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01.03 17:08

2018년을 돌아보며

조회 수 398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인쇄 첨부

2018년을 돌아보며

 

 

 근길에 이모에게 전화가 왔다. 네가 김장할 정신도 없을 것 같아서 이모가 해 놓았으니 시간 될 때 찾아가라는 내용이 었다. 고맙다는 말을 하고 전화를 끊고 보 니, 올해도 저물어 가는구나 하는 생각이 들었다. 사회부 캡을 맡은 지도 1년“. 이렇 게 바쁜 해가 또 있었나?” 할 정도로 정말 정신없는 한 해였다.

 

 2018년의 첫 번째 키워드는 단연‘ 북한’ 이었다. 빅 이벤트인 월드컵과 아시안게임 도 있었지만, 결국은 북한이었다. 현송월 삼지연관현악단 단장이 방남을 시작으로 싱가포르 북미 정상회담, 판문점 남북 정 상회담과 문재인 대통령 방북까지. 연말 에 김정은 위원장까지 내려왔으면 피날레 까지 멋지게(?) 장식할 뻔했다. 북한 관련 뉴스를 할 때마다 가장 고민스러웠던 것 은‘ 영상취재’와‘ LTE LIVE’였다. 물론 복수의 팀이 나가서 한 팀은 본연의 임무 인‘ 영상취재’에 집중하고, 또 다른 팀은 ‘LTE LIVE’에 집중한다면 고민할 필요 도 없겠지만. 항상 모든 고민의 출발점은 인력부족이다. 어쩔 수 없이 한 팀이 나가야 하고, 그 팀에게 취재기자 현장 연결이 라는 롤까지 주어지면, 더 이상‘ 영상취재’ 까지 바라는 건 무리이다. 눈앞에 상황이 벌어지고 있는데, 취재기자 연결에만 집 중하라고 지시하는 것은 데스크로서 매 우 가슴 아픈 결정이다. 하물며 현장에 있는 영상기자는 오죽했을까 싶다. LTE 속도는 점점 빨라지고, MNG는 점점 경 량화되면서‘ LTE LIVE’는 이제 우리 영 상기자에겐 선택이 아니라 필수가 되어가 고 있다. 기왕 필수 덕목이 된 마당에 보 다 잘 해내야 하겠지만, 부족한 인력에 다 시금 정답 없는 선택을 해야 한다.

 

 2018년의 두 번째 키워드는‘ 노동시간 단축’이다. 법정 노동시간이 올해 68시간, 내년 52시간으로 정해지면서 팀원들의 노동시간 관리가 데스크의 중요한 업무 가 되었다. 이제 더 이상 데스크가“ 고생 하는 김에 조금만 더 고생하자!”는 말을 할 수가 없다. 출장을 보낼 때는 교대시기 를 먼저 고민해봐야 하고, 조근자와 대기 자를 구분해서 배정해야 하며, 야간 풀 시간이 19시인지, 21시인지가 중요해졌다. 올해 SBS 영상취재팀도 많은 변화가 있었다. 가장 큰 변화는 야근자 출근시간 조정이다. 13시간 연속근무 금지 노사합 의에 따라 기존 13시 출근이 19시로 조정 되었다. 야근자가 19시에 출근하다보니 야근자는 야간상황에만 집중할 수 있어 근무여건이 좋아졌지만, 정작 주간에서 야간으로 이어지는 업무에는 공백이 생 길 수밖에 없다. 그 공백을 메우기 위해 데스크는 또 다른 선택을 해야만 했다.

 

 이제 열흘이면 2018년도 지나간다. 1년 을 겪어보니, 데스크라는 자리는 끊임없 이 결정해주고 선택해주는 자리임을 깨닫 는다. 2019년에 내려질 제 결정과 선택에 는 부디 시행착오가 없길 바란다.

 

 

 

이재영 / SBS    이재영 사진.jpg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조회 수
힌츠페터 어워즈, 히어로 메이커 2.0 file 2021.05.06 269
힌츠페터 국제 보도상 심사 후기 - '응답의 책임감’(answerability) file 2021.11.17 415
확진자의 동선, 취재진의 동선 file 2020.03.12 394
호모 비디오쿠스는 진화 중 file 2019.09.09 471
헬기 위 영상취재, 매년 반복되는 풍경 file 2019.05.08 439
험지 취재에 유용한 경량 백패킹 file 2020.09.16 413
해외 출장의 필수 관문 ‘까르네’ 제대로 알고 계신가요? file 2023.06.28 375
해외 출장 후 자가격리기(記) file 2020.07.16 390
해외 사례로 ‘검찰 포토라인’ 철폐 톺아보기 file 2020.01.09 391
한국의 전략가들이 주시해야 하는 미국의 전통적 대외정책 file 2019.01.03 1588
한국영상기자협회 입회에 즈음하여… file 2021.09.24 374
한국 영화 100年史 속 봉준호, 그리고 김기영 file 2020.05.07 365
한국 미디어가 주시해야 하는 ‘소리 없는 세계통화전쟁’ file 2017.11.04 638
필사는 창작의 왕도 file 2017.11.04 651
피의자 신상공개 결정의 고뇌와 함의 file 2020.05.11 526
피의사실 공표 논란, '쉼표'가 될 기회 file 2020.07.17 311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세계질서 file 2020.07.17 284
평범한 일상과 업무 속에서 새로운 문제의식을 찾아가는 것의 중요성 file 2023.12.21 164
펭수는 왜 이렇게 인기가 많을까? file 2020.01.08 427
판소리로 춤을 추게 만드는 밴드 이날치를 만나다 file 2020.11.17 330
판문점 북미정상회담과 보도영상 file 2019.09.09 271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Next
/ 11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