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진정한 축제가 간절하다  
주경기장2.jpg






우리사회가 지금 축제를 축제답게 즐길 수 있는 여건인가 

  스포츠팀에 오자마자 인천 아시안게임 취재명단에 이름이 들어갔을 때 설렘이나 기대는 크지 않았다. 폐막 이후의 끔찍한 그림이 너무나 선명하게 보였기 때문에. 경기장, 시설들은 대회가 끝나면 처치곤란 대상으로 전락할 것이다. 그리고 잔뜩 끌어다쓴 대회비용에 대한 빚이 남을 것이다. 끔직하다.
  대한민국이 과연 그런 국제적 축제를 열고 즐길 만한 여유가 있는 사회인가? 시간이 없어서 돈이 없어서 집이 없어서, 결혼도 못하고 애도 못 낳는 나라가 아니었나? 고향에 계신 부모님 얼굴을 1년에 한번 보는 것도 어려운, 아들딸 데리고 놀이공원 한번 가는 게 힘든, 몸 부서져라 일해도 병만 생기고 빚만 늘어가는, 그래서 끝내 스스로 죽음을 택하는 사람 숫자가 세계적으로도 가장 많은(OECD기준) 나라가 아니었나? 상황이 이런데 아시안게임을 유치하면 ‘어머니, 여보, 아들아, 맥주 한잔 하면서 북한하고 인도 선수들이 맞붙는 축구 경기 한번 보러갑시다!’라고 말하게 될까? 아니다. 여기는 엄연히, 그럴 시간 있으면 얼른 씻고 잠이나 십 분 더 자고 싶은 사람들의 나라이다.
  대한민국은 축제를 즐길 여유가 없다. 자조적이지만 그렇다. (여담인데, 국민건강증진 대책이라면서 담뱃값을 인상한다는데 정치인들이여, 일하는 시간을 줄이고 여가시간을 늘리고 최저임금을 올려라! 노동시간과 노동조건, 여가와 임금 수준 등이 국민보건과 가장 밀접한 요인들 아닌가요? 유럽사람들, 담배 안 펴서 건강한 건가요?)

빈곤 속에 더 큰 빈곤, 2014 인천 장애인 아시안게임

  아시안게임이 시작됐을 때 그러한 자조는 사실로 입증됐다. 관중석은 몇몇 빅경기를 제외하고는 대개 텅텅 비었다. 주최측은 안 팔리는 표를 공무원 조직에 강매해야만 했다. 아니, 연금도 깎을 거라면서 왜 이런 일엔 애꿎은 공무원을 동원해? 나는 매일 두 경기 혹은 세 경기씩 맡았는데 어떤 날은 관중이 너무 없어서 취재를 마치고 남아 (피곤함을 무릅쓰고) 기꺼이 한 명의 관객이 돼야 하곤 했다. 개최국 시민으로서 민망하기도 하고 선수들에게 미안해서. 시상식은 더했다. 태권도 경기에 갔을 때, 대한민국 선수가 금메달을 따면 그나마 관중의 3분의 1정도는 시상식까지 남아 있는데 대한민국의 메달이 없는 날은 관객 없는 시상식을 거행해야 했다. 이런.
  그리고 2014 인천 장애인 아시안게임이 시작됐다. 정기휴가 때문에 대회 일부만 취재하긴 했지만, 내가 목격한 장애인아시안게임은 한마디로 빈곤 속의 더 큰 빈곤함 그 자체였다. 아시안게임은 그나마 양반이었다. 관객에게도 언론에도 장애인아시안게임은 거의 존재하지 않는 축제였다. 아시안게임 때 촬영포인트를 두고 정말 멱살잡이 직전까지 갔었던 (그 사람은 나더러 ‘아저씨 여기서 나가세요. 아저씨가 KBS든 뭐든 여기 들어올 권리는 없어요!’라고 고래고래 소리를 질렀던 사람이다) 보안담당자가 장애인아시안게임 때 보니 보안 일은 제쳐두고 관객이 되어 한쪽에서 응원전을 펼치고 있을 정도였으니! 상황이 그러니 분위기가 무척 가족적(?)이긴 했다.

삶의 여가 회복이 먼저, 축제는 그 다음에 하자고 말하고 싶다

  이번 인천 아시안게임 취재를 통해서 나는 다시금 스포츠라는 인간의 행위에서 느껴지는 희열, 육체의 사점이 주는 극적인 감동을 소멸시키는 자본주의의 기계성과 냉혈을 보았다. 너무나 가슴이 아프다. 분명 열심히 사는데 대다수 평범한 사람들은 여가도 돈도 없다. 물론 일부는 충분히 행복하다. 지나칠 정도로. 그게 오늘 우리사회 비극의 본질이다.
  우리는 정신과 영혼의 풍요로움을 위해, 행복한 삶의 회복을 위해 자본주의에 맞서야 한다. 현재를 옹호하고 미화시키는 모든 이즘과 권력, 관습, 그리고 시스템에 저항해야 한다. 좋은 사회와 나쁜 사회의 간극은 바로 거기에 있다. 소비주의와 효율성, 시장 만능의 이기주의와 차가움에 반기를 들 줄 아는 교양과 지성, 인간애가 필요하다. 충분히 싸우고 나서, 반인간과 반민주주의, 몰여가, 낮은 임금과 같은 질기고 막강한 상대와 싸워 어느 정도 성과를 만들어놓고 나서, 아시안게임 다시 한번 했으면 좋겠다. 진정한 축제를! 물론 새것 말고 새로 단장한 헌 경기장에서. 그렇지만 관중석은 꽉 채우고. 비인기 종목 경기에 몰려가서 선수들이 깜짝 놀라게. ‘이 나라는 정말 살 만한 나라구나! 부럽다!’




김정은 / KBS 보도영상국 영상취재부 

  1. 세월호 침몰 사고가 언론에 준 숙제

    세월호 침몰 사고가 언론에 준 숙제.. “기자들이랑 얘기해봤자 말도 안 통해!” 실종자 가족들이 거세게 항의를 하고 갔다. 뉴스 보도 때문이다. 난 정신이 번쩍 들었고, 이곳이 어딘지 다시금 되새겼다. 실종자 가족의 애끓는 외침이 메아리치는 곳, 진도 팽목...
    Date2014.05.21 Views8366
    Read More
  2. 세월호 침몰사고 안산 취재후기

    세월호 침몰사고 안산 취재후기 먼저 이번 세월호 침몰사고로 희생당한 고인들과 유족들에게 삼가 조의를 표합니다. 4월 16일 오전, 평상시와 똑같이 수원지국 사무실로 출근을 해서 오늘의 촬영 일정을 위해 전화를 하고 있는데, 9시가 조금 넘은 시간 갑자기...
    Date2014.05.21 Views8567
    Read More
  3. 소치 동계올림픽 취재기 - 온몸으로 즐기던 축제, 그리고 옥의 티

    처음 취재해 본 종합대회, 22회 소치 동계 올림픽은 내게 ‘함께 하는 것’으로 다가왔다. 병풍처럼 펼쳐진 설산을 배경으로 한 야자수 무리. 우선 그게 첫인상이다. 대회기간 중 종종 추웠던 날도 있었지만, 해상클러스터가 있는 아들러 지역의 날씨 대부분은 ...
    Date2014.03.20 Views8635
    Read More
  4. 쇄빙선 아라온호의 한계와 희망

    쇄빙선 아라온호의 한계와 희망 신동환/ SBS 영상취재팀 아직 활동하고 있다는 눈 덮인 활화산인 멜버른 산과 희고 긴 얼음 협곡, 대륙의 산맥들, 빙하가 지나간 거대한 자리, 조그맣게 자리하고 있는 타국의 기지들. 남극 대륙에서의 취재 마지막 날 헬기를 ...
    Date2010.04.16 Views10061
    Read More
  5. No Image

    쇼카손주쿠(松下村塾)와 아베 신조

    지난 7월 5일, 독일 본에서 열린 제39차 유네스코 세계유산위원회는 일본 메이지시대 산업혁명 시설 23곳을 세계문화유산에 등재하도록 최종 결정했다. 일본은 이 시설들이 '서양 기술을 능동적으로 받아들여 일본의 방식으로 산업화한 역사를 잘 보여주고 있...
    Date2015.09.02 Views1306
    Read More
  6. 수재민, 여러분 힘내세요!

    <강원지역 폭우, 취재를 마치고> 수재민 여러분, 힘내세요! 모처럼 쉬는 날이었던 지난 15일. 큰 비가 온다는 예보는 있었지만, 강원도는 대부분 8-9월 태풍 외에는 큰 비 피해가 없었던 터라 “상황 대기만 하면 되겠지”라는 속편한 생각으로 주말을 맞았다. ...
    Date2006.08.11 Views7558
    Read More
  7. No Image

    수해취재엔 포토라인이 없다...

    제목 없음 수해 취재엔 포토라인이 없다... 어느 날 밤 전라북도 부안군 위도에 큰 파도와 폭우가 몰아쳤다. 05시 30분 어둠이 가시지 않은 이른 아침 회사의 전화를 받고 출근한 나와 오중호 기자(취재기자)는 당장 배를 타고 위도로 들어가라는 팀장님의 명...
    Date2008.01.10 Views6830
    Read More
  8. 숭례문의 마지막을 지키며

    <숭례문 화재 취재기 Ⅰ> 숭례문의 마지막을 지키며 우리가 하는 일, 카메라기자라는 직업은 마음이 굳센 사람이어야 잘 해낼 수 있는 것 같다. 대형 화재나 교통사고와 같은 혼란스럽고 어지러운 현장에서도, 또 사건 유가족 취재와 같은 가슴이 무너지고 눈물...
    Date2008.04.28 Views7743
    Read More
  9. 쉽게 허락없는 '풍요의 여신' 안나푸르나

    나는 사실 다사다난했던 날들을 뒤로하고 산이나 바라보며 시간을 보내고 싶은 마음에 히말라야 원정을 지원했다. 하지만 등산화를 신고 오르는 두 번째 산인 안나푸르나는 나에게 그렇게 호락호락한 산이 아니었다. 네팔 히말라야 중앙부 간다크지구에 위치...
    Date2009.12.15 Views10080
    Read More
  10. No Image

    스타 없는 대표팀의 거침없는 질주

    이집트로 향하는 비행기 안에서 ‘U20 FIFA 월드컵’(20세 이하 청소년 월드컵)대표팀 선수 명단을 확인한 나는 적잖이 당황했다. 미안한 얘기지만 아는 이름이 전혀 없었기 때문이다. ‘홍명보號 스타급 선수의 부재’ , ‘죽음의 C조’(대한민국, 독일, 미국, 카...
    Date2009.11.13 Views6541
    Read More
  11. 스포츠 정신을 더럽히는 욱일기

    스포츠 정신을 더럽히는 욱일기 2019년 11월 17일 일본 도쿄돔에서 프리미어 프로 12 결승전이 열렸다. 그것도 한일전! 일본 최초의 이 돔야구장은 수용인원 4만 6천 명 규모로, 전일 슈퍼라운드 한일전에 이어 결승전이 열리는 것이었다. 당연히 매진. 시합 ...
    Date2020.01.10 Views450
    Read More
  12. 시라아 내전 취재기-이승주

    YTN순회특파원 첫 번째 Mission 완료 드디어, 순회특파원 첫 번째 Mission, 시리아내전을 취재하라는 출장명령이 떨어졌다. 취재지역은, 시리아와 국경을 맞대고 있는, 터키 ‘안타키아’ 라는 도시였다. 6월29일 유럽, 중동, 아프리카지역 순회특파원 인사명령...
    Date2012.11.02 Views11731
    Read More
  13. 시속 233Km의 허리케인, 카트리나

    시속 233Km의 허리케인 ‘카트리나’ 우리는 시속 233Km의 허리케인이 어느 정도인지 실감이 가지 않는다. - 4등급은 바람세기가 시속 131마일 ~ 155마일 (210Km ~ 249Km). 일반 주택을 심하게 파괴하거나 무너뜨리고, 나무를 뿌리째 뽑아 날려 버릴 수 있다. -...
    Date2005.10.12 Views10713
    Read More
  14. 싱가포르 북미회담 취재기

    싱가포르 북미회담 취재기 회담만큼 이슈가 된 날씨 지난 6월 12일, 정전협정 이후 65년 만에 북한과 미국의 두 정상이 만나는 역사적인 회담이 싱가포 르에서 개최됐다. 북미 정상의 만남을 담고자 한국 취재진은 물론 세계 유수의 언론사 취재진이 싱가 포르...
    Date2018.07.05 Views1875
    Read More
  15. 쌍용차 평택 공장 잠입기

    쌍용차 평택공장 옥쇄 파업 취재 후기를 써 달라는 원고 청탁을 받았을 때, 얼떨결에 승낙해버렸다. 그로부터 벌써 3주가 흘렀다. 일반적인 취재 후기를 써야 하나? 문득 후배들이 공장 안으로 어떻게 들어갔냐고 물었던 기억이 났고, 공장에 들어가기까지의 ...
    Date2009.10.16 Views10510
    Read More
  16. No Image

    씻겨나가 평평해진 도시 - 반다 아체

    씻겨나가 평평해진 도시 - 반다 아체 [TV카메라기자17호] 임우식 기자 SBS뉴스텍 영상취재팀 땅에 서 있는 모든 것들이 폭삭 주저앉았다. 해일에 휩쓸린 도시에서는 살아 있는 것 자체가 괴로움이었다. 그것이야말로 마지막 재앙일지도 모른다. 복구의 삽질로...
    Date2005.03.24 Views8237
    Read More
  17. 아덴만 여명 작전 -삼호주얼리호 취재

    이국의 바다에서 삼호주얼리호를 만나다 오만의 바닷가는 ‘클린스테이트’를 지향한다는 그들의 말 만큼이나 푸르고 깨끗했다. 한국대사관과 무스카트항을 몇 번씩 오가며 삼호주얼리호를 얼마나 기다렸을까. 사살된 해적들의 시신처리와 생포된 해적들의 인도...
    Date2011.03.22 Views10809
    Read More
  18. 아세안지역안보포럼 출장이 일러준 방향

    아세안지역안보포럼 출장이 일러준 방향 ▲ 아세안지역안보포럼 회의장 휴가 마지막 날, 울려오는 전화를 받았다. 나의 첫 출장을 알려오는 전화였다. 일본의 화이트 리스트 배제와 관련된 언급이 나올 것으로 예상되는 “아세안지역안보포럼(ASEAN Region...
    Date2019.11.07 Views404
    Read More
  19. 아시안게임 취재기 - 우당탕탕 Jakarta

    <아시안게임 취재기> 우당탕탕 Jakarta ▶ 자카르타 팔렘방 아시안게임을 취재하는 필자 인도네시안 타임 도착하자마자 불길한 예감은 적중했다. 아시안게임 델리게이트 레인으로 입국심사는 비교적 빠른 시간에 끝났지만, 위탁 수하물을 찾을 때부터 ‘인...
    Date2018.10.19 Views486
    Read More
  20. 아시안게임 취재기 - 진정한 축제가 간절하다

    진정한 축제가 간절하다 우리사회가 지금 축제를 축제답게 즐길 수 있는 여건인가 스포츠팀에 오자마자 인천 아시안게임 취재명단에 이름이 들어갔을 때 설렘이나 기대는 크지 않았다. 폐막 이후의 끔찍한 그림이 너무나 선명하게 보였기 때문에. 경기장, 시설...
    Date2014.11.18 Views6993
    Read More
  21. 아시안게임 취재기 - 혼잡, 혼란, 그리고 혼합의 아시안게임

    <아시안게임 취재기> 혼잡, 혼란, 그리고 혼합의 아시안게임 ▶ 자카르타 팔렘방 아시안게임 성화 봉송 혼잡 “어이쿠, 저렇게 껴들면 사고 안 나요?” 8월 13일 밤, 아시안게임 취재를 위해 인도네시아 자카르타에 도착했다. 공항에서 숙소로 향하...
    Date2018.10.19 Views428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7 8 9 10 11 12 13 14 15 16 ... 18 Next
/ 18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