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폐어선 ‘스쿠버다이빙 성지’ 변모 해중공원 수중촬영기



 똑같은 파도, 똑같은 백사장을 놓고 경쟁하던 때는 이미 지 났다.

여러 시·군 지역에서는 특색이 있는 해양 레포츠에 승부를 걸고 있다.  강원도에서는 이미 서핑, 프리다이빙, 스쿠버다이빙 등 다양 한 해양레포츠에 기반을 다지는 데 신경을 쓰고 있는 중이다.

필자가 다녀온 곳은 강릉시에서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는 해 중공원 조성사업 지역을 다녀왔다.


 국비 80억 원이 투입되어 매년 3만4천 명이 지역을 찾아 경제적 파급효과가 연간 68억 원에 달할 것으로 예상한다.

국내에선 좀처럼 경험할 수 없는 난파선 다이빙인 이른바 렉 다이빙(wreck diving)을 할 수 있는 곳이다.

폐어선 투입부터 완공까지 촬영을 해왔던 터라 누구보다 먼저 이곳을 촬영하고 싶었다.

수중촬영 사진1.jpg


 수면에서 천천히 하강하다 보면 거대한 배의 형체가 나타나 고 그 위로 소나기가 퍼붓듯 물고기 떼가 시야를 가득 메웠다.

낡아 폐기하는 배를 사서 기름때를 모두 벗겨낸 이 배에는 해 초가 무성하게 뒤덮여 있었다.

어선이 물고기 집 역할을 해 언 제라도 물고기 떼를 만날 수 있을 것이다.


 엄청난 물고기 떼에 넋을 놓기도 전에 영상을 먼저 카메라에 담았다. 선실과 선실 사이, 복잡한 배의 구조물을 따라 짜릿한 모험을 즐길 수 있었다.


 총길이 60m, 바닥 수심 36m지점에 있으며 렉다이빙 자체 가 위험하지 않게 안으로 진입해 밖으로 쉽게 빠져나올 수 있 는 구조여서 중급자 이상이면 누구든지 즐길 수 있을 듯했다.  곧 2천 톤급 초대형 폐선박이 하나 더 투입되어 이곳이 스쿠버 다이빙의 명소가 될 듯하다.


수중촬영 사진2.jpg


  촬영 하면서 수많은 촬영 분야 중 하나인 수중촬영이지만, 수중촬영을 하다 보니 그동안 쌓아오신 선배들의 노하우와 장 비들 외엔 요즘 현실에 맞는 촬영 매뉴얼이 없다는 걸 알았다.  

몇 가지 찾아보고 교육을 다녀와도 원론적인 설명만 있을 뿐 실제로 수중상황에 무엇을 어떻게 해야 하는지에 대한 내용이 없었다.


 실제로 내가 물속에서‘ 이제 어떻게 해야 하지?’라는 궁금증을 배울 수 있는 것이라고는 오로지 선배들의 노하우였다. 협회와 선배님들의 도움으로 영상기자들을 위한 제대로 된 수중촬영

매뉴얼을 만들어 보는 것이 목표다.                                                                                                                       


  G1강원민방 홍성백.jpg

 홍성백 / 강원 G1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조회 수
베이징과의 만남 2008.09.26 9078
나흘 간의 교훈 2008.09.26 8016
구천을 맴도는 금정굴 영혼 2008.09.19 7918
6자 회담 취재, 이렇게 했습니다. "mpeg2 파일로 송출" 2008.09.01 9117
생방송으로 전해진 우리의 땅 독도 2008.08.30 8457
그리고 우리는 바다로 갔다 2008.08.30 8239
공정 보도에 대해 깊이 생각해보게 된 좋은 경험 2008.08.22 8354
엘리베이터 안에서 2008.07.15 7908
5.12 중국 쓰촨성 대지진 참사 - '8'의 저주 2008.07.04 8005
칭촨현에서의 하룻밤 2008.07.04 7361
절망의 땅에서 희망의 땅으로 거듭날 수 있기를 2008.06.26 7475
한국 최초 우주인을 취재하고 2008.06.25 7953
이념의 벽을 넘어 평화의 메시지를 전달한다 2008.04.28 7572
숭례문의 마지막을 지키며 2008.04.28 7743
사라진 숭례문, 우리 지성의 현주소를 보여줘 2008.04.28 7852
국보에서 잿더미로... 2008.04.28 7141
다시 경험하고 싶지 않은 참사 - 이천 물류 창고 화재 2008.02.18 8338
그들이 정당한 보상을 바라는 이유 2008.02.18 6889
대선 취재가 남긴 숙제들... 2008.02.13 6851
국내 최대 원유 유출 사고 그 10일 간의 기록 2008.02.13 6917
절망의 태안 바다에서 희망의 햇살을 보다 2008.02.13 6817
Board Pagination Prev 1 ...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Next
/ 18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