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빅토리녹스 작지만 커다란 꿈을 만드는 공장“

1437.jpg




스위스는 국토의 대부분이 알프스산맥의 능선에 걸쳐있고 고원과 깊은 계곡, 호수가 많다. 이 때문에 세계적인 풍광을 자랑하는 관광지가 발달되었으며 세계 최고의 관광산업국가로 평가받는다. 이렇게 뛰어난 풍광을 자랑하는 곳이다 보니 누구나 죽기 전에 한번은 가보고 싶은 나라로 스위스를 꼽기도 한다. 

아름다운 풍광과는 달리 전통적으로 시계, 공구 등 정밀기계 산업이 발달되었다. 
어린 시절 주말마다 넋을 잃고 보았던 TV 시리즈 영화였던 맥가이버, 위기의 순간,   요긴하게 사용했던 칼이 있었다. 여러 가지 도구들이 결합되어져 있던 맥가이버칼, 바로 스위스 아미나이프다. 


스위스 아미나이프의 대표적인 제조회사로 빅토리녹스가 있다. 
취재차 스위스 빅토리녹스를 찾아갔다. 간단히 빅토리녹스의 역사를 더듬자면,
 빅토리녹스는 창업주 칼 엘스너(Karl Elsener)가 1884년 24세의 나이에 스위스 슈비츠에 회사를 설립했다. 초기에 주방용 칼, 면도칼, 외과 수술용 칼 등을 만들던 그는 1891년에 독일제 졸링겐 칼만을 사용하던 스위스 군대에 칼을 납품하기 시작했다. 1897년 6월 12일에 칼, 캔 오프너, 스크루 드라이버, 코르크스크루 등으로 구성된 '스위스 오피서스(Swiss Officer's)'와 '스포츠 나이프(Sports Knife)'로 특허를 받았다. 창업주 엘스너의 어머니 빅토리아가 사망하자 회사명과 브랜드명을 빅토리아(Victoria)로 변경했다. 1921년에 칼 재료로 스테인리스 스틸을 사용하기 시작하면서 회사명과 브랜드명을 빅토리아와 이녹스(inox:프랑스어로 스테인리스 스틸을 뜻하는 아시에 이녹시다블'acier inoxydable'의 약자)를 합하여 만든 빅토리녹스(Victorinox)로 변경했다. 


취재진이 방문한 빅토리녹스는 생각과는 달리 규모가 그리 큰 편은 아니었다. 작지만 세계적인 회사가 된 이유는 거창한 게 아니었다. 바로 기본에 충실하고 기술을 인정하는 스위스 교육의 힘에 그 원천이 있었다. 이 회사에서는 매년 10여명의 고등학생을 훈련생으로 선발해 오랜 경력을 가진 이 회사의 마이스터가 훈련생들을 가장 기초적 기술부터 가르쳐 실력 있는 기술자로 양성하고 있다. 훈련생들은 취업과 장례에 대한 걱정이 없어 보였다. 인터뷰를 했던 마이스터 토니 블라저씨의 아들 역시 이 회사에서 전기기술자로 근무를 하고 있었다.

스위스 부모들은 자녀가 기술을 배우는 것을 자랑스러워한다. 실제로 세계적인 스위스의 기업에는 기술자 출신 최고 경영자도 많이 있다. 장래에 쓰이지도 않을 공부를 오로지 대학입시 때문에 해야 하는 대한민국의 청소년들의 모습이 떠올랐다. 실제로 만나본 훈련생은 대학을 가질 않고 왜 기술을 배우냐는 질문을 이해 할 수 없다는 반응을 보였다. 그들에게 대학은 기술자로서 본인의 실력향상을 위하여 가는 곳이지 우리처럼 학벌을 위해 가는 곳이 아니었다. 실력 있는 기술자의 가치가 인정받기에 뛰어난 품질의 고부가가치 제품이 만들어 지는 것은 당연한 결과이다. 작은 나라 스위스가 손꼽히는 세계적인 부자나라가 된 것은 이 같은 사회적 분위기가 원동력이다. 노사의 마음도 다르지 않았다. 


9.11테러이후 전 세계 공항의 면세점에서 빅토리녹스 칼의 판매가 중단이 되면서 회사의 매출액이 30%급감하는 위기가 닥쳐 생산라인의 감축으로 인한 인력 구조조정이 필요하던 시기에도 해고가 아닌 주변 회사에 그들을 재취업시키고 그 급여를 빅토리녹스가 주웠고 회사의 경영이 정상화 되었을 때 직원들은 단 한명도 빠짐없이 돌아왔다고 한다. 직원들의 애사심과 자부심은 엄청났다. 이런 마음을 보여주듯 슈비츠의 빅토리녹스 앞엔 오너일가에 대해 직원들 스스로 세운 감사의 탑도 자리하고 있었다. 경영위기가 찾아오면 인력부터 조정하고 해고시키고 비정규직을 양산하는  우리나라의 기업 문화와는 너무 달랐다. 

직원을 존중하는 회사의 가치관이 오늘날 회사를 최고의 기업으로 만들었다. 우리사회에서 추구하는 과장된 스펙은 스위스의 겸손한 노력과 인간존중의 가치 앞에선 한낮 허황되고 부질없다는 것을 느낄 수 있었다. 독일과 스위스를 모범적인 국가로 바라보며 롤 모델을 삼고 있는데 현 정부에서 가장 크게 비중을 두는 창조경제와 청년실업의 해결법은 거창한 곳에 있는 게 아니라 노동자의 노동의 가치와 그들의 존엄성을 인정해주는 것부터 시작되는 게 맞다고 본다. 


정현석 /  KBS 보도영상국 특집부 

  1. No Image

    양양 산불 현장에서

    가칭 “눈물 젖은 이재민”이란 아이템을 받고 양양 산불 현장을 가던 취재팀은 라디오를 통해 산불이 거의 진화되었다는 방송을 들으면서 반신반의했다. 동해안 산불은 오전에 완전 진화가 되지 않으면 오후에는 거센 강풍을 타고 더욱 기승을 부리는 과거의 ...
    Date2005.05.11 Views7493
    Read More
  2. No Image

    남극취재기

    남극 취재기1 - '출발 : 서울에서 산티아고까지' (1999년 11월 - 12월) ------------------------------------------------------------------------------- 밀레니엄 특집을 위한 남극 취재 출장 명령이 떨어졌다. 제목은 '남극을 선점하라!' 남극? 펭귄이 노...
    Date2003.02.24 Views7501
    Read More
  3. <진도 팽목항 취재후기>치유의 밀물, 우리의 역할이다

    세월호 참사, 비상식적인 사고가 대한민국을 뒤흔들었다. 그리고 많은 것을 잃었다. 300여명에 이르는 소중한 생명을 잃었다. 허술한 안전시스템에 국가는 국민의 신뢰를 잃었다. 지지부진한 세월호 법안처리에 국민은 할 말을 잃었다. 그리고 우리는 ‘언론의...
    Date2014.08.13 Views7504
    Read More
  4. No Image

    남극취재기2

    칠레는 12월 12일 대통령 선거를 앞두고 있었다. 현 대통령은 프레이. 후보는 좌파계열의 리까르도 라고스와 우파계열의 호와낀 라빈 두명이었다. 주선생으로부터 들으니 서민층에서는 라빈을, 중산층 이상에서는 라고스를 지지한다고 했다. 우리가 찾은 곳은 ...
    Date2003.02.24 Views7516
    Read More
  5. No Image

    대만 온라인 송출

    대만 온라인 송출기 지난 7월, 대만 출장이 급하게 결정되었다. 한국 국회의원들이 대만에서 부동산 사기 피해를 당한 의혹이 있다는 정보가 입수되었는데 서둘러 현지에 가서 취재한 내용을 서울로 송출해야하는 상황이었다. 대만은 나름대로 위성 송출 시스...
    Date2005.09.09 Views7527
    Read More
  6. No Image

    태국 푸켓 온라인 송출

    태국 푸켓 온라인 송출기 ENG 카메라를 가지고 해외 출장을 갈 때와 달리 6mm 캠코더의 장점은 까르네 등의 서류절차가 간소하거나 필요 없고, 무거운 삼각대와 배터리를 지참할 필요가 없다는 것이다. 기자는 올 1월초 지진 해일 피해가 났었던 태국 푸켓에 ...
    Date2005.09.09 Views7538
    Read More
  7. No Image

    백두산취재기

    한국방송 영상취재부 이상구 출발부터 순조롭지는 못했다. 김포공항에서 보딩 티켓을 받고 화물을 실으면서 우리는 항공사 직원들의 어이없어 하는 표정을 애써 외면하려 했다. 승객은 고작해야 일곱 명인데 산더미 만한 짐이 32개나 되었던 것이다. 취재장비...
    Date2003.02.24 Views7551
    Read More
  8. <스위스취재기> "빅토리녹스, 작지만 커다란 꿈을 만드는 공장"

    “빅토리녹스 작지만 커다란 꿈을 만드는 공장“ 스위스는 국토의 대부분이 알프스산맥의 능선에 걸쳐있고 고원과 깊은 계곡, 호수가 많다. 이 때문에 세계적인 풍광을 자랑하는 관광지가 발달되었으며 세계 최고의 관광산업국가로 평가받는다. 이렇게 뛰어난 풍...
    Date2014.11.18 Views7552
    Read More
  9. No Image

    Re:MBC 태그의 뻘쭘함.

    모양은 괜찮은것 같은데 가격이 개당 10만원이 넘는거로 알고 있는데 맞습니까? 스폰지가 너무 비싸지 않는가요? 외제라서 그런가.....
    Date2006.09.05 Views7554
    Read More
  10. 수재민, 여러분 힘내세요!

    <강원지역 폭우, 취재를 마치고> 수재민 여러분, 힘내세요! 모처럼 쉬는 날이었던 지난 15일. 큰 비가 온다는 예보는 있었지만, 강원도는 대부분 8-9월 태풍 외에는 큰 비 피해가 없었던 터라 “상황 대기만 하면 되겠지”라는 속편한 생각으로 주말을 맞았다. ...
    Date2006.08.11 Views7558
    Read More
  11. 이념의 벽을 넘어 평화의 메시지를 전달한다

    뉴욕 필하모니 오케스트라 평양 공연를 취재하고 “이념의 벽을 넘어 평화의 메시지를 전달한다” “따르릉” “평양 좀 다녀와라.” ...“네...” 말끝을 흐리며 전화를 끊는 순간 3년 전 평양의 기억이 되살아났다. 설렘과 약간의 긴장, 같은 민족 간의 동질성과 이...
    Date2008.04.28 Views7572
    Read More
  12. 평양, 짜 맞추기 힘든 큐빅같은 곳

    <6.15 취재기> 평양, 짜 맞추기 힘든 큐빅같은 곳 평양 순안공항의 공기는 뜨겁게 아지랑이치고 있었다. 날씨가 그랬고, 내 가슴이 그러했다. 세 번의 도전 끝에 찾아온 북녘 땅의 중심! 이제 누구나 쉽게 찾아가 볼 수 있는 금강산에서 느꼈던 공기와는 사뭇 ...
    Date2007.07.19 Views7575
    Read More
  13. <7.30 재보궐선거> 20년 이상 지속되어온 지역구도의 벽 무너져

    전국 15개 지역에서 치러진 7.30 국회의원 재보궐선거 개표 결과 가운데 최대이변은 역시 이정현 새누리당 의원으로 지목된다고 볼 수 있을 것입니다. '박(朴)의 남자'로 불리는 이정현 의원은 이번 선거에서 '친노'로 분류되는 서갑원 새정치민주연합 후보를...
    Date2014.08.13 Views7629
    Read More
  14. No Image

    뉴 밀레니엄 첫날. 열기구를 타고

    KBS 보도본부 영상취재부 신동곤 기자 뉴 밀레니엄 첫날. 열기구를 타고 국토를 횡단하는 남녀 중학생을 취재하게 되었다. 그동안 비행기도 타보고, 헬기도 타 보았지만 열기구라는 색다른 비행도구를 타고, 그것도 새해 첫 날을 하늘에서 맞이한다는 부푼 가...
    Date2003.02.24 Views7642
    Read More
  15. 이산가족 상봉 취재... 어떻게 해야 하나?

    이산가족 상봉 취재... 어떻게 해야 하나? 2006년 3월 23일. 제 13차 남북 이산가족 상봉행사 공동취재단은 결국 철수 결정을 내려야만 했다. 공동취재단의 이러한 결정은 50여년 만에 혈육의 정을 나누는 뜻 깊은 이산가족 행사를 국민들에게 상세히 취재 및 ...
    Date2006.04.18 Views7659
    Read More
  16. [특별기획-브라질 월드컵] 응원석 태극기가 펼쳐질 때의 뭉클함을 잊을 수 없어

    브라질은 멀다 지구라는 작은 별에서 한국 사람이 비행기를 타고 갈 수 있는 곳 중에서 가장 먼 곳은 어디일까요? 바로 브라질이 아닐까합니다. 서울에서 땅을 끝까지 파면 반대쪽에 나오는 나라가 브라질이란 우스갯소리도 있으니까요. 시차도 정확히 12시간...
    Date2014.08.13 Views7697
    Read More
  17. No Image

    한 청년의사의 항변

    아래 내용은 문화방송 홈페이지 뉴스인뉴스에서 발췌한 것입니다. 한 청년의사의 항변 김 철영 (문화방송 영상취재 1부 ): zarathus@imbc.com 서울 중앙병원 내과 레지던트 4년 차 한 상택 씨. 벌써 두 달여 째, 중앙병원 내과의국이 아닌 의사협회내의 참의료...
    Date2003.02.24 Views7715
    Read More
  18. No Image

    나준영의 영상취재 뒷얘기 -

    -나준영의 영상취재 뒷애기- <1편 1996년 연예인 가짜약 판매 취재기> 1) 설마 그렇게 유명한 연예인이 그깟 가짜약을 팔까? '지금도 그때를 생각하면 웃음이 절로 나온다. 어디서 나에게 그런 용기가 나왔을까?' 정확한 날짜는 가물가물하다. 하지만 그때가 ...
    Date2003.07.02 Views7715
    Read More
  19. 평양 축전 기간 중 평양 순안 공항에서

    이 한 장의 사진 2001년 8월 15일 평양축전 기간 중 평양 순안 공항에서 이 해 민족통일대축전은 처음 남측 대표단이 공식 참가하였으나, 한 참가 교수가 만경대 방명록에 친북 성향의 글을 남겨 논란이 되었다. 공동취재단 왼쪽부터 MBC 양윤모 부장, 김종수 ...
    Date2005.09.09 Views7729
    Read More
  20. No Image

    Re:Re:MBC 태그의 뻘쭘함.

    맞습니다. 독일제로 개당 13만원~18만원 정도 합니다. 마이크 값과 비슷합니다. 국산화가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Date2006.11.14 Views7737
    Read More
  21. 숭례문의 마지막을 지키며

    <숭례문 화재 취재기 Ⅰ> 숭례문의 마지막을 지키며 우리가 하는 일, 카메라기자라는 직업은 마음이 굳센 사람이어야 잘 해낼 수 있는 것 같다. 대형 화재나 교통사고와 같은 혼란스럽고 어지러운 현장에서도, 또 사건 유가족 취재와 같은 가슴이 무너지고 눈물...
    Date2008.04.28 Views7743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6 7 8 9 10 11 12 13 14 15 ... 18 Next
/ 18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