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수정 삭제




지옥보다 더 끔찍했던 아이티 참사

신봉승 / KBS 보도영상팀

  아이티는 가는 길도 멀었다. 서울에서 아이티의 수도 포르토프랭스까지 가기 위해서 비행기를 네 번 갈아탔고, 여섯 번의 기내식을 먹어야 했으며 도미니카공화국 공항에서 육로로 10시간을 달려서야 겨우 도착할 수가 있었다. 75시간의 긴 여정으로 온 몸이 지친 상태에서 취재를 시작했다. 지진 발생 5일차에 현장에 겨우 도착한 취재진은 진도 7.3 지진의 참상을 눈이 아닌 코로 먼저 느낄 수가 있었다. 콧속을 밀고 들어오는 비릿한 냄새, 15만 명의 목숨을 앗아간 참사를 실감하는 데는 후각 하나면 충분했다.

텐트를 준비하지 못해 프레스룸을 숙소 삼아 잠을 자던 첫날 밤. 아이티 모기들은 처음 맛보는 동양인 피가 그토록 맛있었는지 우리를 향해 달려들었다. 양말 속으로 바지 밑단을 집어넣어도 보고 수건으로 얼굴을 덮어 신체노출을 최소화해도 덤벼드는 모기들은 피해갈 수 없다. 결국은 프레스룸을 뛰쳐나와 119구조대가 건네준 모기장을 뒤집어쓰고 잠을 청했지만 모기장과 맞닿는 부분은 여지없이 아이티 모기들에게 헌혈보시를 해야만 했다.

낮에는 무질서와의 싸움이었다. 길거리 한가운데에 아무렇게나 방치된 시신, 그리고 아무도 치울 생각을 하지 않는 사람들. 무정부 상태나 다름없는 포르토프랭스에서 서울에서처럼 마음대로 돌아다니면서 취재를 할 수는 없는 상황이었다. UN군이나 경찰이 보이지 않는 변두리의 피해지역은 안전을 위해 섣불리 들어갈 수도 없었다. 외국 대사관, UN군사령부, 외국기업체 주위에는 구호품과 일자리를 얻고 이민을 하려는 난민들이 구름떼처럼 모여서 그들을 달래가면서 취재를 했다.

아이티는 이번 출장팀이 꼽은 최악의 해외출장지 1위에 선정되기도 했다. 출장을 함께 다녀왔던 윤양균, 송상엽 선배 두 사람 모두 오지 험지 출장이라 하면 남부럽지 않게(?) 다녀봤다고 자부 했지만 아이티를 최악으로 꼽은 데는 순간의 망설임도 없었다. 편안하게 들어가서 잘 숙소가 없어 맨 바닥에 라면박스를 깔고 노숙을 했다. 세수할 물은커녕 마실 물도 부족해서 시내에 취재를 나갈 때면 UN군이 이재민들에게 나눠주는 생수를 챙겨 와야 했다. 우리도 난민이니까. ‘취재난민’

통상 좋은 그림들만 모아모아 편집을 하는 기존의 편집 룰은 아이티에서만큼은 예외였다. 넘쳐나는 시체들과 처참함 장면들은 골라서 빼냈다. 아무리 기자의 본분이 눈앞에 벌어진 현실을 가감 없이 전해야 하는 것이라 할지라도, 뷰파인더로 보기 힘든 장면을 시청자들에게 전해줄 수는 없었다. 하지만 시간은 흘러 그렇게 아이티에서의 악몽 같았던 일주일은 지나갔다. 아이티를 떠나 도미니카에서 만난 황상무 선배는 끔찍했던 일주일을 “이생에서 죄를 많이 지어서 지옥에서 심판을 받아야 한다면 아마도 지진 후 아이티에서의 일주일간이 지옥이 아닌가 싶다”고 회고했다.



  1. 쌍용차 평택 공장 잠입기

    쌍용차 평택공장 옥쇄 파업 취재 후기를 써 달라는 원고 청탁을 받았을 때, 얼떨결에 승낙해버렸다. 그로부터 벌써 3주가 흘렀다. 일반적인 취재 후기를 써야 하나? 문득 후배들이 공장 안으로 어떻게 들어갔냐고 물었던 기억이 났고, 공장에 들어가기까지의 ...
    Date2009.10.16 Views10510
    Read More
  2. 나로호 발사 순간을 기억하며..

    나로호가 발사되기 10분전.. 남열 해수욕장에는 대한민국의 우주 시대를 개막하게 될 나로호 발사를 보기 위해 많은 사람들이 모여들었다. 일반인들이 구비하기엔 비쌀 것 같은 길다란 망원경을 보는 사람, 여기저기 기념 사진 찍기에 바쁜 가족 및 연인들.. ...
    Date2009.10.16 Views9651
    Read More
  3. 히말라야 낭가파르밧 취재기 - 故 고미영 대장을 추모하며

    ‘고미영 대장이 제 2캠프 도착 바로 전에 실족해서 생사를 장담할 수 없습니다.’ 이게 무슨 소린가! 산소 부족으로 가뜩이나 머리가 띵-했는데 옆에서 전해오는 본부의 무전 소리를 들으니 정신이 멍해지며 아뜩해졌다. 바로 몇 시간전에 낭가파르밧 정상을 ...
    Date2009.10.16 Views11922
    Read More
  4. No Image

    경비행기 추락, 다시 있어서는 안될 일

    9월 어느 화창한 일요일 오후. 바람은 좀 불었지만 청명한 가을 날씨다. 그래 오늘 인천 도시축전에서 글라이더와 경비행기 축하 비행이 있다고 그랬지. “그림 좀 되겠다. 가자!” 그렇게 취재가 시작됐다. 미추홀 분수대 위에 하늘하늘 휘황한 연들이 떠 있고 ...
    Date2009.11.13 Views7276
    Read More
  5. 금강산, 눈물과 감동의 2박 3일

    금강산, 눈물과 감동의 2박 3일 - 추석계기 남북 이산가족 상봉행사를 다녀와서 공교롭게도 작년에 이어 다시한번 금강산에 다녀올 기회를 얻게 되었다. 지난해 615공동선언 8주년 행사가 금강산에서 치러진지 한 달 만에 박왕자 씨 피격 사망사건이 발생해 ...
    Date2009.11.13 Views9698
    Read More
  6. No Image

    스타 없는 대표팀의 거침없는 질주

    이집트로 향하는 비행기 안에서 ‘U20 FIFA 월드컵’(20세 이하 청소년 월드컵)대표팀 선수 명단을 확인한 나는 적잖이 당황했다. 미안한 얘기지만 아는 이름이 전혀 없었기 때문이다. ‘홍명보號 스타급 선수의 부재’ , ‘죽음의 C조’(대한민국, 독일, 미국, 카...
    Date2009.11.13 Views6541
    Read More
  7. [인도취재기]인도는 지금 변화로 몸살을..

    인도(印度, India). 대학시절, ‘해외여행을 가게 된다면 어느 나라에 가고 싶은가?’에 대해 질문을 하면 친구들은 배낭여행의 성지 유럽을 가장 많이 꼽았고 그 다음은 인도를 선택했던 기억이 난다. 당시 나에게 떠오른 인도의 이미지는 아침이면 논두렁에 ...
    Date2009.12.15 Views10609
    Read More
  8. 쉽게 허락없는 '풍요의 여신' 안나푸르나

    나는 사실 다사다난했던 날들을 뒤로하고 산이나 바라보며 시간을 보내고 싶은 마음에 히말라야 원정을 지원했다. 하지만 등산화를 신고 오르는 두 번째 산인 안나푸르나는 나에게 그렇게 호락호락한 산이 아니었다. 네팔 히말라야 중앙부 간다크지구에 위치...
    Date2009.12.15 Views10080
    Read More
  9. 바다에 잠길 운명의 섬나라, 투발루

    바다에 잠길 운명의 섬나라, 투발루 필자: “Hi, nice to meet you. Thank you for letting me in this cockpit. 만나서 반가워 그리고 이 비행기 조종실에 날 들여보내줘서 고맙고. 조종사: So, I'm going to be on TV, right? 그럼, 이제 내 얼굴이 텔레비전...
    Date2010.01.13 Views13352
    Read More
  10. 폭설과의 사투, 72시간...

    폭설과의 사투, 72시간... # 반갑다, 눈아!!! 내가 태어나고, 자란 산업수도 울산은 겨울에도 눈이 잘 내리지 않는 도시이다. 변변한 패딩조차 없던 내게, 눈이라는 존재는 신기하고 반가움 그 자체였다. 그러나 이번 1월 4일에 내린 25.8cm의 기록적인 폭설...
    Date2010.01.13 Views11419
    Read More
  11. 3D 시대는 오는가? CES쇼를 통해본 3D시대

    3D 시대는 오는가? CES쇼를 통해본 3D시대 최근 아바타란 영화가 우리나라의 외화 흥행역사를 쓰고 있다고 해서 화제이다. 그 중 3D로 상영되는 영화관의 경우엔 일반 2D 영화보다 비싼데도(12000원) 불구하고 연일 매진을 기록 중이다. 아바타는 3D로 봐야 ...
    Date2010.01.13 Views11316
    Read More
  12. “백야의 잠못드는 밤 코펜하겐”

    42박 43일간의 세계일주취재,참으로 가슴 벅찬 일정이었다. 3대륙 12개국을 돌아다닌다니 처음엔 너무 좋았던 기억이 난다. 해외취재에 이골이 난 몸이라 자신을 했건만 그 기대는 첫 날 런던에서부터 깨지기 시작했다. 급체! 첫날 과식을 한 탓인지 하루종일...
    Date2010.01.14 Views10611
    Read More
  13. 지옥보다 더 끔찍했던 아이티 참사

    지옥보다 더 끔찍했던 아이티 참사 신봉승 / KBS 보도영상팀 아이티는 가는 길도 멀었다. 서울에서 아이티의 수도 포르토프랭스까지 가기 위해서 비행기를 네 번 갈아탔고, 여섯 번의 기내식을 먹어야 했으며 도미니카공화국 공항에서 육로로 10시간을 달려서...
    Date2010.02.23 Views10236
    Read More
  14. 고단했지만 활력이 된 설악산 빙벽 등반 교육

    고단했지만 활력이 된 설악산 빙벽 등반 교육 고영민 / KBS 보도영상팀 지난 1월 23일부터 7일 간 설악산 일대에서 고산지대 취재능력 향상을 위한 위탁연수를 받았다. 외부 위탁연수여서 KBS 선후배 동료들도 있었지만, 사회에서 각자 다른 일들을 하다가 모...
    Date2010.02.23 Views11378
    Read More
  15. 쇄빙선 아라온호의 한계와 희망

    쇄빙선 아라온호의 한계와 희망 신동환/ SBS 영상취재팀 아직 활동하고 있다는 눈 덮인 활화산인 멜버른 산과 희고 긴 얼음 협곡, 대륙의 산맥들, 빙하가 지나간 거대한 자리, 조그맣게 자리하고 있는 타국의 기지들. 남극 대륙에서의 취재 마지막 날 헬기를 ...
    Date2010.04.16 Views10061
    Read More
  16. No Image

    천안함 침몰, 백령도 취재기 -YTN 김현미

    백령도 천안함 취재기 YTN 영상취재1부 김현미 천안함 함미 인양을 앞두고 추가 인원이 백령도에 들어가게 되었다. 사건이 터진 후 줄곧 가고 싶었던 현장에 드디어 나도 들어가게 된 것이다. 선배들은 무조건 옷을 두껍게 입으라며 신신당부를 했다. 그래도 ...
    Date2010.05.10 Views6243
    Read More
  17. 혼돈의 시간과 정지된 시각

    혼돈의 시간과 정지된 시각 -해군 제 2함대 취재기- 부산 여중생 살인 사건이 마무리된 지 일주일 남짓. 채 여독이 풀리기도 전에 이번에는 평택이었다. 언론사에 입사해 뉴스를 만든 지 이제 5개월 남짓밖에 안된 수습기자에게, 이는 너무나 가혹한 소식이 ...
    Date2010.05.14 Views10084
    Read More
  18. "사랑한다 아들아!"

    ‘사랑한다. 아들아.’ 이 말을 듣고도 가슴이 먹먹해지지 않는 사람은 아무도 없을 것이다. 뉴스뿐만 아니라 여러 프로그램에서 들려오는 목소리였다. 그런 이 말을 나는 현장에서 직접 듣고 있었다. 미어지는 어머니의 목소리, 한마저 느껴지는 가족의 목소리...
    Date2010.05.14 Views9734
    Read More
  19. 백령도 그 침묵의 바다 앞에서

    그 침묵의 바다 앞에서 천안함이 바다에 침몰했다는 소식을 듣고 뉴스를 모니터 하다가 귀에서 맴도는 소리가 있었다. 바로 '백령도 수심 20m 부근에 침몰하였다"라는 기자의 목소리... 이 소리가 나를 움직이게했다. 수심20m면 스쿠버다이빙으로 얼마든지 내...
    Date2010.05.14 Views10095
    Read More
  20. 김길태 사건 취재기

    “길태다.” 2010년 3월 10일 15:00경 부산 사상구 덕포시장 인근에서 김길태가 붙잡힌다. 경찰이 이양실종사건의 용의자로 김길태를 지목하고 공개수사로 전환한지 8일, 이양의 시신이 발견된지 4일만이다. 김씨의 흔적을 찾아 사상구를 헤매던 기자들이 급히 ...
    Date2010.05.14 Views10355
    Read More
  21. 6.25전쟁 프랑스 종군기자 앙리 드 튀렌 인터뷰

    6.25전쟁 프랑스 종군기자 앙리 드 튀렌 인터뷰 戰後 5년… 또 3차 대전이 터진 줄 알았다… 1950년 긴장과 공포 속에 한국행 비행기에 몸 실어 지난 6월 7일, 6.25 전쟁 발발 60주년을 앞두고 당시 미군에 종군했던 앙리 드 튀렌 (Henri de Turenne, 이하 튀렌...
    Date2010.07.15 Views10618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 18 Next
/ 18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