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No Attached Image

프랑스 기자교육양성센터(CFPJ) 방문기

난 2일, 프랑스 파리 2구에 위치한 기자교육연수센터(Centre de Formation et de Perfectionnement des Journalistes, 이하 CFPJ)에 다녀왔다. 이는 릴(Lille) 저널리즘고등교육원(Ecole Supérieure de Journalisme), 리옹정치대학(Science-po de Lyon) 내에 위치한 저널리스트과정(Institut d'Études Politiques), 파리9대학 저널리즘연구소(Institut Pratique de Journalisme), 그리고 파리 근교 뇌이쉬르센(Neuilly-sur-Seine)에 위치한 정보통신과학고등교육원(CELSA) 등과 함께 대표적인 저널리즘그랑제꼴이다. 프랑스기자연합(SNJ)과 AFP연합통신 등 각종 언론기관이 모여있는 파리 한복판 루브르 가(街)에 위치한 CFPJ는, 실무경험이 많은 미디어교육가들로 하여금 신문, 잡지 등 인쇄매체, 라디오, 텔레비전, 그리고 최근에는 웹 분야에서 기자가 되고자 하는 대학생들은 물론, 이미 현업에서 종사하고 있는 여러 기자들에게 다양한 취재노하우를 전수하도록 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프랑스 언론인들에게 정통성있는 “학문의 전당”으로 통하는 CFPJ에서는 특히 촬영기자 양성교육은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지 그 교육철학을 들어봤다.

FPJ는 사실상 두 교육기관으로 나뉘어져 있는데, 하나는 저널리즘 관련 학문일체를 가르치며 예비저널리스트를 양성하는 2년제 그랑제꼴(Centre de Formation des Journalistes, 이하 CFJ)이고, 나머지 하나는 프랑스 국내외 각종 미디어에서 기자로 활동하고 있는 이들을 대상으로 이들에게 각종 단기실무재교육을 제공하는 연수센터(Centre de Perfectionnement des Journalistes, 이하 CPJ)이다. 2차대전 직후, 1946년 프랑스 레지스탕스 언론인단체였던 “프랑스국방(Défense de la France) » 출신 두 기자 필립 비아네(Philippe Vianney)와 자크 리셰(Jacques Richet)는, 새 시대에 맞는 미디어 환경에 적절하게 대응하며 올바른 여론형성을 주도하는 우수 언론인 양성을 위해 정통성있는 교육기관이 필요하다고 여기고 CFJ를 창립했다. 창립 이래 이 곳 « 루브르 가(街) 학교 » 졸업생들은 약 2000여 명 정도로, 이들 중 대부분이 프랑스 주요 매체에서 기자 및 주요 편집장들로 활동하고 있다. 최근 4년동안 젊은 언론인들의 저널리즘정신을 기리기 위해 수여하는  언론상인 « 알베르 롱드르상 » 수상자도 이 학교에서 4명이나 배출되었다고 한다. 현재 매년 40여명의 예비 저널리스트들이 이 학교의 엄격한 입학기준을 통과해 언론학 이론 및 실기 수업을 거쳐 현장으로 진출하고 있다. 역사적인 언론교육기관임을 증명하듯, 학교 건물 입구에는 이 학교가 창립될 무렵 사용되었을 신문 인쇄기가 CFPJ 로고와 함께 자리하고 있다. ‘디지털시대에 맞는 새 언론인 양성’을 교육목표로 삼고 있는 이 곳 CFPJ는 쉴새없이 변화하는 미디어환경 속에서도 이 기계의 시대로부터 이어져 온 저널리즘 정신만큼은 변함없는 교육철학으로 간직하고자 하는 것 같다.

한편, 기자연수센터(CPJ)는 각종 매체에서 현재 기자생활을 하고 있는 이들을 대상으로, 그들의 현장실무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매년 다양한 연수프로그램들을 마련하고 있다. 이 날 학교 안내를 맡았던 베로니크 갸르(Veronique Gare, CFPJ인터네셔널)씨에 의하면, 현장실무경험이 많은 강사들에 의해 운영되는 이곳 연수센터는 일종의 ‘취재노하우 전수기관’으로 불린다고 한다. 매년 2500여명의 기자들이 이곳을 거쳐가는데, 이들은 실제 취재를 하면서 축적된 기자 각자의 개성과 전문성은 살리면서, 부족한 점들을 재교육을 통해 조금씩 보완해간다. 교육내용은 각 분야에 따라 특성화되어 있는데, 촬영기자교육과정을 보면, TV저널리즘기초, 카메라실무, 디지털편집, 영상언어교육, 기사작성, 멘트녹음, 데일리 및 특집 르포제작 실제 등이다. 방문 당일, 촬영기자교육 현장을 보려고 했지만, 아쉽게도 학생들은 이미 현장 촬영을 나가고 없었다. 촬영을 갓 마치고 돌아와 다른 학생들을 기다리던 한 여학생과 충전 중인 카메라 배터리들, 그리고 남은 ENG카메라 몇 대가 보관되있던 캐비넷만이 마치 한 방송사 영상취재국을 연상시킬 뿐이었다.

랑스에서는 JRI -영상리포터기자(Journaliste Reporter d’Image)- 로 불리우는 촬영기자는 아이템구상, 촬영, 편집, 기사작성, 마이크스탠드 등을 모두 수행해야 하는 멀티플레이어로서, 우리나라의 촬영기자들의 업무와 크게 다른 부분은 없다. 하지만 ‘만능꾼’이 되어야 하는만큼 촬영기자가 되기까지 이곳 CFPJ와 같이 권위있는 교육기관에서 혹독한 수련과정을 거쳐야 하며, 이른바 ‘일용직 카메라기자’로서 장기간의 현장실무경력이 있어야 각 방송채널 보도국 정규직 촬영기자로 고용된다. 앞서 설명한 CFJ에서도 언론학 일반을 배우는 1학년을 마친 후에는, 학생들이 각각 세부전공을 정하게 되는데, 이때 ‘촬영기자과정’을 선택하면 현장에서의 촬영기자교육을 받는다. 이처럼 기자들의 전문지식과 실무능력을 중요시 하는 프랑스 미디어 환경에서 이 연수센터는 앞으로 다가올 HD시대에 대비하여 새로운 촬영장비나 편집소프트웨어가 나오면, 촬영기자들이 이를 잘 다루어 실제 취재활동에 바로 활용할 수 있도록 교육프로그램을 마련한다. 또한, 라디오나 TV취재기자들이 촬영기자로 전업하고자 할 경우, 그들에게 맞는 촬영 및 편집 교육을 실시하기도 한다.

특히, 이 연수센터의 국제팀은 외국인 기자들을 위한 교육프로그램을 다양하게 제공하고 있는 데에도 주목할 만하다. 1965년 알제리에서의 현지 기자연수를 시작으로, CFPJ는 1970년대 초반부터 국제팀을 신설하여 이곳의 저널리즘 교육노하우를 세계적으로 전수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갸르 씨는 « 우리는 이미 약 40여년 전부터, 세계 각국의 미디어환경의 변화속도가 동일하지 않으며 따라서 외국 기자들의 실무재교육 상황 또한 제각각이라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특히 많은 나라에서 언론인 관련 교육이 지나치게 이론 위주의 수업이라는 것을 깨닫고, 이를 보완하기 위해 우리는 외국인 기자들을 위한 현장교육을 담당해야겠다는 생각을 하게 됐습니다. » 라고 하며, CFPJ인터네셔널의 기본취지를 밝혔다. 그녀는 « 이곳 파리에서 외국인 기자교육이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지만, 경우에 따라 외국의 주요 대학 언론관련학과 및 저널리즘스쿨과 파트너쉽 계약을 체결해 현지에서도 우리 프로그램을 진행하기도 합니다. 일반적으로 캄보디아, 베트남, 레바논, 이집트 등 프랑스어권 국가들에서 이런 현지교육이 이루어집니다. 물론, 비프랑스어권에서 이런 교육의뢰가 들어올 경우는, 필요에 따라 통역사의 도움 아래 수업을 진행시키는 경우도 있죠. »라고 하며, 구체적으로 외국인 기자들을 위한 교육이 어떻게 이루어지는지 구체적으로 설명했다. 이런 CFPJ 국제팀에서 제공하는 프로그램의 목표는, 프랑스를 비롯해 여러 선진국 기자들의 취재경험 및 전문성을 여러 개발도상국 및 저개발 국가의 기자들과 공유하여, 이들 국가의 미디어환경 발전에 기여하고 언론과 표현의 자유라는 민주주의적 가치를 함께 지켜나가고자 하는데 있다.
« 작년에는 중국에서 언론관련학과에 다니는 대학생과 촬영기자 등 두 팀이 우리 수업을 듣기 위해 파리에 왔었는데, 이들에게는 약 일주일간의 시간이 말하자면 ‘디지털 저널리스트’로서의 경험이었다고 합니다. 그들은 아직 아비드와 같은 편집소프트웨어를 활용할 줄 몰랐습니다. 따라서 우리 측에서 이 교육을 담당했었지요. 단 일주일만의 시간이었지만, 우린 그 경험이 그들에게 앞으로 다가올 디지털시대에 맞는 언론인으로서 성장해나가는데 좋은 밑거름이 되었을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

바야흐로 미디어환경 역시 글로벌시대가 되었다. 이에 맞게 국내 각 방송사는 선진국의 우수한 촬영장비와 기술을 도입하고 이를 부지런히 배우고자 고군분투하고 있다. 이와 더불어, 우리 촬영기자들 각자가 가진 개성과 전문적 능력은 살리면서, 실제 취재현장에서 계속적으로 되풀이되는  문제점은 각종 재교육프로그램을 통해 보완해가며 진정한 멀티플레이어 촬영기자가 되는 것이 ‘글로벌저널리스트’가 되는 길이 아닐까. 이를 위해 각사와 본 협회가 좀더 다양한 연수프로그램을 마련하여 더 많은 회원들이 좋은 경험을 쌓도록 노력할 것을 기대해 본다. 또 CFPJ인터네셔널의 교육철학과 같이, 우리가 가지고 있는 우수한 취재노하우를 우리와 이웃하고 있는 아시아의 저개발 지역 언론인들에게 전수하여 이들의 미디어환경 발전을 돕는 것 역시 본 협회가 향후 기획해볼만한 글로벌 프로젝트일 것이다.  

  1. 특검 취재 후기 - 내 인생에 중요한 역사적 한장면

    특검 취재 후기 KBS 영상취재부 최만용 지난해 12월 12일. 대한민국 국민의 모든 관심이 쏠린 방송사 여섯 개 특검 취재반 카메라기자들이 대검찰청 카메라기자실에 모였다. 그때까지만 해도 박영수 특검이 어떤 성과를 낼 수 있을지 반신반의했고 그 과정이 ...
    Date2017.05.22 Views1733
    Read More
  2. No Image

    특집 EBS자연타큐멘터리 2부작 -개미들의 삶을 영상으로 기록

    특집 EBS자연타큐멘터리 2부작 -개미들의 삶을 영상으로 기록 개미 오는 3월 7, 8일 이틀간에 걸쳐 EBS에서 방송 예정인 자연다큐멘터리 ‘개미’는 일반 자연다큐와 달리 아주 작은 피사체를 다루고 있어 일반 렌즈로는 촬영이 불가능 하는 등 많은 어려움이 따...
    Date2003.07.08 Views9152
    Read More
  3. 평양 축전 기간 중 평양 순안 공항에서

    이 한 장의 사진 2001년 8월 15일 평양축전 기간 중 평양 순안 공항에서 이 해 민족통일대축전은 처음 남측 대표단이 공식 참가하였으나, 한 참가 교수가 만경대 방명록에 친북 성향의 글을 남겨 논란이 되었다. 공동취재단 왼쪽부터 MBC 양윤모 부장, 김종수 ...
    Date2005.09.09 Views7729
    Read More
  4. 평양, 짜 맞추기 힘든 큐빅같은 곳

    <6.15 취재기> 평양, 짜 맞추기 힘든 큐빅같은 곳 평양 순안공항의 공기는 뜨겁게 아지랑이치고 있었다. 날씨가 그랬고, 내 가슴이 그러했다. 세 번의 도전 끝에 찾아온 북녘 땅의 중심! 이제 누구나 쉽게 찾아가 볼 수 있는 금강산에서 느꼈던 공기와는 사뭇 ...
    Date2007.07.19 Views7575
    Read More
  5. No Image

    평창동계올림픽 유치 취재기(평창) 꿈은 현실이 되었다

    자메이카 봅슬레이 선수들이 열정을 감동적으로 그린 영화<쿨러닝> 혹은 800만 이상의 관객에게 감동을 선사한 영화 <국가대표>를 관통하는 주제는 동계 스포츠에 소외된 이들의 현실 극복이다. 대한민국 평창이라는 곳 역시 그간 동계올림픽에 소외되었다. 하...
    Date2011.07.22 Views4631
    Read More
  6. 평창올림픽 유치 취재기(남아공 더반)

    감격의 순간을 담느라 감격을 억눌러야 했다 평창,,,, 자크로케 IOC위원장의 발표순간 모든 유치위원회 관계자와 평창 서포터스들이 일제히 환호성을 울렸다. 유치위원회 관계자와 기자단 숙소인 리버사이드 호텔에 마련된 야외 응원 장소에서 취재중이던 나...
    Date2011.07.22 Views11105
    Read More
  7. 평화, 새로운 시작 4.27 남북정상회담 취재기

    평화, 새로운 시작 4.27 남북정상회담 취재기 6.13 지방선거가 있었고 대한민국은 파란 나라가 된 듯하다. 평창올림픽부터 시작된 평화의 무드, 전번의 우라질 정권이 망쳐놓은 평화적 외교적 관계들이 점차 제자리를 찾는 느낌이다. 우리 청와대 출입 기자들...
    Date2018.07.05 Views1084
    Read More
  8. 폐어선‘ 스쿠버다이빙 성지’ 변모 해중공원 수중촬영기

    폐어선 ‘스쿠버다이빙 성지’ 변모 해중공원 수중촬영기 똑같은 파도, 똑같은 백사장을 놓고 경쟁하던 때는 이미 지 났다. 여러 시·군 지역에서는 특색이 있는 해양 레포츠에 승부를 걸고 있다. 강원도에서는 이미 서핑, 프리다이빙, 스쿠버다이빙 등 다양 한 ...
    Date2018.07.04 Views1292
    Read More
  9. 폭설과의 사투, 72시간...

    폭설과의 사투, 72시간... # 반갑다, 눈아!!! 내가 태어나고, 자란 산업수도 울산은 겨울에도 눈이 잘 내리지 않는 도시이다. 변변한 패딩조차 없던 내게, 눈이라는 존재는 신기하고 반가움 그 자체였다. 그러나 이번 1월 4일에 내린 25.8cm의 기록적인 폭설...
    Date2010.01.13 Views11419
    Read More
  10. 폭설취재기 - 1미터 눈폭탄 '진짜 난리예요'

    <1미터 눈폭탄 '진짜 난리에요'> - 2월 6일. 하늘에서 함박눈이 쏟아진다. 원주를 떠나 강릉에 발령난 지 불과 사흘째. 좀처럼 볼 수 없던 탐스러운 눈발에 잠시나마 감상에 젖어든다. 카메라를 들고 거리로 나섰다. 솜털 같은 하얀 눈이 도로 위에 쌓여간다. ...
    Date2014.03.21 Views9317
    Read More
  11. No Image

    프랑스 기자교육양성센터(CFPJ) 방문기

    프랑스 기자교육양성센터(CFPJ) 방문기 난 2일, 프랑스 파리 2구에 위치한 기자교육연수센터(Centre de Formation et de Perfectionnement des Journalistes, 이하 CFPJ)에 다녀왔다. 이는 릴(Lille) 저널리즘고등교육원(Ecole Supérieure de Journalis...
    Date2010.09.28 Views5752
    Read More
  12. 필리핀취재기 - 전쟁영화에서나 볼 수 있는 광경

    탕! 탕! 타클로반으로 이어지는 다리를 건너자마자 두 발의 총소리가 들렸다. 다리를 향해 긴박한 표정으로 걷던 사람들은 뛰기 시작했다. 혼비백산해서 뛰는 사람들 틈에서 누군가가 차를 돌리라고 손짓을 했다. 우리 취재차량도 차를 돌렸다. 길에서 뛰던 ...
    Date2013.12.17 Views10200
    Read More
  13. 필리핀취재기 - 죽음의 도시 '타클로반'을 가다.

    죽음의 도시 ‘타클로반’을 가다. 겹쳐 쓴 마스크 사이로 시체 썩는 냄새가 코를 찔렀다. 사라져버린 마을을 멍하게 바라보다 다시 길을 걷는데 거리마다 널브러진 주검들이 눈에 들어온다. 거적때기라도 둘러놓은 것은 그나마 참을만했다. 다리를 벌리고 석고...
    Date2013.12.17 Views10103
    Read More
  14. 하노이 회담, 그 기억의 단편

    하노이 회담, 그 기억의 단편 호텔, 양국 정상의 잠자리 북미 2차 정상회담이 예정되었던 날짜보다 2주가량 이르게 베트남 하노이에 도착했다. 도착하자마자 시작한 취재는 정상들의 유력 숙소지, 회담 장소 등이었다. 멜리아, jw메리어트, 메트로폴 하노이, ...
    Date2019.05.08 Views462
    Read More
  15. 하버드대의 운동벌레들

    제목 없음 하버드대의 운동벌레들 작년과 마찬가지로 올해에도 KBS 스포츠국에서는 학교 체육에 관한 특집물을 제작하였다. 그 동안 우리나라의 학교 체육은엘리트 운동부를 중심으로 한 체육교육이었다. 이러한 형태의 체육 교육은 운동부 학생들의 수업 참...
    Date2010.11.16 Views12684
    Read More
  16. No Image

    학부모 찬조금에 대한 단상

    학부모 찬조금에 대한 단상 예전에도 그러했지만 지금도 촌지로 인해 말도 많고 탈도 많다. 자식을 낳고 기르면서 처음에 부모의 염원은 “건강하고 튼튼하게만 자라다오.”였다가, 점점 아이가 자라면서는 다른 아이들보다 뒤쳐지면 걱정이 태산이다. 이렇듯 ...
    Date2005.06.13 Views8040
    Read More
  17. 한 점의 빛도 보이지 않는 곳에서의 촬영

    제목 없음 칠흙같은 어둠속에서 ENG로 촬영을 해야 할 경우 어떻게 해야 가능할까? 물론 렌즈에 아스트로스코프(Astro Scope-주변의 미약한 불빛을 증폭해서 어두운 곳에서도 볼수 있도록 만들어진 장비. 적외선을 감지하기 때문에 녹색을 띠고 있음) 를 장착...
    Date2009.05.18 Views11495
    Read More
  18. No Image

    한 청년의사의 항변

    아래 내용은 문화방송 홈페이지 뉴스인뉴스에서 발췌한 것입니다. 한 청년의사의 항변 김 철영 (문화방송 영상취재 1부 ): zarathus@imbc.com 서울 중앙병원 내과 레지던트 4년 차 한 상택 씨. 벌써 두 달여 째, 중앙병원 내과의국이 아닌 의사협회내의 참의료...
    Date2003.02.24 Views7715
    Read More
  19. 한국 최초 우주인을 취재하고

    한국 최초 우주인을 취재하고 알아들을 수 없는 긴박한 러시아어 몇 마디가 흘러나오자 잠시 후 로켓은 그 몸체를 둘러 싸고 있던 지지대를 떨쳐버리고 불을 뿜었다. 시간이 조금 걸릴 것이라고 기대했던 것과는 달리 땅을 울리는 듯 굉음이 들리기 시작하고 ...
    Date2008.06.25 Views7953
    Read More
  20. No Image

    한국문화의 주체성과 정체성을 모색해야

    <YTN '위대한 문화유산' 제작기> 한국문화의 주체성과 정체성을 모색해야 올해 초 회사의 직무에 개편이 있으면서 영상기획팀에 있던 나와 정철우 기자는 바뀐 영상기획팀의 직무에 맞는 컨텐츠 제작을 고심했고 여러 아이디어를 가지고 토론했다. 24시간 뉴스...
    Date2008.01.12 Views7083
    Read More
  21. 한국산‘ 불법 수출 쓰레기’ 필리핀 떠나던 날

    한국산‘ 불법 수출 쓰레기’ 필리핀 떠나던 날 지난 1월 11일, 영상취재팀 캡으로부터 해외출장 준비를 해야겠다는 연락을 받았다. 해외 재난·재해도 없던 때라 출장에 대한 묘한 기대감이 생기기도 했다. 그리고 오래지 않아 알게 된 취재...
    Date2019.03.12 Views497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Next
/ 18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