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회 수 386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인쇄 첨부

남북정상회담 비속어 논란,

청와대 “사실 아니다”

 

음성 분석 전문가 통해 진상 파악… 조사 결과 공개하진 않을 듯

 

 

사진1 백화원.png

▶ 지난 18일 문재인 대통령과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평양 백화원 영빈관에서 담소하는 장면에서 비속어가 들린다는 주장이 제기되었다. [사진 : 평양공동취재단 영상 캡처]

 

 지난 9월 18일 제3차 남북정상회담 첫날, 평양 백화원에서 문재인 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대화 영상에서 비속어가 들린다는 의혹에 대해 청와대가 “사실이 아니다”고 밝혔다.

 

 남북정상회담 주관 방송사였던 KBS 영상기자가 비속어를 사용했다는 의혹이 제기되면서 논란은 해당 기자의 처벌 요구로 확대됐다. 청와대 홈페이지‘국민청원 및 제안’ 게시판에는 비속어를 쓴 사람을 처벌해달라는 청원 인원이 22일 현재 10만 9000명을 넘어섰다.
 

 해당 영상에는 평양 남북정상회담 첫날인 9월 18일,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문재인 대통령의 숙소인 백화원 영빈관에서 "수준은 조금 낮을 수 있어도 최대 성의를 다해서 한 숙소이고 일정이고 하니 우리 마음을 받아주시면 좋겠다"고 말하자, 문 대통령이 "아주 최고의 환영과 최고의 영접을 받았다"고 답하는 장면이 담겨 있다. 문 대통령의 대답 직후 “지X하고 있네”라고 추정되는 음성이 이어졌다.

 

영상기자 처벌 요구…국민청원까지
 

 영상이 공개되자 남북 영상기자들의 몸싸움 과정에서 욕설이 나온 것이라는 추측이 제기됐다. 그러면서 영상기자의 처벌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높아졌다. 각종 인터넷 커뮤니티는 물론 남북정상회담 주관 방송사였던 KBS 게시판과 청와대 국민청원 게시판에도 관련 글이 줄을 이었다.
 

 논란이 거세지자 한국영상기자협회(당시 한국방송 카메라기자협회)도 지난 9월 23일 성명서를 통해 "당시 현장은 비공개라서 언론사 소속의 평양공동취재단 카메라기자는 백화원 입구 현관까지만 영상을 촬영하고 문제의 현장으로는 가지도 않았다"면서 "비속어 논란과 관련해 정부 당국이 꼼꼼하게 조사를 벌여 진상 규명을 해줄 것을 촉구한다"고 밝혔다.
 

 당시 취재현장에는 남측은 청와대 전속 촬영 담당자만 2명이 있었고, 북측은 김정은 위원장 전속과 조선중앙방송, 신문사 등을 포함해 7∼8개 팀이 촬영한 것으로 알려졌다. 남측 방송사는 청와대 전속 촬영 담당자가 촬영한 영상을 방송에 내보냈다.
 

 청와대는 비속어 논란에 대해 진상 파악에 들어간 결과 “비속어는 아니다”라고 결론내린 것으로 전해졌다. 전문가에게 의뢰해 음성 분석을 한 결과, 비속어 가능성이 있는 ‘ㄹ’ 발음이 나오지 않았다는 것이다.

 

 이에 대해 권혁기 춘추관장은 “청와대가 비속어가아니라는 결론을 내린 것은 사실”이라고 밝혔다. 권관장은 이어 “비속어가 아니면 어떤 워딩인지, 누구의 워딩인지 등 구체적인 조사 결과에 대해서는 춘추관이 보고받지 못했다”며 “(조사 결과를) 언론에 공개하지 않기로 한 사안이라면 춘추관에 보고할 이유는 없다”고 덧붙였다.

 

 

 

안경숙 기자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조회 수
지명관 전 한림대 교수, 5·18언론상 공로상 수상 file 2020.09.09 291
MBN 6개월 업무정지 행정소송 2심판결 앞두고 사원들 생존권위협 호소 2022.12.28 299
협회, 풀(Pool)취재·포토라인 준칙, ‘영상보도가이드라인’ 개정한다 2023.03.03 305
10.29 참사 취재한 영상기자들, 심각한 트라우마 호소 file 2022.12.28 318
내가 글을 쓰는 이유 file 2018.10.19 321
‘힌츠페터 국제보도상’ 제정한다. file 2020.09.08 321
주간경향 미얀마 특집호 구매, 배포 file 2021.04.15 323
“KBS2TV·SBS ‘조건부3년’재허가한다” file 2021.01.06 328
2022년 최고의 영상보도 7편, 제36회 한국영상기자상 수상 file 2023.03.03 328
국회 언론·미디어 제도개선 특위‘빈손’…활동기한 연장해 결과내야 file 2022.01.06 329
MBC충북 김병수, 신석호 기자 <미래유산을 찾아서>가 보도한 건축물들 줄줄이 충북 등록문화재 ‘등록’ file 2023.04.26 334
6월 개최예정.<사회의 민주적 발전과 영상저널리즘>세미나, 방송문화진흥회 세미나지원 공모사업 선정 file 2021.04.15 339
“영상기자들, 초상권 침해 규정 절반만 인지” file 2023.03.03 344
방송 출연 아동·청소년 인권 보호 가능할까 file 2021.03.09 350
용산 대통령실 이전 2개월…기자들 반응은? “도어스테핑으로 언론 접촉 늘었지만…” file 2022.07.01 354
포항MBC “포스코, 성역아냐”…기자단체, 포스코노사에 사과요구 file 2021.01.05 364
제주MBC ‘직장내 괴롭힘’으로 조만간 인사위 개최 file 2020.11.11 368
20대 대선취재 영상기자 간담회 file 2022.05.03 372
국회발의 공영방송 지배구조 개선 법안의 핵심 ‘운영위원회’ 모델 된 독일식 공영방송 방송평의회란? file 2022.05.03 373
[신간 소개] 흐름의 한국 축적의 일본.... 한 일 간 차이를 만드는 세 가지 축 file 2018.10.19 385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40 Next
/ 40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