용안 부장은 1991년 MBC 정기공채를 통해 카메라기자로 입사해, 성수대교 붕괴사고, 1997년 KAL기 괌 추락사건 등의...
    Date2018.10.19 Views916 file
    Read More
  12. 드론영상의 활용과 시각

    드론영상의 활용과 시각 프랑스 사진작가 얀 아르튀스 베르트랑(Yann Arthus-Bertrand)은 1994년‘ 하늘에서 본 지구(Earth from Above)’ 프로젝트를 시작하여 세계를 돌며 항공촬영으로 지구를 기록하였다. 그의 사진은 인간이 아닌 신의 시선으...
    Date2018.10.19 Views475 file
    Read More
  13. 동해안 관광 패러다임의 변화

    동해안 관광 패러다임의 변화 해양 레저 스포츠의 천국 동해바다 강원 동해안에 위치한 지역 방송사에서 일하다 보니 해마다 여름이면 해수욕장 취재는 일상이 된다. 특히 주말에는 무더위를 피해 바다에서 시원하게 해수욕을 즐기는 피서객들의 모습이 단골 ...
    Date2018.10.19 Views847 file
    Read More
  14. 내가 글을 쓰는 이유

    내가 글을 쓰는 이유 나는 가끔 둘레길 답사기를 쓴다. 그렇게 쓴 글과 사진을 이용해 자사의 뉴미디어용 기사로 출고도 한다. 물론 스스로의 부족함에 심히 부끄러움을 느끼기도 하지만, 그래도 쓴다. 가끔은 누구도 강요하진 않지만 나만의 마감일을 정하고...
    Date2018.10.19 Views357 file
    Read More
  15. 영상기자, 52시간 근무제 시행에 문제는 없는가

    영상기자, 52시간 근무제 시행에 문제는 없는가  국회 각 정당, 오전 공식회의 늦추는 데 찬성·검토론 전문가들, 시행착오 기간 상호 협력관계 필요 지역 방송사, 자택 대기 늘어날 것 우려 국회 출입 기자단 지난 7월 1일부터 근로시간을 1주 최대 5...
    Date2018.10.19 Views585 file
    Read More
  16. [신간 소개] 흐름의 한국 축적의 일본.... 한 일 간 차이를 만드는 세 가지 축

    [신간 소개] 흐름의 한국 축적의 일본 한일 간 차이를 만드는 세 가지 축 저자 국중호 일본 요코하마시립대학교 국제종합과학부 교수  한국과 일본, 무엇이 그렇게 다른가? 일본을 알아야 한국이 보인다 한국이 몇 년 내지 몇 십 년 차이를 두고 일본의 상황...
    Date2018.10.19 Views432 file
    Read More
  17. 협회 장완익 자문변호사, 사회적참사특조위 상임위원장에 선출

    협회 장완익 자문변호사, 사회적참사특조위 상임위원장에 선출 ▲인사말하는 장완익 상임위원장. 가습기살균제사건과 4․16세월호참사 특별조사위원회<사진제공> 한국방송카메라기자협회 자문변호사로 활동했던 장완익 변호사(법무법인 해마루)가 가습기살균제...
    Date2018.07.05 Views598 file
    Read More
  18. 영상기자, 현장이 위험하다

    영상기자, 현장이 위험하다. YTN 박한울 영상기자 싱가포르에서 호흡곤란 일으켜 업무 과중으로 피로 누적돼..... 업무 환경 개선이 필요 ▲싱가포르 세인트레지스 호텔 앞에서 국내외 취재진, 아래 사진은 YTN박한울 영상기자가 업무 과중으로 쓰러져있는 모...
    Date2018.07.04 Views1285 file
    Read More
  19. 남북정상회담 취재준비에 분주한 방송사

     남북정상회담 취재준비에 분주한 방송사 ▲2018 남북정상회담 준비위원회와 23일 서울 종로구 국립현대미술관 서울관에서 '남북정상회담 주관통신 지원에 관한 협약'을 체결했다. 왼쪽에서부터 KT 네트워크부문장 오성목 사장, 아리랑국제방송 이승열 사장,연...
    Date2018.05.04 Views735 file
    Read More
  20. 세월호 참사 4주기를 맞이하며...우리에게 남은 숙제

    세월호 참사 4주기를 맞이하며...우리에게 남은 숙제 ▲사진제공: 한국사진기자협회 2014년 4월 16일 오전 9시 45분 취재 회의가 끝날 무렵 회의실에 뉴스속보 하나가 전달됐다. “서해바다 진도 해상 여객선 좌초” 곧바로 보도국 기자들은 하나같이 휴대폰을 ...
    Date2018.05.04 Views688 file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3 4 5 6 7 8 9 10 11 12 ... 41 Next
/ 41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