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이정현 선거유세 06.jpg









전국 15개 지역에서 치러진 7.30 국회의원 재보궐선거 개표 결과 가운데 최대이변은 
역시 이정현 새누리당 의원으로 지목된다고 볼 수 있을 것입니다.

'박(朴)의 남자'로 불리는 이정현 의원은 이번 선거에서 '친노'로 분류되는 서갑원 새정치민주연합 후보를 무려 1만 1204표의 차이로 여유있게 당선됐고,전남에서 새누리당의 간판을 달고 당선됐다는 것은 정치사적으로도 엄청난 의미를 부여한다고 봅니다.

이정현 의원-6만 815표(49.4%) / 서갑원 후보-4만9611표(40.3%)
9.1%p 차로 '접전' 또는 '박빙우세'가 될 것이라는 세간의 예상을 뒤집은 7.30 국회의원 재보궐선거

카메라를 통해 본 이정현 의원의 선거유세는 누가 봐도 남달랐습니다.
이번 선거 기간 동안 호남의 특수성 때문인지 당의 지원유세를 일체 배제하고 
오로지 홀로 뛰었던 이정현 의원은 중고 자전거를 타고 다니며 플라스틱 확성기로 
어디서든 즉석연설을 하며 2주간의 선거운동을 펼쳤었고,
자신을 일컬어 '곡성 목사동 촌놈, 담터댁 큰 아들'이라며 시골 사람들에게 친근감을 표시했었습니다.
다소 불쌍해 보이는 형색과 투박한 전라도 사투리로 울먹이며 연설하는 장면에서는
정에 약한 전라도 사람들의 표심을 움직이기도 했던 것 같습니다.

그렇다고 모든 사람들이 좋은 시선으로만 본 것만은 아니었습니다.
초반에는 사람들에게 악수를 청하면 대부분이 피하고, 뿌리치고, 이야기를 들어주려고도 하지 않았습니다.
본인 역시 처음 이정현 의원 모습을 보았을 땐 선거 전략적 컨셉, 카메라에 담기 위한 보여주기식 연출이라고만 생각했었습니다.
하지만 시간이 지날수록 시종일관 처음과 같은 모습으로 마지막까지 유세하는 모습을 보면서 유권자들의 마음이 서서히 움직이고 있다는 것을 알았습니다.
선거 전략이든 뭐든 오로지 '지역발전론'에 대한 공약중심을 어필한 이정현 의원의 모습에 거부감을 가지고 있는 지역사람들도 차츰 손을 잡아주기 시작했고, 먼저 다가와 음료수를 건네주며 힘내라는 사람들도 있었습니다.
마지막 야간 유세 촬영을 할 때에는 이정현 의원은 유권자들이 싫어할지 모르니 악수하는 모습을 촬영해도 되는지 조심스레 물어보고 촬영을 할 정도로 시민들의 중심에서 생각하고 행동했었습니다.

그리고 이러한 이정현 의원을 유권자들, 특히 순천의 유권자들은 초반의 경계심을 풀고 
이정현 의원의 마음을 알아주는 시점이 있었습니다.
항상 열심히 하는 모습이 보기 좋았고, 
약속을 잡으면 바쁜 일정 속에서도 약속시간을 준수하려고 하는 모습이 눈에 띄었습니다.

흔히들 호남을 민주당의 표밭이라고 하더라도 순천 지역은 현 시장을 비롯 
전 국회의원을 보면 현 기득권 새력에 야성이 강한 곳이라고 표현이 맞을지 모르겠습니다.
무조건적인 당의 선택보다는 인물중심의 투표성향이 짙은 지역, 
타지역에 비해 정치의식이 앞선 지역이라고 생각합니다.

특히, 이정현 의원은 선거기간 동안 '예산폭탄'발언으로 지지부진한 현안사업을 풀겠다고 공약했던 모습.
얼마나 일을 잘 할지는 검증되지는 않았지만, 
그는 "당선시켜서 일을 잘못하면 1년 8개월 후 바꾸면 되지 않느냐"고 말하며 "딱 한 번만"을 외친 것도 보궐선거라는 특성을 감안한 유권자들에게는 손해가 아니라고 생각했을 것입니다.
그리고 이러한 앞선 정치의식을 통해 정치적 지역성향은 허물어 졌습니다.

카메라를 통해 본 이정현 의원을 보면서 정당, 인물, 지역의 특성을 모두 바라볼 수 있었습니다.
이제 대한민국의 정치사에서 오랜 병패로 여겨져 왔던 지역구도의 벽은 이정현 의원의 인물론을 통해 작은 구멍이 생겼습니다.
이 작은 구멍을 통해 영·호남 정치사에 벽이 허물어 질수 있을 것이고, 다시 막힐 수도 있을 것입니다.

이정현 새누리당의 의원의 잔여 임기는 1년 8개월 남짓. 
이정현 의원의 당선이 순천·곡성지역을 넘어 영·호남 나아가 대한민국의 정계에 
어떠한 발자취를 남기게 될 지는 감히 엄단할 순 없지만, 
20여 년 이상 지속되어온 지역구도의 벽이 허물어진 역사적인 모습을 촬영 했던 그 순간은 
잊히지 않을 것입니다.


KBC / 장창건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조회 수
1인 5역이 아니면 안 되는 곳 울릉도! 2005.10.12 8453
2007년 10월, 2차 남북정상회담 취재기 file 2018.04.26 1302
2008년 4월, 대한민국 최초의 우주인 탄생하다! 2008.01.10 6949
2009 대학수학능력시험을 취재하고``` file 2009.01.15 10594
2010 남아공 월드컵, 한국 축구 가능성 보여줘 file 2010.07.20 10557
2018 남북정상회담 평양 취재기 file 2018.12.19 450
2023 특집 다큐멘터리 [우리도 광주처럼] file 2023.12.18 139
2030 부산 세계박람회 유치발표 취재기 file 2023.12.21 230
30년 만에 우리나라에서 열린 올림픽 ‘평창 21박 22일의 취재기’ file 2018.04.26 1272
39년 만에 광주를 찾은 전두환 file 2019.05.08 389
3D 시대는 오는가? CES쇼를 통해본 3D시대 file 2010.01.13 11316
4.11 총선 취재기 - 국회 4진 2012.04.28 4131
4.11 총선 취재기- 12월 대선, 전쟁은 끝나지 않았다 file 2012.05.04 10724
5.12 중국 쓰촨성 대지진 참사 - '8'의 저주 2008.07.04 8005
50일을 넘긴 역대 최장기 장마 file 2020.11.18 428
6.25전쟁 프랑스 종군기자 앙리 드 튀렌 인터뷰 file 2010.07.15 10622
64년만의 폭우, 그 피해 현장 스케치 2005.09.09 7267
6자 회담 취재, 이렇게 했습니다. "mpeg2 파일로 송출" 2008.09.01 9117
71세 김상일씨의 엄마찾기 2003.02.24 7797
8일간의 기록 통합진보당 이석기 의원 사태 2013.10.07 3886
<7.30 재보궐선거> 20년 이상 지속되어온 지역구도의 벽 무너져 file 2014.08.13 7628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18 Next
/ 18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