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3D 시대는 오는가? CES쇼를 통해본 3D시대


최근 아바타란 영화가 우리나라의 외화 흥행역사를 쓰고 있다고 해서 화제이다. 그 중 3D로 상영되는 영화관의 경우엔 일반 2D 영화보다 비싼데도(12000원) 불구하고 연일 매진을 기록 중이다. 아바타는 3D로 봐야 한다는 말이 있을 정도이다. 화면에서 화살이 튀어나오고 빛이 날아 다니는 등 아바타의 신기록 행진엔 3D란 요소가 크게 작용을 하고 있다. 이런 아바타의 흥행에서 볼 수 있듯이 앞으로의 블록버스터급 영화는 반드시 3D를 동반해야 흥행한다는 것을 제작자에게 알려주고 있다.

이렇게 3D란 요소는 새로운 유행이자 흥행코드이다. 그 3D를 안방 극장에도 끌어들이고자 하는 것이 이번 2010 라스베가스 CES쇼의 화두였다. 당연히 삼성 LG SONY등 주요 TV 제작 업체는 3D를 지원하는 TV를 내놓았다. 다들 서로 다른 장점이 있다고 광고했지만 모두 편광안경을 이용한 3D방식으로 3D를 보기 위해서는 특수 안경을 써야 하는 불편이 있다. 만약 안경을 쓰지 않으면 초점이 맞지 않고 색이 번진 것 같은 거북한 화면을 보게 된다.

그런 단점에도 불구하고 2010년의 TV시장은 3D TV로 정해졌다. 끊임없이 새로운 컨텐츠를 만들어야 하는 업체와 끊임없이 새로운 하드웨어를 만들어야 하는 TV업체의 이해가 맞은 것이 바로 3D TV이다. 그럼 CES는 어떤 전시회일까? 미국가전협회가 주최하는 세계최대의 전자제품전시회로 CES는 그 해 전자제품의 유행 코드를 세계에 알리는 전시회이다. 한해 동안 팔아야 할 제품을 선보인다는 의미가 있기 때문에 전자 업체 뿐 아니라 전세계에서 수많은 언론사와 바이어들이 몰려들어 전시장은 발디딜틈 없이 북적인다. 또한 단순히 신제품 전시만이 아니라 새로운 기술을 선보이는 장소이기도 하다. 그래서 삼성 LG등 한국업체들도 많은 돈을 투자해 부스를 꾸미고 유명인을 동원해 자신들의 제품 홍보에 총력을 기울였다. 현지에서 놀랐던 점은 한국업체들에 대한 세계의 관심이었다. 전시장과는 별도로 각 업체마다 컨퍼런스를 개최하는데 한국업체의 컨퍼런스에는 시작 전부터 줄을 길게 늘어섰고 들어갈 자리도 없을 만큼 엄청난 관심을 끌었다. 한국인으로 자부심을 느끼기도 했지만 두려움도 느꼈다. 한국을 따라오고자 하는 후발 업체들의 시선도 느껴졌기 때문이다. 그런 2010 CES를 통해 한국업체들도 본격적으로 3D 시장에 참전한다는 선전포고를 하였다.

하지만 3D즉 입체영화는 과거에도 있었다. 초등학교 시절 좌우색이 틀린 입체 안경을 쓰고 악당의 무찌르던 만화영화를 본 기억이 있다. 미사일이 눈앞으로 날아오는데 잡히나 보려고 허공에 손짓을 했던 기억이 있다. 그런 입체영화가 어느 순간 사라졌다가 다시 주목 받고 있다. 그 이유는 지금까지는 2D만으로도 충분히 사람을 감동시킬 수 있었다. 터미네이터와 타이타닉을 생각해보자 2D로도 충분한 감동과 현란한 화면에 눈을 뗄 수가 없었다. 비싼 3D에 투자하지 않더라도 충분한 제작비를 벌 수가 있었다. 물론 기술도 발달하였다. 디지털 기술의 발전으로 과거보다 훨씬 쉽고 눈의 피로도 덜하고 선명한 3D 컨텐츠를 제작할 수 있게 되었다.

아마도 아바타 흥행을 계기로 3D는 극장뿐 아니라 거실 TV에도 큰 영향을 줄 것이다. 이미 사람들은 3D에 눈이 길들어졌기 때문이다. 그럼 앞으로 3D는 TV가 중요할까? 컨텐츠가 중요할까? 사실 TV보다는 컨텐츠가 중요하다. 최근엔 영화파일도 3D 소스로 다운 받을 수 있고 영화관에서 쓰는 고가의 편광안경이 아닌 1000원 내외의 입체안경을 가지고도 충분히 입체영상을 즐길 수 있기 때문이다. 그래서 앞으론 우리나라의 TV업체들도 단순히 3D TV만을 홍보할 것이 아니라 컨텐츠 업체와 제휴하여 끊임없이 3D 컨텐츠를 확보해 가는 것이 진정한 3D TV의 승자가 될 것이다.

정민욱 / KBS 영상취재국

※ <미디어아이> 제71호에서 이 기사를 확인하세요
미디어아이 PDF보기 바로가기 링크 ▶▷ http://tvnews.or.kr/bbs/zboard.php?id=media_eye&page=1&sn1=&divpage=1&sn=off&ss=on&sc=on&select_arrange=headnum&desc=asc&no=938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조회 수
<10.29참사 취재영상기자 간담회> “참사 당시로 돌아간다면 다시 현장취재 할 수 있을지 의문”…현장기자들, 트라우마 ‘심각’ file 2022.12.28 464
[카타르 월드컵 카타르 현장 취재기] 월드컵 역사상 다신 없을 카타르 월드컵 file 2022.12.28 263
[카타르 월드컵 거리응원 현장 취재기] 뉴스의 중심에 선 ‘사람들’을 위해 그들과 등지고 서다. file 2022.12.28 197
언론인에 대한 정교하고 다양해진 공격, 직업적 연대로 극복해야 file 2022.11.01 179
“속도보다는 정확하고 신뢰도 높은 다면적 보도해야… 한·일 저널리즘, 세계적 영향력 갖추길” file 2022.11.01 294
“한국 언론인으로서 힌츠페터 정신 인정받아 감사 여권법 개정 통해, 전쟁터, 재난국가에서 한국 언론인 취재 권한 보장되길” file 2022.11.01 325
“첫 취재를 함께 했던 언론인 동료이자 친구인 故쉬린 아부 아클레 기자의 죽음 영상으로 담아낸 고통 …팔레스타인의 진실 계속 취재할 것” file 2022.11.01 211
[현장에서] 여전히, 오늘도, ENG. 다시 생각하는 ENG카메라의 미래 file 2022.08.31 1840
[현장에서] 카메라와 아이디어로 담아낸 현실의 부당함과 저항, 인간의 투쟁이 세상의 조명을 받도록 file 2022.07.01 270
[현장에서] “독재와 권력에 맞설 우리의 무기는 손에 든 카메라와 마이크입니다.” file 2022.07.01 243
[러시아, 우크라이나 전쟁 폴란드 국경지역 취재기] 전쟁 속에서 꿈꾼 자유와 평화 (2022.2.17.~3.13) file 2022.05.03 403
[현장에서] 역대 최악의 울진 산불 현장을 취재하며 file 2022.05.03 1089
방역올림픽 속 무색해진 ‘꿈의 무대’ file 2022.03.08 382
내가 있어야할 자리를 깨닫게 한 나의 첫 올림픽취재 file 2022.03.08 356
오늘을 역사로 기록하는’ 영상기자들이 뽑은 2021년 10대뉴스 file 2022.01.07 467
코로나 시대의 올림픽 취재 “재난과 스포츠의 경계에서” file 2021.09.24 805
방역 아래 초대 받은 불청객 file 2021.09.24 850
Olympics, Enjoy the Moment! file 2021.09.24 777
코로나19 시대의 청와대 영상기자단 미국 순방기 file 2021.07.06 376
작년과 달리 봄의 생기가 돌지만, 사람들의 삶은 아직 file 2021.05.06 472
멈춰있는 시간의 현장 file 2021.03.11 437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18 Next
/ 18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