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회 수 7215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No Attached Image

<베이징 6자 회담>

“한반도의 사활이 걸린 문제인데,

  한국 카메라 취재진 너무 적은 것 아니냐?”

  북핵문제 해결을 위한 6자회담이 중국 베이징에서 지난 7월 24일부터 8월 7일까지 보름간 개최되었다.  전 세계의 이목이 주목된 만큼 어느 때보다 각국의 취재열기도 무척 뜨거웠다. 한국의 경우 70여명의 대규모 취재기자단을 파견했는데, 방송카메라기자단은 KBS, MBC, SBS, YTN, MBN, KTV 등 6사가 함께 공동취재단을 구성하였다.

 이번 6자 회담은 전력제공을 통해 회담의 돌파구를 마련하려는 한국과, 분명하고 확실한 핵관련 시설폐기를 다짐 받으려는 미국, 납치자 문제를 해결코자하는 일본, 적극적 중재자로서의 중국과 이 모든 사안들에 맞서 평화적 핵이용권을 보장받고 경제적 보상을 챙기려는 북한과의 불꽃튀는 외교 전쟁이었다.

 각국의 이해가 첨예한 만큼 각국의 취재전도 치열했다. 연일 계속되는 무더위에도 불구하고 북한 대사관에는  수 십 명의 취재진이 새벽부터 자정까지 진을 치고 있었고,  미국과 한국, 일본대표단이 묵는 숙소 역시 연일 장사진이었다. 특히 시시 때때로 변하는 회담상황 때문에 대표단의 입에서 나오는 말 한마디, 얼굴 표정 하나가 모두 뉴스가 되었다.  

 회담이 예상했던 일주일을 넘겨 보름까지 길어지면서 각국 취재력에도 차이가 났다.  20여 명이 넘게 방송카메라 취재진을 파견한 일본의 NHK와 후지TV는 각 포인트별로 전담 취재진을 상주시키며  긴밀한 연락체계를 구축하여 신속하고 정확하게 취재를 진행할 수 있었고, 뉴스서비스 업체인 APTN과  로이터 역시 현지 언어와 경험이 많은 취재진을 파견하여 원활한 취재가 가능했다. 반면  한국 취재진은 엄청난 숫적 열세와  6개 방송사가 1팀씩 구성한 공동취재단의 특성상 각 방송사간의 건강한 경쟁이 이루어 지지 않는 한계를 보였다.

 현장에서 만난 외신 기자들 역시 “한반도의 사활이 걸린 사안인데도 한국 측 카메라취재진의 수가 너무 적은 것 같다.” 는  반응을 보였으며, “공동취재를 하면 어떻게 뉴스를 차별화시키냐?”는 질문을 던져왔다. 이렇듯 6자회담의 결과에 가장 큰 영향을 받는 당사국인 우리나라가 이번 회담 취재에 보다 적극적인 취재역량을 투입하지 못한 것이 아쉽다.  비용 상의 문제가 되더라도  각 사별 독립취재단을 파견하였으면  보다 나은 뉴스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었을 것이다. 언제까지 비용절감과 취재편이를 위해 시청자들의 소중한 권리, 즉, 차별화된 뉴스와 다양한 영상을 선택할 수 있는 시청자들의 알권리를 침해해야 하는지 의문이다.

최경순 기자 urisuny@imbc.com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조회 수
홍콩, 20세기 제국과 21세기 제국 사이에 놓이다 file 2019.09.09 402
[헝가리 유람선 사고 취재기] 화려함 아래 잠긴 슬픔 file 2019.09.09 373
‘보이콧 재팬’ 일본 현지 취재기 file 2019.09.09 446
카타르 월드컵 2차 예선 한국 vs 투르크메니스탄 (1) file 2019.11.07 352
아세안지역안보포럼 출장이 일러준 방향 file 2019.11.07 404
그 시절 우리가 좋아했던 홍콩 file 2019.11.08 441
<태풍 취재기> 고글쇼에 대한 단상 file 2019.11.08 466
<태풍 취재기> 태풍 취재현장의 생생함과 안전 그리고 그 중간은 어디? file 2019.11.08 456
<태풍 취재기> 태풍의 최전선 가거도, 제13호 태풍 ‘링링’ 그 중심에 서다 file 2019.11.08 615
카타르 월드컵 2차 예선 한국 vs 투르크메니스탄 (2) file 2020.01.10 481
스포츠 정신을 더럽히는 욱일기 file 2020.01.10 449
안나푸르나, 그 높은 좌절의 벽 file 2020.03.12 363
'청와대 하명수사' 취재 후 영상기자의 소회 file 2020.03.12 380
코로나 19, 대구 file 2020.05.11 549
지하철 승강장에서 탄생한 아기 file 2020.05.11 516
선거, 새로움을 탐하다(1) file 2020.07.02 525
오거돈 부산시장 사퇴 기자회견 file 2020.07.02 418
현장에서 만난 유투버 file 2020.07.02 555
AI, 인류의 새로운 미래 file 2020.07.03 416
비극은 어디서 부터 시작됐을까? 철인 3종 최숙현 선수 사망사건 file 2020.09.11 323
원희룡 광복절 축사 논란... 현장취재 뒷이야기 file 2020.09.11 418
Board Pagination Prev 1 ...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Next
/ 18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