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폐어선 ‘스쿠버다이빙 성지’ 변모 해중공원 수중촬영기



 똑같은 파도, 똑같은 백사장을 놓고 경쟁하던 때는 이미 지 났다.

여러 시·군 지역에서는 특색이 있는 해양 레포츠에 승부를 걸고 있다.  강원도에서는 이미 서핑, 프리다이빙, 스쿠버다이빙 등 다양 한 해양레포츠에 기반을 다지는 데 신경을 쓰고 있는 중이다.

필자가 다녀온 곳은 강릉시에서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는 해 중공원 조성사업 지역을 다녀왔다.


 국비 80억 원이 투입되어 매년 3만4천 명이 지역을 찾아 경제적 파급효과가 연간 68억 원에 달할 것으로 예상한다.

국내에선 좀처럼 경험할 수 없는 난파선 다이빙인 이른바 렉 다이빙(wreck diving)을 할 수 있는 곳이다.

폐어선 투입부터 완공까지 촬영을 해왔던 터라 누구보다 먼저 이곳을 촬영하고 싶었다.

수중촬영 사진1.jpg


 수면에서 천천히 하강하다 보면 거대한 배의 형체가 나타나 고 그 위로 소나기가 퍼붓듯 물고기 떼가 시야를 가득 메웠다.

낡아 폐기하는 배를 사서 기름때를 모두 벗겨낸 이 배에는 해 초가 무성하게 뒤덮여 있었다.

어선이 물고기 집 역할을 해 언 제라도 물고기 떼를 만날 수 있을 것이다.


 엄청난 물고기 떼에 넋을 놓기도 전에 영상을 먼저 카메라에 담았다. 선실과 선실 사이, 복잡한 배의 구조물을 따라 짜릿한 모험을 즐길 수 있었다.


 총길이 60m, 바닥 수심 36m지점에 있으며 렉다이빙 자체 가 위험하지 않게 안으로 진입해 밖으로 쉽게 빠져나올 수 있 는 구조여서 중급자 이상이면 누구든지 즐길 수 있을 듯했다.  곧 2천 톤급 초대형 폐선박이 하나 더 투입되어 이곳이 스쿠버 다이빙의 명소가 될 듯하다.


수중촬영 사진2.jpg


  촬영 하면서 수많은 촬영 분야 중 하나인 수중촬영이지만, 수중촬영을 하다 보니 그동안 쌓아오신 선배들의 노하우와 장 비들 외엔 요즘 현실에 맞는 촬영 매뉴얼이 없다는 걸 알았다.  

몇 가지 찾아보고 교육을 다녀와도 원론적인 설명만 있을 뿐 실제로 수중상황에 무엇을 어떻게 해야 하는지에 대한 내용이 없었다.


 실제로 내가 물속에서‘ 이제 어떻게 해야 하지?’라는 궁금증을 배울 수 있는 것이라고는 오로지 선배들의 노하우였다. 협회와 선배님들의 도움으로 영상기자들을 위한 제대로 된 수중촬영

매뉴얼을 만들어 보는 것이 목표다.                                                                                                                       


  G1강원민방 홍성백.jpg

 홍성백 / 강원 G1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조회 수
아시안게임취재기 - 인천, 아쉬움만 남았던 15일 file 2014.11.18 7197
아직도 끝나지 않은 5.18의 숙제 2005.06.13 7890
아파트 촬영허가 받으셨어요? 2006.05.16 9027
아파트 촬영허가 받으셨어요? 2006.05.16 6856
아프리카를 가다 file 2011.03.22 10451
안나푸르나, 그 높은 좌절의 벽 file 2020.03.12 365
압승 후에 찾아올 일 file 2018.07.04 903
양양 산불 현장에서 2005.05.11 7493
언론인에 대한 정교하고 다양해진 공격, 직업적 연대로 극복해야 file 2022.11.01 179
엘리베이터 안에서 2008.07.15 7908
여성의 나라 핀란드 2003.02.24 8114
여수 대림산업 화재현장 file 2013.06.04 10443
여수 출입국관리사무소 화재 참사 취재후기 2007.03.26 7185
여수엑스포 취재기 file 2012.07.25 10386
역사적인 남북정상회담 - 그 중심에 내가 서있다 2008.01.12 6535
영상기자 디지털 팀, 뭘 만들까? file 2021.03.11 446
오거돈 부산시장 사퇴 기자회견 file 2020.07.02 420
오늘을 역사로 기록하는’ 영상기자들이 뽑은 2021년 10대뉴스 file 2022.01.07 467
외신에 의존하지 않는 한국 시각의 전쟁 취재. 우리는 무엇을 해야 하나? file 2023.12.21 274
우리가 아는 ‘팀킴’은 김경두의‘ 킴’이었다 file 2019.01.02 504
우리는 카메라 ‘기자’ 이다 file 2017.04.21 2045
Board Pagination Prev 1 ...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Next
/ 18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