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No Attached Image

8일간의 기록 ? 통합진보당 이석기의원 사태
사과부터 해야겠다. 의무를 다하지 못했기 때문이다. 내란음모 혐의로 통합진보당 이석기의원에 대한 압수수색이 시작된 이후, 8일 동안 국회 의원회관 복도를 지켰다. 복도는 국정원, 통진당, 취재진이 어울려 어지러운 보도의 협주곡을 연주하는 콘서트 홀이었다. 어느 새벽, 밤샘 야근에 지쳐 의자에 눕다시피 하다 인기척에 눈을 떴다. 퀭하니 초점은 잃었지만, 눈 앞에 어른거리는 사람은 알아볼 수 있었다. 이석기 의원이다. 그가 말쑥한 차림새와 당당한 걸음으로 의원실에 들어가며 문 앞 의자에 앉아 널브러진 나를 굽어보며 지나갔다. 부리나케 일어나 촬영의 시늉을 내보지만, 상황은 낯뜨거웠다. 카메라 전원만 겨우 켰다. 그렇게 이석기의원 사태는 그 날 그의 걸음처럼 느닷없이 국회를 강타했다. 예고 따위는 드라마의 몫이다.
국정원과 검찰은 이석기 의원에 대한 내란음모 혐의와 관련해 지난 8월 28일 아침 일찍부터 동시다발적으로 압수수색에 돌입했다. 오전 6시 30분부터 통합진보당 주요 인사들과 이의원 집무실에 대한 압수수색이 시작된 것이다. 뉴스영상의 민낯이 가공 없이 보도되었다. ‘내란’ ‘전쟁’ ‘총’ ‘비비탄’ 등 선정적인 단어가 둥둥 떠다녔다. 언론의 헤드라인은 언제나 이의원이 열었다. 시간이 갈수록 주장과 의혹은 늘어 갔다. 압수수색 ? 구속영장 청구- 녹취록 공개- 체포동의안 ? 구인영장으로 디뎌지던 징검다리와도 같았던 사건 속에 쉼표는 없었다. 정국은 시계제로의 혼란 속으로 빨려 들어갔고, 국회는 정치적 석기시대로 무릇, 거친 몸의 언어가 횡행하는 곳으로 변해갔다.  

이석기 의원이 머무는 국회. 국회카메라기자실은 밤낮이 없었다. 통합진보당은 국회3진의 출입처이건만, 5명으로 24시간 의원실 취재와 국외 안팎에서 벌어지는 일들을 커버하기란 녹록치 않았다. 예고 없는 집무실 앞 브리핑, 정론관 기자회견, 통진당원 결의대회, 이정희 대표 단식… 무엇보다 이의원 움직이는 발길을 추적하기란 여간 험난한 게 아니었다. 보도전문채널과 종합편성채널들이 tvU를 동원한 실시간 중계 앞에서 여유는 감당할 수 없는 부담이 되어왔다. 이의원의 얼굴이 강한 메시지가 되었고, 그의 행적에 국민의 시선이 쏠려있었다. 카메라는 보도에 냉혹한 감시의 기능이 추가되었다. 이의원이 국회에 온 이후 그의 일거수일투족은 중계되었고, 녹화되었다. 사각지대는 없고, 쉬는 시간도 없다.
8일간의 국회는 더디고 복잡했지만, 서서히 들끓어 오르는 용광로 같았다. 국정원과 검찰의 공식 설명도 없는 출처미상의 불분명한 언론보도는 무성했다. 하필이면 개혁이 요구되는 시점에 사건이 불거졌다는 점에서 국정원의 국면전환용이 아니냐는 의혹이 나오기도 했다. 그리고 과연 21세기 대한민국에서 내란음모라는 것이 가능하기나 한 것일까라는 상식적 의문이 들기도 했다.
내란음모 혐의를 받고 있는 통합진보당 이석기 의원의 체포동의안이 9월 4일 국회 본회의에서 가결됐다. 여야 의원들은 무기명 투표로 진행된 체포동의안 표결에서 86.6%의 찬성으로 체포안을 통과시켰다. 국회는 더 이상 이석기의원의 손을 잡지 않았다. 국정원과 통합진보당과의 난장판 같은 거친 몸싸움을 끝으로 그는 저녁 무렵 국회를 떠났다. 이석기 의원은 자신에 대한 국회 체포동의안 처리와 관련 철저히 사상검증, 마녀사냥이라고 말했다. “당신의 말에는 동의하지 않지만, 그렇게 말할 권리만큼은 죽을 때까지 지키겠다’는 볼테르의 오래된 경구를 인용했다. 사상의 자유를 주장한 것이다.
자욱한 먼지가 가라앉으면 진실은 드러나기 마련이다. 긴 시간이 필요하겠지만, 사실과 증거에 충실한 판단, 절차적 정의에 따를 수사와 재판이 필요한 시점에 치밀어 오르는 궁금을 억누르지 못했다. 친분이 있던 통합진보당 관계자에게 직구로 물었다.
“사실이야?”  “왜 그래, 믿어줘”


임우식 / SBS 영상취재팀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조회 수
[2023 힌츠페터국제보도상 수상소감] 인류최악의 원전사고, ‘체르노빌원전사고’를 알린 네 명의 영상기자들 file 2023.11.20 71
[2023 힌츠페터국제보도상 수상소감] “인사이드 러시아: 푸틴의 국내 전쟁(Inside Russia: Putin’s War at Home)” file 2023.11.20 95
[2023 힌츠페터국제보도상 수상소감] “바흐무트 전투(The Battle of Bakhmut)” file 2023.11.20 100
[2023 힌츠페터국제보도상 수상소감] “중앙아프리카공화국 내 러시아의 소프트파워 (Russian Soft Power in The CAR)” file 2023.11.20 117
모든 것이 특별했고 모든 것이 감사했다 file 2023.11.15 118
지역에서는 이미 불거진 문제, 아쉬움만 가득한 잼버리 조기퇴영 file 2023.08.31 128
2023 특집 다큐멘터리 [우리도 광주처럼] file 2023.12.18 140
저는 지금 텔아비브의 중심가에 나와 있습니다 file 2023.11.15 145
“오송 지하차도 참사가 우리에게 주는 숙제” file 2023.08.31 178
언론인에 대한 정교하고 다양해진 공격, 직업적 연대로 극복해야 file 2022.11.01 179
EEZ 중국 불법어선 단속 동행 취재기 file 2023.12.21 180
"기후위기 시대의 영상기자’로의 진화가 필요한 시점" file 2023.08.31 195
[카타르 월드컵 거리응원 현장 취재기] 뉴스의 중심에 선 ‘사람들’을 위해 그들과 등지고 서다. file 2022.12.28 197
“첫 취재를 함께 했던 언론인 동료이자 친구인 故쉬린 아부 아클레 기자의 죽음 영상으로 담아낸 고통 …팔레스타인의 진실 계속 취재할 것” file 2022.11.01 211
“후쿠시마 오염수, 서로 다른 체감온도” file 2023.08.31 212
2030 부산 세계박람회 유치발표 취재기 file 2023.12.21 234
[현장에서] ‘세계적 보편성’ 인정받은 ‘세계의 지역성’ …‘ATF2022’와 다큐멘터리 ‘화엄(華嚴)’ file 2023.03.03 241
[현장에서] “독재와 권력에 맞설 우리의 무기는 손에 든 카메라와 마이크입니다.” file 2022.07.01 243
[카타르 월드컵 카타르 현장 취재기] 월드컵 역사상 다신 없을 카타르 월드컵 file 2022.12.28 263
[현장에서] 카메라와 아이디어로 담아낸 현실의 부당함과 저항, 인간의 투쟁이 세상의 조명을 받도록 file 2022.07.01 270
외신에 의존하지 않는 한국 시각의 전쟁 취재. 우리는 무엇을 해야 하나? file 2023.12.21 274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18 Next
/ 18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