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회 수 799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인쇄 첨부

                        동해안 관광 패러다임의 변화

 

 

 

해양 레저 스포츠의 천국 동해바다

 

 강원 동해안에 위치한 지역 방송사에서 일하다 보니 해마다 여름이면 해수욕장 취재는 일상이 된다. 특히 주말에는 무더위를 피해 바다에서 시원하게 해수욕을 즐기는 피서객들의 모습이 단골 아이템이다. ‘모터보트는 시원하게 바다를 가로지르고~', '튜브를 타고 파도에 몸을 맡기는 사람들로~’등등의 단골 멘트처럼 영상기자의 눈에 보이는 풍경도 매년 Ctrl+C, Ctrl+V였다. 하지만 최근 그 풍경이 빠르게 변하고 있다. 외국의 어느 휴양지에서나 보던 다양한 레저 스포츠를 즐기는 사람들로 동해안 해변은 그야말로 핫(Hot)하다. 그 중 몇 가지를 소개하고자 한다.

 

 

서핑

 

 동해안 7번 국도를 타고 아름다운 바닷가를 달리다 보면 정말 많은 사람들이 서핑을 즐기는 모습을 볼 수 있다. 그중에서도 강원도 양양은 전국의 서퍼들이 모여드는 서핑의 메카! 고무 튜브를 든 피서객들은 찾아보기 힘들 정도로 서퍼들이 바다를 장악했다.

 

양양인구해수욕장은서퍼들로가득하다.jpg

 

강원도 양양 인구해수욕장

 

 몇 년 전부터 양양 기사문을 중심으로 서핑 숍이 하나둘 생겨나기 시작하더니 지금은 기사문과 인구, 죽도 해변에 100여 곳의 업체가 성업 중이다. 몇몇 동호인들이나 즐기던 서핑이 그만큼 대중화되었다는 것을 증명한다. 해변에 서핑스쿨이 많다 보니 따로 준비물도 필요 없다. 수영복과 선크림만 들고 오란다.
 
 슈트와 보드 대여, 강습비용을 포함해 평균 8만원 정도면 2시간을 배울 수 있다. 개인차가 있지만 기본 교육 1-2시간이면 물에 들어가 보드 위에 일어서는 테이크오프 동작이 가능하다. 많은 해변 중에 강원 동해안, 특히 양양이 서핑하기 좋은 이유에 대해 이승대 강원도 서핑협회장은“ 양양군 해변 대부분이 수심이 얕아 수영을 못해도 서핑을 할 수 있고, 바닥이 깨끗한 모래이기 때문에 넘어져도 다치지 않아 입문자들에게 최적”이라고 말했다. 또한 사고 발생시 서프레스큐(서프보드로 익수자를 구출해내는 수상인명구조 방법)가 가능한 서퍼들이 많아 사고율이 낮은 것도 장점으로 꼽았다.
 
 
패들보드
 
 패들보드는 카누 등의 작은 배를 탈 때 젓는 노를 뜻하는 패들과 판자나 널을 뜻하는 보드가 합쳐진 말이다. 사실은 SUP board, 즉 Stand Up Paddle board의 줄임말인데, 우리말로하면 보드 위에 서서 노를 젓는 운동이라고 할 수 있다.
 

 

강릉사근진해변패들보드.jpg

강릉 사근진해변

 

 길고 좁은 형태의 물에 뜨는 보드 위에서 손을 움직여 앞으로 나아가기도 하고 노를 이용해 서서 탈 수도 있다. 강릉 경포해수욕장에서 해안도로를 타고 북쪽으로 달리다 보면 사근진해수욕장이 나오는데 거기에 패들보드 타는 곳이 있다. 균형을 잡는 운동인 패들보드는 특별한 기술 없이 앉아서도 탈 수 있고, 보드 위에 서서 노를 젓는 단계로 가기까지 채 1시간이 걸리지 않아 초보자들이 동해안을 찾아와 쉽게 즐길 수 있는 액티비티이다.

 

 

카이트보드

 

 카이트보드는 연이란 뜻의 카이트와 보드가 합쳐진 말이다. 낙하산처럼 생긴 커다란 카이트가 이끄는 대로 보드를 타고 바다

위를 내달리는 레저 스포츠다. 바람이 불어야 할 수 있는 운동인만큼 평소에는 보이지 않다가, 어느 순간 시원한 바닷바람이 좀 분다 싶으면 강릉 송정해수욕장 남쪽 바다는 카이트보드를 즐기는 사람들로 뒤덮인다.

 

강릉송정해변카이트보드1.jpg

 

강릉 송정해변

 

 주말이면 150~200명 정도의 카이트보드들이 강릉 송정해변을 찾는데 바다를 수놓은 형형색색의 카이트만 봐도 그 모습이 장관이다. 권순호 강릉시 카이트보딩협회 경기이사는“ 수영을 못 하더라도 안전 장비를 착용하고 공인 강사에게 하루 2시간씩 3일 정도 배우면 충분히 카이트보드를 즐길 수 있다”며“ 송정 해양정보관을 방문하면 연습용 카이트로 해변에서 조종술 체험과 강사와 함께하는 연을 이용한 세일링을 무료로 체험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패러글라이딩

 

 우리나라에도 꽤 많은 패러글라이딩 업체가 있지만 그중에 바다를 보면서 하늘을 날 수 있는 곳은 동서남해안에 한 곳씩 딱 세 곳뿐이라고 한다. 그런데 바다 위를 나는 곳은 강릉 정동진이 유일하단다. 비행시간도 바람과 비행자의 몸무게에 따라 좀 다르지만 7분에서 15분 정도로 다른 데보다 길다고 한다.

 

강릉정동진패러글라이딩3.jpg

 

강릉 정동진

 

전문가와 함께 타기 때문에 남녀노소 누구나 출발과 착지 요령만 잠깐 배우면 쉽게 탈 수 있다. 어린이나 나이 많은 분들은 보조파일럿이 같이 달려서 띄워주는 액션만 취하면 되고, 보통 성인들은 스스로 도움닫기 후 비행한다. 하늘 위로 날아 올라 고개를 왼쪽으로 돌리면 쪽빛 바다, 오른쪽으로 돌리면 아름다운 산이 보이는 풍경은 잊지 못할 추억을 선사한다. 거기에 비행 중간중간 느낄 수 있는 스릴과 짜릿함은 덤. 현장에서 만난 한 관광객은 “가슴이 뻥 뚫리는 것 같다. 새가 된 것 같은 기분”이라고 했다.

 

 불과 6~7년 전만 해도 동해안 여름바다는 멋진 풍경에 비해 즐길 거리가 없다는 얘기가 많았다. 그런데 어느새 강원 동해안이 여름철 다양한 해양 레저 스포츠의 중심지가 되고 있다.

 유난히 길고 무더웠던 올여름은 지나갔지만, 내년 여름에는 레포츠의 천국 동해안에서 시원한 추억을 만들어 보면 어떨까.

 

 

 

 

김재욱 / MBC강원영동    noname154501.jpg

 

 

 

 

 

 

 

 

 

 

 


  1. 영상저널리즘의 초상권 세미나 열려

    영상저널리즘의 초상권 세미나 개최 한국방송카메라기자협회(회장 한원상)는 한국언론진흥재단의 후원으로 지난 7월 7일 오후 6시, 서울 스텐포드 호텔에서 ‘영상 저널리즘의 초상권’ 세미나를 개최했다. 이승선 충남대 교수의 사회로 진행된 이 날 세미나는 ...
    Date2017.08.29 Views731 file
    Read More
  2. 왜 분노해야 하는가 - 장하성 -

    <왜 분노해야 하는가> - 장하성 - -분배의 실패가 만든 한국의 불평등 장하성 교수의 <왜 분노해야 하는가>을 보면 우리나라는 1960년 이후부터 1990년대까지 고도 경제성장과 분배의 형평성을 동시에 이루는 기적을 이루었다. 그러나 IMF이후 고도성장이 멈추...
    Date2017.06.14 Views734 file
    Read More
  3. 지역 방송사, 지방자치단체 홍보영상 의존도 심각해

    지역 방송사, 지방자치단체 홍보영상 의존도 심각해 방송의 객관성⋅공정성에 부합한 지 검토 필요 방송통신위원회와 방송통신심의위원회, 제도적 장치 마련 필요 한국방송카메라기자협회,‘영상보도윤리’지켜나갈 것 지역 방송사들이 인력난의 이유로 지방자치...
    Date2017.11.03 Views734 file
    Read More
  4. KBS, MBC 구성원 현 경영진 퇴진 요구 빗발쳐

    KBS, MBC 구성원 현 경영진 퇴진 요구 빗발쳐 KBS와 MBC 구성원들은 문재인 정부 출범으로 언론적폐 청산을 요구하며 비정상화의 정상화에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지난 정부에서 공영방송을 장악해 정권의 나팔수로 전락시켰고 공정성과 공영성을 훼손한 책임...
    Date2017.07.20 Views738 file
    Read More
  5. MBC노조 “부당한 ‘보도영상지침' 내렸다” 폭로

    세월호, 촛불시위 등 축소⋅왜곡...... “김장겸 사장 등 관련자 법적 대응 방침” MBC 보도국이 뉴스를 제작하는 과정에서 세월호 참사와 촛불 집회 등과 관련해서 ‘불공정한 보도영상지침'이 존재했다는 사실이 폭로되었다. 여기에는 김장겸 현 MBC 사장이 관...
    Date2017.11.03 Views739 file
    Read More
  6. 협회, ‘2020 영상보도 가이드라인’ 발간

    협회, ‘2020 영상보도 가이드라인’ 발간 ‘취재-편집-관리’ 흐름 따라 구성… 영상보도 기본 원칙·드론 취재 준칙 등 제시 ▲ 2020 영상보도 가이드라인 / 출판사_그래픽시선 #1. 방사능 유출로 인해 피해가 발생한 지역에...
    Date2020.01.08 Views741 file
    Read More
  7. 더불어 사는‘살기 좋은 공간’ - 스마트 시티 <上>

    ‘살기 좋은 공간’을 만들기 위한 인간의 노력은 궁극적인 생존의 문제와도 같은 맥락에 닿아 있다. 무엇을 바꿀 것인가? 현재 무엇이 필요한가? 앞으로 살아가기 위한 대책은 무엇인가? 2050년 세계인구가 98억 명으로 증가하게 된다면, 도시는 더욱 커지고, ...
    Date2018.01.10 Views749 file
    Read More
  8. 이번 여름 이곳은 어떠세요? 굽이굽이 해안따라 만나는 태안해변길

    이번 여름 이곳은 어떠세요? 굽이굽이 해안따라 만나는 태안해변길 굽이굽이 리아스식 해안을 따라 아름다운 경관과 독특한 자연생태계를 자랑하는 태안해안국립공원은 2007년 12월 허베이스프리트호 원유유출사고로 인한 자연자원 훼손 방지대책 마련과 해안...
    Date2017.04.21 Views750 file
    Read More
  9. (줌인) 카메라기자의 빈자리

    카메라 기자의 빈자리 신고한 지 150일 만에 송환된 정유라를 공항에서 체포한 검찰과 그 뒤를 쫓는 위험한 레이싱이 도로 위에서 무법을 양산했다. 중앙선을 넘고 호송 차량을 가로막으며 속도경쟁을 벌이는 가운데 뉴스는 계속된다. 생방송을 연결한 회사는 ...
    Date2017.07.20 Views751 file
    Read More
  10. 제27회 국제 방송⋅음향⋅조명기기 전시회 열려

    제27회 국제 방송⋅음향⋅조명기기 전시회 열려 제27회 국제 방송⋅음향⋅조명기기 전시회(이하 KOBA 2017)가 지난 5월 16일부터 19일까지 4일간 서울 코엑스(COEX)전시장에서 열렸다. 이번 전시에는 한국이앤엑스와 한국방송기술인연합회가 공동주최하고 세계 각...
    Date2017.06.06 Views752 file
    Read More
  11. 힌츠페터 국제보도상 추진

    한국방송카메라기자협회 ‘힌츠페터 국제보도상’ 추진 광주광역시 “지원 적극 검토” 한국방송카메라기자협회(회장 한원상)는 1980년 당시 ‘5·18광주민주항쟁’의 참상을 전 세계에 처음 알린 독일 제1공영방송 소속 위르겐 힌츠페터(2016년 1월 사망)의 기자정신...
    Date2017.11.03 Views760 file
    Read More
  12. No Image

    (줌인) 가짜 뉴스·악마의 편집을 대하는 방법

    가짜 뉴스·악마의 편집을 대하는 방법 국정농단에 이은 탄핵과 조기 대선과정에서 대한민국은 ‘가짜 뉴스(fake news)’라는 거대한 괴물의 실체를 만났다. 언론사의 기사로 착각할 형식을 갖추고, 조작된 내용을 온라인과 신문형태 유인물로 살포하면서 구석구...
    Date2017.11.02 Views775
    Read More
  13. 대구⋅경북 카메라기자회, 다빈치교육 관심 높아

    대구⋅경북 카메라기자회, 다빈치교육 관심 높아 지난 5월 27일 대구⋅경북 카메라기자회(마승락 회장)는 대구MBC에서 다빈치에 관한 교육을 실시하였다. 이번 교육은 지역 카메라기자들이 진화하는 4K에 대한 다빈치 교육이 관심을 끌면서 색보정에 대한 교육의...
    Date2017.06.14 Views775 file
    Read More
  14. 취재현장 포토라인 개선방안 세미나 열려

    취재현장 포토라인 개선방안 세미나 열려 한국방송카메라기자협회(회장 한원상)가 주최하고 한국언론진흥재단(이사장 민병욱)이 후원한 ‘취재현장 포토라인 개선방안’ 세미나가 지난 13일 오후 6시 스텐포드 호텔(상암동)에서 개최되었다. 포토라인은 지난 199...
    Date2017.11.02 Views779 file
    Read More
  15. 일본정부, 위안부 문서 각의 결정

    일본정부, 위안부 문서 각의 결정 2007년 일본정부 각의 결정과 정면 충돌 일본정부는 카미토모코(紙智子, 62세) 일본 공산당 참의원 의원이 지난 16일에 제출한 “일본국립공문서관으로부터 내각관방부장관보실이 금년에 입수한 ‘위안부’ 관계문서에 관한 질문...
    Date2017.07.20 Views784 file
    Read More
  16. “없애는 것만이 능사는 아니다”포토라인과 알 권리

    “없애는 것만이 능사는 아니다”포토라인과 알 권리 전 대법원장의 패싱 구속된 양승태 전 대법원장은 포토라인을 무시했다. 그는 2019년 1월 11일 검찰에 출석하여 대법원 앞에서 ‘하고 싶은 말’을 한 후 검찰청 현관 앞에 마련된 포토라인을 패싱 해버렸다. ...
    Date2019.05.07 Views792 file
    Read More
  17. 멀티기자 단기교육 실시

    멀티기자 단기교육 실시 한국방송카메라기자협회(회장 한원상)는 방송기자연합회(회장 김현철)과 공동으로 멀티기자 교육을 실시했다. 이번 교육은 방송통신발전기금 저널리즘아카데미 사업의 일환으로 6월 28일부터 30일까지 방송회관 9층 강의실에서 개최되...
    Date2017.07.20 Views794 file
    Read More
  18. 동해안 관광 패러다임의 변화

    동해안 관광 패러다임의 변화 해양 레저 스포츠의 천국 동해바다 강원 동해안에 위치한 지역 방송사에서 일하다 보니 해마다 여름이면 해수욕장 취재는 일상이 된다. 특히 주말에는 무더위를 피해 바다에서 시원하게 해수욕을 즐기는 피서객들의 모습이 단골 ...
    Date2018.10.19 Views799 file
    Read More
  19. 카메라기자의 인력 난 심각하다.

    카메라기자의 인력 난 심각하다. 주당 법정 근로 시간 초과 근무는 기본 카메라기자들이 몇 년 전부터 노동의 강도가 높아지고 있어 인력 부족 현상에 대한 대책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한 방송사 카메라 기자는 “ 하루 종일 취재를 하고 회사에 ...
    Date2017.07.20 Views815 file
    Read More
  20. '한국방송카메라기자상' 트로피, 작가에게 들어본다<1>본상 트로피

    본상 트로피 휴먼을 상징한다. 형상이 의미하듯 조리개를 넓게 혹은 좁게..... 보는 각도에 따라 변하는 것들에 대한 깊은 통찰과 삶의 가치를 보다 넓고 깊게 추구함을 테마로한 트로피이다. 박진환 / 장인미술 작가 ⋅현 장인미술 작가 ⋅춘천 에디오피아 6.2...
    Date2018.01.10 Views819 file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5 6 7 8 9 10 11 12 13 14 ... 40 Next
/ 40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