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01.03 17:08

2018년을 돌아보며

조회 수 396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인쇄 첨부

2018년을 돌아보며

 

 

 근길에 이모에게 전화가 왔다. 네가 김장할 정신도 없을 것 같아서 이모가 해 놓았으니 시간 될 때 찾아가라는 내용이 었다. 고맙다는 말을 하고 전화를 끊고 보 니, 올해도 저물어 가는구나 하는 생각이 들었다. 사회부 캡을 맡은 지도 1년“. 이렇 게 바쁜 해가 또 있었나?” 할 정도로 정말 정신없는 한 해였다.

 

 2018년의 첫 번째 키워드는 단연‘ 북한’ 이었다. 빅 이벤트인 월드컵과 아시안게임 도 있었지만, 결국은 북한이었다. 현송월 삼지연관현악단 단장이 방남을 시작으로 싱가포르 북미 정상회담, 판문점 남북 정 상회담과 문재인 대통령 방북까지. 연말 에 김정은 위원장까지 내려왔으면 피날레 까지 멋지게(?) 장식할 뻔했다. 북한 관련 뉴스를 할 때마다 가장 고민스러웠던 것 은‘ 영상취재’와‘ LTE LIVE’였다. 물론 복수의 팀이 나가서 한 팀은 본연의 임무 인‘ 영상취재’에 집중하고, 또 다른 팀은 ‘LTE LIVE’에 집중한다면 고민할 필요 도 없겠지만. 항상 모든 고민의 출발점은 인력부족이다. 어쩔 수 없이 한 팀이 나가야 하고, 그 팀에게 취재기자 현장 연결이 라는 롤까지 주어지면, 더 이상‘ 영상취재’ 까지 바라는 건 무리이다. 눈앞에 상황이 벌어지고 있는데, 취재기자 연결에만 집 중하라고 지시하는 것은 데스크로서 매 우 가슴 아픈 결정이다. 하물며 현장에 있는 영상기자는 오죽했을까 싶다. LTE 속도는 점점 빨라지고, MNG는 점점 경 량화되면서‘ LTE LIVE’는 이제 우리 영 상기자에겐 선택이 아니라 필수가 되어가 고 있다. 기왕 필수 덕목이 된 마당에 보 다 잘 해내야 하겠지만, 부족한 인력에 다 시금 정답 없는 선택을 해야 한다.

 

 2018년의 두 번째 키워드는‘ 노동시간 단축’이다. 법정 노동시간이 올해 68시간, 내년 52시간으로 정해지면서 팀원들의 노동시간 관리가 데스크의 중요한 업무 가 되었다. 이제 더 이상 데스크가“ 고생 하는 김에 조금만 더 고생하자!”는 말을 할 수가 없다. 출장을 보낼 때는 교대시기 를 먼저 고민해봐야 하고, 조근자와 대기 자를 구분해서 배정해야 하며, 야간 풀 시간이 19시인지, 21시인지가 중요해졌다. 올해 SBS 영상취재팀도 많은 변화가 있었다. 가장 큰 변화는 야근자 출근시간 조정이다. 13시간 연속근무 금지 노사합 의에 따라 기존 13시 출근이 19시로 조정 되었다. 야근자가 19시에 출근하다보니 야근자는 야간상황에만 집중할 수 있어 근무여건이 좋아졌지만, 정작 주간에서 야간으로 이어지는 업무에는 공백이 생 길 수밖에 없다. 그 공백을 메우기 위해 데스크는 또 다른 선택을 해야만 했다.

 

 이제 열흘이면 2018년도 지나간다. 1년 을 겪어보니, 데스크라는 자리는 끊임없 이 결정해주고 선택해주는 자리임을 깨닫 는다. 2019년에 내려질 제 결정과 선택에 는 부디 시행착오가 없길 바란다.

 

 

 

이재영 / SBS    이재영 사진.jpg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조회 수
병아리 깃털과 초콜릿 상자 file 2020.11.17 433
방종혁의 씨네노트 - 사극의 두 얼굴, 허구와 실화 '군도-민란의 시대' VS '명량' file 2014.08.14 3386
방종혁의 시네노트 - 흑백으로 되살린 전쟁범죄의 기억-『지슬』 file 2013.06.04 3477
방송환경의 변화에 영상기자들의 변화 file 2018.01.10 755
박주영의 세상보기 - 역경은 창조주가 준 선물 file 2014.03.21 2201
박수칠 때 떠나자: 한국 언론의 국제뉴스의 자립 선언 file 2023.06.29 207
민주주의를 위한 벨라루스의 투쟁과 한국의 힌츠페터 국제보도상 file 2023.06.29 219
미디어의 속도와 책무감에 대해서 file 2018.12.19 578
미디어 풍요시대, 필요한 건 미디어리터러시 교육 file 2021.07.06 429
무선마이크 900Mhz 전환기 file 2021.01.07 1204
무분별한 운영, 드론의 위험성 file 2019.09.09 472
마스크가 바꾼 2020년 취재현장 file 2021.01.08 451
디지털 경험을 통해 새롭게 보이는 것들 file 2020.01.08 286
드론의 구체적인 제도화가 필요하다 file 2017.08.30 605
드라마는 감독의 작품인가 file 2020.03.11 366
도심 속 고궁 산책 file 2020.11.17 274
데이터 저널리즘과 영상 file 2021.01.08 297
다양한 경험, 재치 그리고 순발력 뉴미디어 콘텐츠 만드는 데 밑거름 file 2021.01.08 476
다시 찾아온 기회 그리고 설렘 file 2019.05.08 348
다기능 멀티플레이어가 요구되는 시대 file 2017.07.21 741
다가오는 '본격' 지방자치시대 지역방송사, 무엇부터 준비해야 하나? file 2018.01.10 684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Next
/ 11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