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회 수 8729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크기조정.jpg

 

 

 

크기조정2.jpg

 

서울 촌놈 제주로 이직하다
  나는 작년에 처음으로 제주 땅을 밟았다. 여행으로라도 한번쯤 다녀왔을 법도 한데 서른이 넘도록 기회가 닿지 않았다. ‘제주도 한번 못 가봤다’는 말에 ‘서울 촌놈’이라며 친구들로부터 핀잔을 듣기 일쑤였다. 제주에 정착하리라고는 꿈에도 생각해보지 못했다. 대한민국의 여느 직장인처럼 여름휴가 계획을 세우며 부푼 기대를 안고 제주로 향하는 비행기에 올랐다.


마침내 만난 제주는 눈이 부셨다. 일주일간 제주도를 일주하며 아름다운 풍경 하나하나에 시선을 빼앗기고 아름다운 섬 제주에서 살면서 매일 이 풍경을 렌즈에 담을 수 있으면 좋겠다는 생각을 하고 서울로 돌아갔다. 하지만 간절히 원하면 이루어진다고 했던가. 제주에 매료된 나는 회사를 옮겨 제주도로 내려오게 되었고, 그렇게 그리던 제주를 매일 카메라로 담고 있다.


 하지만 관광객의 제주와 현지인의 제주는 같은 공간의 다른 섬이었다. 관광객의 눈으로 바라본 제주의 쏟아지는 햇살과 아름다운 바다, 야자수가 늘어서있는 휴양지의 느낌과는 거리가 있었다. 제주의 산은 험하고 바다는 사나웠다. 제주는 많은 오름과 척박한 땅, 높은 한라산을 품고 있고, 언제나 바람이 심해 파도가 거칠기 때문이다.


  제주에 정착하는 데 첫 단추를 잘 꿰기 위해선 무엇보다 육지와는 다른 제주만의 문화를 이해해야 했다. 제주는 돌, 바람, 여자가 많은 삼다도라고 한다. 화산활동은 제주를 돌이 많은 척박한 땅으로 만들었고, 태풍의 길목에 위치해서 늘 바람의 피해를 벗어날 수 없었다. 이는 제주 여인들을 남편 없는 가장으로 만들어 험난한 생활전선으로 내몰았고, 제주 여인들은 바다로 나가 물질을 하고, 집에 돌아오면 밭일을 하는 등 두 몫의 일을 하였다.

  또한 4.3이 할퀴고 간 역사의 상처는 긴 생채기를 남긴 채 제주 사회 내에서 보이지 않는 갈등을 야기하고 있다. 이런 환경, 역사적인 면들이 제주의 문화를 만들었고, 이를 존중하고 이해하는 과정이 필요했다.

 

제주 정착의 어려움
제주어를 알아듣는 데에도 어려움이 많았다.


"혼디손심엉 벵삭이 웃는 제주. 느영나영 모다들엉 제주를 지꺼지게. "


이게 무슨 말인지 알겠는가? 모두 손잡고 함께 웃는 제주, 너와 내가 모여 제주를 즐겁게하자 라는 뜻이다. 

유네스코에서 가장 빠르게 소멸하고 있는 언어로 제주어를 손꼽았고 젊은 사람들은 제주말을 많이 사용하지 않는 추세이다. 그러나 여전히 제주어는 제주 사람들에게 통용되고 있는 말이다. 바람이 많이 불고 어업을 주업으로 하는 제주의 특성상 짧고 빠르게 말해도 의미가 전달될 수 있도록 하다 보니 지금의 제주어가 되었다고 한다.


시골에서 연세 지긋하신 어르신들과 인터뷰를 할 때에는 난생 처음 들어보는 단어들이 속사포처럼 나왔다. 제주어를 듣고 있자면 내가 외국에 있는 것인가? 하는 생각도 들고 무슨 말인지 못 알아들어 다시 물어보는 일이 다반사였다. 물론 지금도 100% 다 알아듣는 것은 아니지만 그래도 이게 무슨 얘기구나 하는 정도는 알아듣게 되었으니 그래도 한 10%정도는 제주사람이 된 것 같다.


제주에서의 인상적인 취재
아직까지 선배들에 비해 취재경험이 많지는 않지만, 그래도 제주에서의 가장 인상적인 취재는 눈이 오던 날의 한라산 취재이다. 눈 내리는 한라산은 겨울왕국 그 자체였다. 다른 산에서는 볼 수 없는 특별한 식물들과 풍경이 나타났고, 윗새오름에 드넓게 펼쳐지는 눈밭 위로 솟아오른 백록담은 구름에 둘러싸여 신령한 느낌마저 주었다. 특히 구상나무에 펼쳐진 상고대는 눈과 바람이 빚어낸 한라산의 보석 같았다. 한라산의 아름다움은 눈과 바람에 맞서기에 충분한 대가를 주었다.

 

제주도는 마법 같은 곳이다. 인구 60만, 관광객 천 만 시대에 들어서 그 어느 때보다도 활기에 차있고, 4.3추념일 지정, 지방선거 등등 굵직한 일들이 기다리고 있다. 물론 적응해야할 부분도 많고 배워야할 것들이 태산 같지만 마법 같은 제주도에서 제주만의 것들을 올곧게 지키는 일들(특히 제주바다 수중취재 등)을 취재하고 싶다. 제주에서 초보 카메라기자가 점점 영글어 알찬 열매를 맺는 모습을 기대해주시길!


  1. No Image

    일본러브호텔

    일본 러브호텔을 돌아보고 ( 2000년 10월 ) -------------------------------------------------------------------------------- KBS 영상 취재부 유민철 기자 지금 고양시에서는 러브호텔 때문에 난리가 났습니다. 시에서는 화들짝 놀라 이미 내 준 허가를 ...
    Date2003.02.24 Views9029
    Read More
  2. No Image

    아파트 촬영허가 받으셨어요?

    현장 속에서 현장1- 경기도 파주에 있는 한 유명업체에서 지은 아파트의 처마가 무너졌다는 얘기를 듣고서 현장을 찾았다. 사고가 난 H아파트는 2년 전에 입주를 시작한 새 아파트였다. 사고가 난 처마는 가로 5 미터, 세로 1 미터, 깊이 1미터이고 총무게가 ...
    Date2006.05.16 Views9026
    Read More
  3. No Image

    즐거운 장례식

    KBS 영상 취재부 최연송 기자 ( http://www.9ood.com ) 즐겁고 기쁜 장례식에 가본 적이 있으신가요? 오늘 제가 갔다 왔습니다. 다름아닌 故 버다 홀트여사의 장례식이었습니다. 남편 해리 홀트와 함께 한 평생을 한국의 고아와 장애인들을 위해 헌신하다 가신...
    Date2003.02.24 Views8997
    Read More
  4. 잠 못 드는 취재 288시간

    수습 취재기자 동기들과 함께 서울지역 경찰서로 투입된 지 3일차, 나는 강남라인 배치 후 이틀이 지난 시점이었다. 두 시간마다 라인 선배에게 특이사항과 경찰서를 돌며 알아낸 정보를 보고한다. 혼자서 ‘형님’이라 불리는 취재원 경찰들과 부딪치며 하루 1...
    Date2014.03.21 Views8905
    Read More
  5. 북극 도전 촬영기

    <북극 도전 촬영기> “성공할 확률 50%, 실패할 확률도 50%” 2005년 박스그랜드슬램 북극원정대는 캐나다의 최북단 이누이트 마을 레졸루트에 베이스캠프를 설치하고 출발에 앞서 마지막 장비 점검과 식량 그리고 여러 가지 기타 품목들을 점검하며 출발을 기...
    Date2005.07.11 Views8779
    Read More
  6. 초보 카메라기자의 제주 적응기

    서울 촌놈 제주로 이직하다 나는 작년에 처음으로 제주 땅을 밟았다. 여행으로라도 한번쯤 다녀왔을 법도 한데 서른이 넘도록 기회가 닿지 않았다. ‘제주도 한번 못 가봤다’는 말에 ‘서울 촌놈’이라며 친구들로부터 핀잔을 듣기 일쑤였다. 제주에 정착하리라...
    Date2014.03.21 Views8729
    Read More
  7. No Image

    인도 홍등가의 작은 반란

    인도 캘커타의 ‘소나가치’라는 홍등가의 이야기를 다룬 작품 인도 홍등가의 작은 반란 도 규 만 | (에센스21 PD) ‘인도 홍등가의 작은 반란’은 도규만 PD가 모 일간지의 외신란에 난 기사를 보고 기획했다. 촬영장소는 소나가치였는데 이곳은 한국의 미아리, ...
    Date2003.07.08 Views8726
    Read More
  8. No Image

    MBC 태그의 뻘쭘함.

    마이크 스폰지 부분에 로고를 붙인 이후, 인터뷰이 사이즈 잡기가 곤란하네요. 타사 마이크 로고도 다 나오게 잡자니 사이즈가 넓고, 엠 로고 안나오게 잡자니 너무 클로즈업이고. 중간 사이즈로 잡으면 엠 로고만 나오고... -_-; 다같이 이기회에 스폰지에 자...
    Date2006.08.25 Views8711
    Read More
  9. 이산가족 상봉취재기 - 60년만에 허락된 만남

    11년 만이다. 다시 금강산을 다녀올 기회를 얻었다. 대학교 신입생이던 2003년, 우연치 않은 기회로 금강산을 다녀 올 수 있었다. 금강산 관광이 중단 되고 경색되는 남북관계 속에서 언제 한번 다시 금강산을 가보나 했다. 그런데 11년 만에 기회는 찾아왔다...
    Date2014.03.20 Views8678
    Read More
  10. 소치 동계올림픽 취재기 - 온몸으로 즐기던 축제, 그리고 옥의 티

    처음 취재해 본 종합대회, 22회 소치 동계 올림픽은 내게 ‘함께 하는 것’으로 다가왔다. 병풍처럼 펼쳐진 설산을 배경으로 한 야자수 무리. 우선 그게 첫인상이다. 대회기간 중 종종 추웠던 날도 있었지만, 해상클러스터가 있는 아들러 지역의 날씨 대부분은 ...
    Date2014.03.20 Views8635
    Read More
  11. No Image

    해파리의 침공 제작기

    해파리의 침공 제작기 '해파리의 침공' 그것은 촬영기자인 나에게 대상이라는 영광을 안겨준 작품이었다. 하지만 말못할 문제점과 아쉬움이 다수 남는 작품이기도 하다. 처음 취재기자와 프로그램에 대해 논의를 하다 보니 대부분의 촬영스케줄이 수중촬영이...
    Date2004.02.25 Views8611
    Read More
  12. 세월호 침몰사고 안산 취재후기

    세월호 침몰사고 안산 취재후기 먼저 이번 세월호 침몰사고로 희생당한 고인들과 유족들에게 삼가 조의를 표합니다. 4월 16일 오전, 평상시와 똑같이 수원지국 사무실로 출근을 해서 오늘의 촬영 일정을 위해 전화를 하고 있는데, 9시가 조금 넘은 시간 갑자기...
    Date2014.05.21 Views8567
    Read More
  13. No Image

    해외 출장시 현지에있는 Agency를 활용하세요

    안녕하세요 AP Television서울지국 문승재 입니다. SBS에서 태국 구테타 취재 하신 기자의 글을 읽고 한가지 도움이 될까 해서 글을 씁니다. 저도 이곳 저곳 출장을 다녀 보았지만 항상 공항에서 출발 전에는 긴장하는 마음을 갖습니다. 한국에서 일하는 것이 ...
    Date2006.10.30 Views8478
    Read More
  14. 생방송으로 전해진 우리의 땅 독도

    “생방송으로 전해진 우리의 땅 독도” 캡 : “태현아, 이번 주에 특별한 일 있냐?” 태현 : “아니요.” 캡 : “그래? 그럼, 독도 구경 다녀와라.” 태현 : “네, 알겠습니다.” 캡과 이 짧은 대화 후, 일본 문부과학성이 중학교 교과서에 자국영토로 명시함으로 인해 ...
    Date2008.08.30 Views8457
    Read More
  15. 1인 5역이 아니면 안 되는 곳 울릉도!

    제목 없음 1인 5역이 아니면 안 되는 곳 울릉도! KBS 울릉지국 방송기술 직원의 태풍 나비 수해 취재기 작년 12월1일 KBS 울릉중계소에 오면서 나름대로 계획이 있었다 프로그램 하나 만들어 보겠다고 기획 제작 서까지 만든 것이다. 그러나 막상 울릉도에 와...
    Date2005.10.12 Views8453
    Read More
  16. 세월호 침몰 사고가 언론에 준 숙제

    세월호 침몰 사고가 언론에 준 숙제.. “기자들이랑 얘기해봤자 말도 안 통해!” 실종자 가족들이 거세게 항의를 하고 갔다. 뉴스 보도 때문이다. 난 정신이 번쩍 들었고, 이곳이 어딘지 다시금 되새겼다. 실종자 가족의 애끓는 외침이 메아리치는 곳, 진도 팽목...
    Date2014.05.21 Views8366
    Read More
  17. 공정 보도에 대해 깊이 생각해보게 된 좋은 경험

    제목 없음 “상상 이상의 취재 거부와 방해” 공정보도에 대해 깊이 생각해보게 된 좋은 경험 5월3일, 처음으로 촛불집회 취재를 나갔다. 아직은 야간 취재에 익숙하지 않을 때라 많이 긴장하고 있었다. 당시에 촛불집회 취재가 어려웠던 이유는 야간 취재인데...
    Date2008.08.22 Views8353
    Read More
  18. No Image

    다시 경험하고 싶지 않은 참사 - 이천 물류 창고 화재

    <이천화재 취재기 Ⅰ> 다시 경험하고 싶지 않은 참사 이천 물류창고 화재 ‘이천에 있는 물류창고 화재. 10여명 부상 30여명 대피’ 무조건 이천으로 출발하라는 데스크의 지시와 함께 내가 들은 정보는 이게 전부였다. 화재가 발생한지 이미 수시간이 흘렀고 서...
    Date2008.02.18 Views8338
    Read More
  19. 마우나리조트 취재기 - 대형참사 속 배운 소명의식

    2월 17일, 그 날도 평소와 다름없이 일을 마치고 퇴근했다. 지난주에 울산에는 많은 눈이 내렸다. 샌드위치 패널로 만든 공장은 예상치 못한 눈의 무게를 못 이기고 도미노처럼 무너졌다. 안타깝게도 사상자가 발생했다. 그렇게 바쁘게 1주일을 보내고 휴식을...
    Date2014.03.20 Views8326
    Read More
  20. No Image

    사랑이 담긴영상

    아래 내용은 문화방송 홈페이지 뉴스인뉴스에서 발췌한것입니다. 사랑이 담긴 영상 정연철 카메라 수습기자 mpeople@imbc.com 영상 매체의 절대적인 힘을 느끼면서 살아가고 있는 지금, 영상의 중요함을 다시 말한다는 것은 번거로운 일입니다. 일례로 TV에 나...
    Date2003.02.24 Views8286
    Read More
  21. 그리고 우리는 바다로 갔다

    그리고 우리는 바다로 갔다 - 독도를 다녀와서 - 독도로 가는 길은 예상외로 험했다. 동해의 묵호항이나 경북 포항에서 배를 타고 울릉도에 들른 다음 거기서 다시 세 시간 뱃길이다. 기상도 종잡을 수 없는데다 일반 항구의 그것과는 비교할 수 없는 작은 접...
    Date2008.08.30 Views8238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18 Next
/ 18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