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이정현 선거유세 06.jpg









전국 15개 지역에서 치러진 7.30 국회의원 재보궐선거 개표 결과 가운데 최대이변은 
역시 이정현 새누리당 의원으로 지목된다고 볼 수 있을 것입니다.

'박(朴)의 남자'로 불리는 이정현 의원은 이번 선거에서 '친노'로 분류되는 서갑원 새정치민주연합 후보를 무려 1만 1204표의 차이로 여유있게 당선됐고,전남에서 새누리당의 간판을 달고 당선됐다는 것은 정치사적으로도 엄청난 의미를 부여한다고 봅니다.

이정현 의원-6만 815표(49.4%) / 서갑원 후보-4만9611표(40.3%)
9.1%p 차로 '접전' 또는 '박빙우세'가 될 것이라는 세간의 예상을 뒤집은 7.30 국회의원 재보궐선거

카메라를 통해 본 이정현 의원의 선거유세는 누가 봐도 남달랐습니다.
이번 선거 기간 동안 호남의 특수성 때문인지 당의 지원유세를 일체 배제하고 
오로지 홀로 뛰었던 이정현 의원은 중고 자전거를 타고 다니며 플라스틱 확성기로 
어디서든 즉석연설을 하며 2주간의 선거운동을 펼쳤었고,
자신을 일컬어 '곡성 목사동 촌놈, 담터댁 큰 아들'이라며 시골 사람들에게 친근감을 표시했었습니다.
다소 불쌍해 보이는 형색과 투박한 전라도 사투리로 울먹이며 연설하는 장면에서는
정에 약한 전라도 사람들의 표심을 움직이기도 했던 것 같습니다.

그렇다고 모든 사람들이 좋은 시선으로만 본 것만은 아니었습니다.
초반에는 사람들에게 악수를 청하면 대부분이 피하고, 뿌리치고, 이야기를 들어주려고도 하지 않았습니다.
본인 역시 처음 이정현 의원 모습을 보았을 땐 선거 전략적 컨셉, 카메라에 담기 위한 보여주기식 연출이라고만 생각했었습니다.
하지만 시간이 지날수록 시종일관 처음과 같은 모습으로 마지막까지 유세하는 모습을 보면서 유권자들의 마음이 서서히 움직이고 있다는 것을 알았습니다.
선거 전략이든 뭐든 오로지 '지역발전론'에 대한 공약중심을 어필한 이정현 의원의 모습에 거부감을 가지고 있는 지역사람들도 차츰 손을 잡아주기 시작했고, 먼저 다가와 음료수를 건네주며 힘내라는 사람들도 있었습니다.
마지막 야간 유세 촬영을 할 때에는 이정현 의원은 유권자들이 싫어할지 모르니 악수하는 모습을 촬영해도 되는지 조심스레 물어보고 촬영을 할 정도로 시민들의 중심에서 생각하고 행동했었습니다.

그리고 이러한 이정현 의원을 유권자들, 특히 순천의 유권자들은 초반의 경계심을 풀고 
이정현 의원의 마음을 알아주는 시점이 있었습니다.
항상 열심히 하는 모습이 보기 좋았고, 
약속을 잡으면 바쁜 일정 속에서도 약속시간을 준수하려고 하는 모습이 눈에 띄었습니다.

흔히들 호남을 민주당의 표밭이라고 하더라도 순천 지역은 현 시장을 비롯 
전 국회의원을 보면 현 기득권 새력에 야성이 강한 곳이라고 표현이 맞을지 모르겠습니다.
무조건적인 당의 선택보다는 인물중심의 투표성향이 짙은 지역, 
타지역에 비해 정치의식이 앞선 지역이라고 생각합니다.

특히, 이정현 의원은 선거기간 동안 '예산폭탄'발언으로 지지부진한 현안사업을 풀겠다고 공약했던 모습.
얼마나 일을 잘 할지는 검증되지는 않았지만, 
그는 "당선시켜서 일을 잘못하면 1년 8개월 후 바꾸면 되지 않느냐"고 말하며 "딱 한 번만"을 외친 것도 보궐선거라는 특성을 감안한 유권자들에게는 손해가 아니라고 생각했을 것입니다.
그리고 이러한 앞선 정치의식을 통해 정치적 지역성향은 허물어 졌습니다.

카메라를 통해 본 이정현 의원을 보면서 정당, 인물, 지역의 특성을 모두 바라볼 수 있었습니다.
이제 대한민국의 정치사에서 오랜 병패로 여겨져 왔던 지역구도의 벽은 이정현 의원의 인물론을 통해 작은 구멍이 생겼습니다.
이 작은 구멍을 통해 영·호남 정치사에 벽이 허물어 질수 있을 것이고, 다시 막힐 수도 있을 것입니다.

이정현 새누리당의 의원의 잔여 임기는 1년 8개월 남짓. 
이정현 의원의 당선이 순천·곡성지역을 넘어 영·호남 나아가 대한민국의 정계에 
어떠한 발자취를 남기게 될 지는 감히 엄단할 순 없지만, 
20여 년 이상 지속되어온 지역구도의 벽이 허물어진 역사적인 모습을 촬영 했던 그 순간은 
잊히지 않을 것입니다.


KBC / 장창건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조회 수
<10.29참사 취재영상기자 간담회> “참사 당시로 돌아간다면 다시 현장취재 할 수 있을지 의문”…현장기자들, 트라우마 ‘심각’ file 2022.12.28 464
[카타르 월드컵 카타르 현장 취재기] 월드컵 역사상 다신 없을 카타르 월드컵 file 2022.12.28 263
[카타르 월드컵 거리응원 현장 취재기] 뉴스의 중심에 선 ‘사람들’을 위해 그들과 등지고 서다. file 2022.12.28 197
언론인에 대한 정교하고 다양해진 공격, 직업적 연대로 극복해야 file 2022.11.01 179
“속도보다는 정확하고 신뢰도 높은 다면적 보도해야… 한·일 저널리즘, 세계적 영향력 갖추길” file 2022.11.01 294
“한국 언론인으로서 힌츠페터 정신 인정받아 감사 여권법 개정 통해, 전쟁터, 재난국가에서 한국 언론인 취재 권한 보장되길” file 2022.11.01 325
“첫 취재를 함께 했던 언론인 동료이자 친구인 故쉬린 아부 아클레 기자의 죽음 영상으로 담아낸 고통 …팔레스타인의 진실 계속 취재할 것” file 2022.11.01 211
[현장에서] 여전히, 오늘도, ENG. 다시 생각하는 ENG카메라의 미래 file 2022.08.31 1840
[현장에서] 카메라와 아이디어로 담아낸 현실의 부당함과 저항, 인간의 투쟁이 세상의 조명을 받도록 file 2022.07.01 270
[현장에서] “독재와 권력에 맞설 우리의 무기는 손에 든 카메라와 마이크입니다.” file 2022.07.01 243
[러시아, 우크라이나 전쟁 폴란드 국경지역 취재기] 전쟁 속에서 꿈꾼 자유와 평화 (2022.2.17.~3.13) file 2022.05.03 403
[현장에서] 역대 최악의 울진 산불 현장을 취재하며 file 2022.05.03 1089
방역올림픽 속 무색해진 ‘꿈의 무대’ file 2022.03.08 382
내가 있어야할 자리를 깨닫게 한 나의 첫 올림픽취재 file 2022.03.08 356
오늘을 역사로 기록하는’ 영상기자들이 뽑은 2021년 10대뉴스 file 2022.01.07 467
코로나 시대의 올림픽 취재 “재난과 스포츠의 경계에서” file 2021.09.24 805
방역 아래 초대 받은 불청객 file 2021.09.24 850
Olympics, Enjoy the Moment! file 2021.09.24 777
코로나19 시대의 청와대 영상기자단 미국 순방기 file 2021.07.06 376
작년과 달리 봄의 생기가 돌지만, 사람들의 삶은 아직 file 2021.05.06 472
멈춰있는 시간의 현장 file 2021.03.11 437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18 Next
/ 18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