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회 수 443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인쇄 첨부

새해를 맞아 다짐하는 세 가지

 

 

 다사다망(多事多忙). 2018년 직장인들 이 뽑은 올해의 사자성어로‘ 일이 많아 눈코 뜰 새 없이 바쁨’을 뜻한다. 보름도 채 남지 않은 나의 2018년을 되돌아봤 다. 1월 평창동계올림픽을 시작으로 4.27 남북정상회담, 6.13 지방선거 등 올해도 굵직한 이슈들이 지나갔다. 나에 게도 2018년은 다사다망한 한 해였다. 하지만, 돌이켜 보건대 영상기자가 된 이후 다사다망하지 않았던 해는 없었 다. 영상기자란 본래 그런 직업이다.

 

 어느덧 5년 차 영상기자가 됐다. 모든 것이 어설프고 부족했던 수습기자 시절, ‘진짜’ 촬영기자가 되기 위해 묵묵히 내 공을 쌓겠다고 다짐한 지 4년이 지났다. 지난 4년간 여러 현장을 다니며 다양한 경험을 한 것 같다. 남들은 뉴스로 접하 는 소식들을 나는 현장에서 직접 보고 영상으로 담아 전달했다. 하고 싶은 일 을 할 수 있어 감사하고 보람된 시간이 었다. 2019년에도 이슈들이 끊이지 않을 것이다. 김정은 위원장의 남한 답방 과 2차 북미 정상회담 그리고 크고 작은 사건·사고들까지. 여느 해와 마찬가지로 내년도 다사다망한 한 해가 될 것임이 틀림없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새해에는 망중한(忙中閑)을 찾으며 몇 가지 목표 를 잡아보려 한다.

 

 새해엔 유연하게 취재하겠다. 취재현 장에서 찍으려는 자와 못 찍게 막는 자 가 만나면 종종 싸움이 일어나는데 나 는 그 빈도가 잦은 편이다. 상대방의 시 비조 말투에 같이 흥분하는 성향이다. 그렇게 감정을 소모하고 나면 회사로 복 귀하는 차 안에서 허무함을 느낀다. 새 해에는 좀 더 침착하고 여유 있게 일하 겠다.

 

 2019년 MBN 영상취재부의 가장 큰 변화는 아마도 신입 영상기자의 입사가 될 것이다. 5년 만이다. 더불어 나의 부 서 막내 생활도 끝이 난다. 그동안 선배 들로부터 받은 관심과 애정을 후배들에게 되돌려주겠다. 힘든 수습기자 생활을 잘 버티고 성장할 수 있도록 든든한 선 배가 되고 싶다.

 

 내년은 나에게 특별한 한 해가 될 것 같다. 기해년(己亥年) 황금 돼지띠 딸이 태어난다. 곧 태어날 아이에게 어떤 아 빠가 되어줄 수 있을지 고민이다. 세상 여러 이야기를 담아내는 일을 하지만 딸 에겐 아름다운 것들만 보여주고 싶다. 2019년은 영상기자로서 그리고 한 가정 의 가장으로서 지금까지와는 다른 환경 에 놓이게 될 것 같다. 한층 성숙해질 수 있는 한 해가 되길 희망한다.

 

 

 

라웅비 / MBN    라웅비 사진.jpg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조회 수
힌츠페터 어워즈, 히어로 메이커 2.0 file 2021.05.06 269
힌츠페터 국제 보도상 심사 후기 - '응답의 책임감’(answerability) file 2021.11.17 415
확진자의 동선, 취재진의 동선 file 2020.03.12 394
호모 비디오쿠스는 진화 중 file 2019.09.09 471
헬기 위 영상취재, 매년 반복되는 풍경 file 2019.05.08 439
험지 취재에 유용한 경량 백패킹 file 2020.09.16 413
해외 출장의 필수 관문 ‘까르네’ 제대로 알고 계신가요? file 2023.06.28 375
해외 출장 후 자가격리기(記) file 2020.07.16 390
해외 사례로 ‘검찰 포토라인’ 철폐 톺아보기 file 2020.01.09 391
한국의 전략가들이 주시해야 하는 미국의 전통적 대외정책 file 2019.01.03 1588
한국영상기자협회 입회에 즈음하여… file 2021.09.24 374
한국 영화 100年史 속 봉준호, 그리고 김기영 file 2020.05.07 365
한국 미디어가 주시해야 하는 ‘소리 없는 세계통화전쟁’ file 2017.11.04 638
필사는 창작의 왕도 file 2017.11.04 651
피의자 신상공개 결정의 고뇌와 함의 file 2020.05.11 526
피의사실 공표 논란, '쉼표'가 될 기회 file 2020.07.17 311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세계질서 file 2020.07.17 284
평범한 일상과 업무 속에서 새로운 문제의식을 찾아가는 것의 중요성 file 2023.12.21 164
펭수는 왜 이렇게 인기가 많을까? file 2020.01.08 427
판소리로 춤을 추게 만드는 밴드 이날치를 만나다 file 2020.11.17 330
판문점 북미정상회담과 보도영상 file 2019.09.09 271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Next
/ 11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