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폐어선 ‘스쿠버다이빙 성지’ 변모 해중공원 수중촬영기



 똑같은 파도, 똑같은 백사장을 놓고 경쟁하던 때는 이미 지 났다.

여러 시·군 지역에서는 특색이 있는 해양 레포츠에 승부를 걸고 있다.  강원도에서는 이미 서핑, 프리다이빙, 스쿠버다이빙 등 다양 한 해양레포츠에 기반을 다지는 데 신경을 쓰고 있는 중이다.

필자가 다녀온 곳은 강릉시에서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는 해 중공원 조성사업 지역을 다녀왔다.


 국비 80억 원이 투입되어 매년 3만4천 명이 지역을 찾아 경제적 파급효과가 연간 68억 원에 달할 것으로 예상한다.

국내에선 좀처럼 경험할 수 없는 난파선 다이빙인 이른바 렉 다이빙(wreck diving)을 할 수 있는 곳이다.

폐어선 투입부터 완공까지 촬영을 해왔던 터라 누구보다 먼저 이곳을 촬영하고 싶었다.

수중촬영 사진1.jpg


 수면에서 천천히 하강하다 보면 거대한 배의 형체가 나타나 고 그 위로 소나기가 퍼붓듯 물고기 떼가 시야를 가득 메웠다.

낡아 폐기하는 배를 사서 기름때를 모두 벗겨낸 이 배에는 해 초가 무성하게 뒤덮여 있었다.

어선이 물고기 집 역할을 해 언 제라도 물고기 떼를 만날 수 있을 것이다.


 엄청난 물고기 떼에 넋을 놓기도 전에 영상을 먼저 카메라에 담았다. 선실과 선실 사이, 복잡한 배의 구조물을 따라 짜릿한 모험을 즐길 수 있었다.


 총길이 60m, 바닥 수심 36m지점에 있으며 렉다이빙 자체 가 위험하지 않게 안으로 진입해 밖으로 쉽게 빠져나올 수 있 는 구조여서 중급자 이상이면 누구든지 즐길 수 있을 듯했다.  곧 2천 톤급 초대형 폐선박이 하나 더 투입되어 이곳이 스쿠버 다이빙의 명소가 될 듯하다.


수중촬영 사진2.jpg


  촬영 하면서 수많은 촬영 분야 중 하나인 수중촬영이지만, 수중촬영을 하다 보니 그동안 쌓아오신 선배들의 노하우와 장 비들 외엔 요즘 현실에 맞는 촬영 매뉴얼이 없다는 걸 알았다.  

몇 가지 찾아보고 교육을 다녀와도 원론적인 설명만 있을 뿐 실제로 수중상황에 무엇을 어떻게 해야 하는지에 대한 내용이 없었다.


 실제로 내가 물속에서‘ 이제 어떻게 해야 하지?’라는 궁금증을 배울 수 있는 것이라고는 오로지 선배들의 노하우였다. 협회와 선배님들의 도움으로 영상기자들을 위한 제대로 된 수중촬영

매뉴얼을 만들어 보는 것이 목표다.                                                                                                                       


  G1강원민방 홍성백.jpg

 홍성백 / 강원 G1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조회 수
4.11 총선 취재기 - 국회 4진 2012.04.28 4131
3D 시대는 오는가? CES쇼를 통해본 3D시대 file 2010.01.13 11316
39년 만에 광주를 찾은 전두환 file 2019.05.08 389
30년 만에 우리나라에서 열린 올림픽 ‘평창 21박 22일의 취재기’ file 2018.04.26 1272
2030 부산 세계박람회 유치발표 취재기 file 2023.12.21 230
2023 특집 다큐멘터리 [우리도 광주처럼] file 2023.12.18 139
2018 남북정상회담 평양 취재기 file 2018.12.19 450
2010 남아공 월드컵, 한국 축구 가능성 보여줘 file 2010.07.20 10557
2009 대학수학능력시험을 취재하고``` file 2009.01.15 10594
2008년 4월, 대한민국 최초의 우주인 탄생하다! 2008.01.10 6949
2007년 10월, 2차 남북정상회담 취재기 file 2018.04.26 1302
1인 5역이 아니면 안 되는 곳 울릉도! 2005.10.12 8453
19대 대선취재기 – 대선 취재 영상의 핵심요소는 ‘사람’ file 2017.06.06 1748
19대 대선취재기 - 조기대선이라는 아픈 역사가 반복되지 않아야 - file 2017.06.06 1672
'후쿠시마 그 곳에서 일본을 보다' file 2013.12.17 9808
'카메라기자 수난시대’ 쌍용차사측, 기자폭행…경찰은뒷짐 file 2009.10.16 10091
'청와대 하명수사' 취재 후 영상기자의 소회 file 2020.03.12 380
'재난위험지역 전문취재' 과정을 마치고... file 2012.07.25 11058
'2011세계육상선수권대회' 달구벌 뜨거운 열기에도 나의 열정은 식어있었다 file 2011.11.18 11447
"기후위기 시대의 영상기자’로의 진화가 필요한 시점" file 2023.08.31 194
"갔노라, 보았노라, 기록했노라" file 2024.05.08 870
Board Pagination Prev 1 ...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Next
/ 18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