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회 수 434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인쇄 첨부

52시간 근무제를 바라보는 지역방송사 현실

 

 

진성민 사진2.jpg

 

 오늘도 시간 외 근무를 신청했다. 아무 리 발버둥을 치고 빠릿빠릿하게 움직여 봐도 시간 외의 울타리에서 벗어날 수 없 었다. 하루에 리포트 두 개를 제작하고, 틈나는 대로 미세먼지 날씨 스케치를 해 야 하고, 편집실에서 쓰는 넌리니어 편집 기는 에러 경고가 뜨면서 다운됐다. 방송 시간에 쫓겨 편집을 하다 보면 영혼까지 털리는(?) 기분이다. 거기에 주말근무까 지 있으면 정말.. 내가 속해있는 방송사의 영상기자는 5명. 그중 한 두 명은 연차와 대휴를 소진해야 하니 빠져있다. 5명이 다 있으면 왠지 기분이 좋은 날이다.

 

 주 52시간 근무가 코앞으로 다가왔다. 필자가 속해있는 방송사는 50인 이상∼ 300인 미만 사업장으로 2020년 1월 시 행 예정이다. 장시간 근무 환경에 노출 돼 있는 노동자로서 주 52시간 근무제 는 쌍수를 들고 환영이다. 하지만 걱정 부터 앞서는 건 왜일까. 최근 전주MBC 보도국은 토요일 아침 뉴스 폐지를 결 정했다. 전주MBC를 보는 지역 시청자 는 토요일 아침 뉴스 시간에 우리 지역 이야기를 들을 수 없다는 뜻이다. 회사 는 앞으로 다가올 주 52시간 근무제를 대비하고, 또한 현 적자 상황에서 인건 비 감소를 실현시키고자 결정했다 한다. 기분이 이상했다. 뉴스를 폐지한다? 비 록 휴일 아침이라는 특수한 상황이지만 과연 이러한 결정이 맞는 것일까?

 

 이것이 지역사의 현실이다. 토요일 아 침 뉴스를 폐지하듯, 위 제도가 본격 시 행된다면 휴일 뉴스 완전 폐지로 갈 수 있다. 주 52시간 근무제를 대비하려면 두 가지가 실행돼야 한다. 일을 줄이든지 인력을 보충하든지. 인력 보충은 인건비 지출.. 쉽게 얘기해 돈이 드니 재정난에 허덕이는 지역사에는 쉽지 않은 선택이 다. 그렇다면 일을 줄여야 한다. 시간 외 근무가 발생하지 않도록, 휴일 근무가 자 주 생기지 않도록 회사가 지속적으로 관 리해야 한다. 하지만 지역사의 이러한 노 력은 뉴스 시간의 축소 및 폐지로 이어 질 수밖에 없다. 노동자에게 적정 근무 시간을 도입하는 건 환영한다. 하지만 우리의 뉴스가 방송되지 않고, 그로 인 해 지역 시청자의 알 권리 축소로 이어 질 수 있다니 너무도 꺼림칙하다. 일이 많다고 항상 투덜대던 내가, 이러한 걱정 을 하는 걸 보면 아이러니하다.

 

 선택과 집중의 문제로 가야 한다. 작금 의 백화점 나열 방식 뉴스 포맷으로는 주 52시간 근무를 맞추기 힘들다. 지역 현안 을 더욱 면밀히 들여다보고 주요한 핵심 과제를 뽑아내는 능력, 그로 인해 뉴스 시간은 줄더라도 꼭 알아야 할 뉴스, 사 회의 감시견으로서 시청자의 알 권리를 충족시킬 수 있는 그런 아이템으로 채워 야 한다. 시간 메꾸기용 뉴스 아이템은 과감히 버려야 한다는 뜻이다. (뉴스 시 간을 때워야 한다는 데스크의 외침은 머 나먼 안드로메다로 보내버리자.) 또한 MBC는 서울 본사를 비롯해 지역 16개 사의 네트워크로 이뤄져 있다. 지역의 문 제는 첨예한 대립도 있지만 비슷한 처지 의 현안도 분명 존재한다. 본사를 비롯해
지역 사들의 적극적인 아이템 공유는 지 역의 문제를 상호 인식할 수 있는 기회일 수 있으며, 문제점 제시와 해결책에 이르 기까지 서로 소통할 수 있는 장으로 만들 수 있다. 주 52시간 근무제를 안정적으 로 도입하고, 지역 시청자들의 알 권리도 지킬 수 있는 방법이 아주 없다고 생각되 진 않는다. 지금부터라도 머리를 맞대면 더 나은 성과를 만들 수 있다.

 

 저번 주 나의 시간 외 근무시간은 10시 간이다. 하루도 빠짐없이 시간외 근무를 했다. 주말 근무까지 있다면 주 52시간 은 매우 가볍게 뛰어넘을 수 있다. 하루 에 리포트 2개 이상, 틈틈이 미세먼지 날씨 스케치, 오래된 넌리니어 편집기로 일을 하다 보니 내 몸은 지칠 대로 지쳐 간다. 난 주 52시간 근무를 손꼽아 기다 리는 사람 중 한 명이다. 내 바로 후배는 6년 차 막내. 며칠 후면 7년 차다. 개인 적인 바람은 내 후배가 막내를 탈출할 수 있게 신입 후배를 뽑아주는 것이다. 그리고 바람은 주 52시간 근무제를 통 해 방송 노동자들이 과도한 업무에서 벗 어나고, 더불어 시청자의 알 권리도 충 족하길 바랄 뿐이다.

 

 

 

진성민 / 전주MBC    진성민 사진.JPG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조회 수
<영상보도가이드라인> 지키지 않을 이유가 없다 file 2024.05.08 110
[프레임 밖에서] 39년 동안 화성에서 산 우주인 _ ‘오펜하이머’와 상관없는 노래 file 2023.08.31 112
건강을 위해 하루 자전거 한알 file 2023.11.15 122
영상기자, 한국과 국제사회에 대한 이해를 넓히게 된 행복한 시간 file 2023.12.21 129
[프레임 밖에서] 어떤 상황에도 "카메라를 멈추면 안 돼!" file 2023.11.15 130
기후변화로 달라진 기상 재난 현장. 우리는 얼마나 준비되어 있나? file 2023.08.31 157
평범한 일상과 업무 속에서 새로운 문제의식을 찾아가는 것의 중요성 file 2023.12.21 163
여름 휴가에 가서 세네카를 만나자 file 2023.06.28 164
체르노빌의 기자들을 잊지 않은 한국에 감사 file 2023.12.21 165
[뉴스VIEW] 진실을 가짜로 만드는 무소불위의 힘은 누구인가 file 2023.08.31 172
우리가 찾던 ‘저항의 언어’ file 2023.06.28 173
내가 사랑한 영화 '냉정과 열정사이' file 2023.12.20 173
취재를 잊은 언론, 진실을 숨긴 언론 file 2023.12.21 189
영상을 통한 공감과 연결, 더 나은 미래의 모색 file 2023.06.29 192
[뉴스VIEW] 졸속과 파행의 공영방송 공격 file 2023.06.29 204
박수칠 때 떠나자: 한국 언론의 국제뉴스의 자립 선언 file 2023.06.29 207
민주주의를 위한 벨라루스의 투쟁과 한국의 힌츠페터 국제보도상 file 2023.06.29 219
‘불특정 그룹 샷의 난민사진을 본 사람들, 반난민정책 더 선호’ file 2023.08.31 239
길(路)의 재발견 file 2020.11.17 244
부동산 정책? 건강한 인식(認識)이 먼저 file 2020.09.15 255
전에 없던 새로움을 탐하다 ② file 2020.09.15 260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Next
/ 11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