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한국산‘ 불법 수출 쓰레기’ 필리핀 떠나던 날

 

 

noname01.jpg

 

 지난 1월 11일, 영상취재팀 캡으로부터 해외출장 준비를 해야겠다는 연락을 받았다. 해외 재난·재해도 없던 때라 출장에 대한 묘한 기대감이 생기기도 했다. 그리고 오래지 않아 알게 된 취재목적, ‘필리핀 쓰레기산’.

 

 포털사이트에 걸려있던 관련 기사를 몇 줄 읽어본 게 전부라, 우선 상황에 대한 예습 이 필요했다. 내용인즉슨, 한국의 수출업체가 재활용되는 플라스틱으로 허위 신고해 필리핀에 상당량의 폐기물을 보냈는데 실제론 기저귀, 의료폐기물, 배터리 등이 온통 뒤섞인 혼합 쓰레기였다는 것. 이 쓰레기들을 지난 7월 필리핀 세관이 적발했고, 주민들과 환경단체의 항의에 결국 한국으로 돌려보내게 됐다고 한다. 취재팀은 쓰레기 선적 전날인 12일 새벽 필리핀행 비행기에 몸을 실었다.

 

 수도 마닐라에서 700km가량 떨어진 민다나오섬의 ‘카가얀데 오로’항에 도착하니 숨 이 턱 막히는 뜨거운 열기와 함께 줄지어 서있는 커다란 컨테이너들이 먼저 눈에 들어왔 다. 현지 관계자는 필리핀으로 수출된 한국산 쓰레기 6,300톤 중 1,200톤 분량이 컨테 이너 51개에 담겨 화물선 선적을 기다리고 있다고 했다.

 

 항구에는 쓰레기가 떠나는 모습을 지켜보기 위해 나온 많은 현지 주민들과 환경단체 관계자들이 있었다. 예상과는 다르게 한국에서 온 취재진은 우리뿐이었고 그런 우리를 바라보는 다양한 시선이 취재 내내 느껴졌다. 주민들은 왜 불법 쓰레기를 필리핀에 보냈는지를 우리에게 물으며 강한 불만을 드러내기도 하고, 한국에서 멀리까지 취재 와줘서 고맙다고 하기도 했다. 선적에 앞서 관계자들이 일부 컨테이너를 개봉해 어떤 쓰레기들 이 한국에서 왔는지 설명했다. 재활용 가능한 플라스틱은 거의 없고 대부분 처치곤란의 혼합 쓰레기들이 한데 뒤섞여있었다.

 

 ‘소주팩‘’, 순면 기저귀’등 악취를 풍기는 한국산 쓰레기들을 손으로 뒤적이며 분노하는 그들을 보니 애써 준비해 간 마스크와 장갑은 슬그머니 주머니에 넣을 수밖에 없었다. 한국인이라는 사실만으로도 왠지 미안하고 또 민망한 순간들이었다. 이런 우리의 반응 을 카메라에 담고 정식으로 인터뷰를 요청하는 현지 언론들도 많았기에, 최대한 흐트러 짐 없이 취재에만 집중하고자 노력했다.

 

 컨테이너가 화물선에 선적되는 모습까지 취재를 마치고, 나머지 쓰레기 5,200톤이 쌓 여있다고 하는 인근 마을로 향했다. 그린피스 관계자를 통해 마을 이름만 전달받았기 때문에 비포장도로의 숲길을 한 시간 가까이 헤맨 끝에 축구장 6개 넓이의 쓰레기 야적 장을 찾을 수 있었다. 키보다도 훨씬 높은 펜스가 사방에 둘러쳐져 있어 겉보기엔 어떤 장소인지 알 수 없었지만, 가까이 갈수록 악취가 심해져 어마어마한 양의 쓰레기가 내부에 방치돼있음을 알 수 있었다.

 

 부감 촬영을 할 만한 장소가 주변에 없고 펜스에 시야가 가려 야적장 내부는 드론을 이용해 취재했다. 지상에서 문 틈 사이로 본 것보다 훨씬 방대한 양의 쓰레기가 어지럽게 널려있었고, 현장 관리자는 드론을 향해 나가라고 손짓하거나 몽둥이를 들고 위협하 는 시늉을 하기도 했다. 높은 곳에서 내려다보니 주민들이 사는 마을과 쓰레기장이 불과 몇십 미터밖에 떨어져 있지 않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실제로 주민들은 비가 오는 날이면 코를 찌르는 악취가 온 마을에 퍼진다고 하며, 빨리 이 쓰레기들이 마을에서 사라 졌으면 한다고 한 목소리로 말했다.

 

 야적장 취재까지 마치고 송출을 위해 숙소로 돌아와 보니, 우리의 신발은 오물에 다 젖었고 몸에는 쓰레기 냄새가 진하게 배어있었다. 8시 뉴스에 맞추려면 시간적인 여유 가 없었기 때문에 씻을 틈도 없이 MNG와 현지 인터넷을 이용해 촬영본을 모두 한국으 로 송출했고 무사히 당일 리포트로 보도할 수 있었다.

 

 현지 주민들이 마을 잔치까지 벌일 정도로 자축하며 손 흔들어 떠나보낸 한국산 쓰레기 1,200톤은 3주 동안 태평양을 건너 지난 2월 3일 평택항으로 돌아왔다. 누구의 환영도 받지 못한 씁쓸한 귀향이었다. 환경부와 평택시는 ‘폐기물 소각’ 방침을 밝혔지만, 당장 실현되기는 어렵다고 한다. 불법 수출로 문제를 일으킨 해당 업체가 이 쓰레기에 대 한 ‘재산권’을 갖고 있기 때문이다. 섣불리 소각했다가는 역으로 소송에 휘말릴 우려가 있어 적어도 7월까지는 그대로 방치하는 것 외엔 뾰족한 수가 없다고 한다.

 

 지난해 4월 이른바 ‘재활용 쓰레기 대란’을 시작으로 재활용 쓰레기에 대한 문제가 지속적으로 대두됐고, 이번 필리핀 불법 쓰레기 수출건까지 이어지면서 정부는 2월 중 폐 기물 수출 컨테이너 전수조사, 현장 점검 강화 등의 대책을 발표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앞으로 폐기물에 대한 수출길은 더 좁아질 것이기 때문에 당장의 규제도 중요하지만 쓰레기 배출 자체를 줄일 중장기 대책과 국민들의 노력 없이는 근본적 해법이 되기 어려울 것이다.

 

 

최대웅 / SBS    사진 SBS  최대웅.jpg

 


  1. 태풍 콩레이 영덕 강구면을 할퀴고 가다

    태풍 콩레이 영덕 강구면을 할퀴고 가다 지난 10월 6일 강력한 태풍 콩레이가 한반도에 도착한 후 경남 통영을 지나 경북 영덕에 상륙을 했다. 태풍의 이동 속도가 빨라 짧은 시간에 지나갈 것으로 예측되었지만 그 짧은 시간에 경북 영덕 강구면에는 큰 피해...
    Date2018.12.20 Views455
    Read More
  2. ‘기적의 생환’ 조은누리, 온 국민이 한마음 한뜻으로

    ‘기적의 생환’ 조은누리, 온 국민이 한마음 한뜻으로 ▲ 군ㆍ경찰이 조은누리양을 찾기 위해 수색 작업을 벌이고 있다<사진>. ▲ 지난 7월 23일 충북 청주의 한 야산에서 실종됐다가 열 흘 만에 구조됐던 조은누리 양이 충북대병원으로 이송 되고 있...
    Date2019.09.09 Views455
    Read More
  3. <태풍 취재기> 태풍 취재현장의 생생함과 안전 그리고 그 중간은 어디?

    태풍 취재현장의 생생함과 안전 그리고 그 중간은 어디? ▲ 제17호 태풍‘타파’현장<사진> “위험합니다. 더 떨어지세요!” 지난 9월 22일 제17호 태풍 ‘타파’ 강풍에 주차타워 건물의 외벽 재가 떨어진 상황. 현장 관리자가 ...
    Date2019.11.08 Views457
    Read More
  4. 하노이 회담, 그 기억의 단편

    하노이 회담, 그 기억의 단편 호텔, 양국 정상의 잠자리 북미 2차 정상회담이 예정되었던 날짜보다 2주가량 이르게 베트남 하노이에 도착했다. 도착하자마자 시작한 취재는 정상들의 유력 숙소지, 회담 장소 등이었다. 멜리아, jw메리어트, 메트로폴 하노이, ...
    Date2019.05.08 Views462
    Read More
  5. <10.29참사 취재영상기자 간담회> “참사 당시로 돌아간다면 다시 현장취재 할 수 있을지 의문”…현장기자들, 트라우마 ‘심각’

    <10.29참사 취재영상기자 간담회> “참사 당시로 돌아간다면 다시 현장취재 할 수 있을지 의문”…현장기자들, 트라우마 ‘심각’ 협회 차원의 구체적인 참사 취재 가이드라인 개정·취재트라우마 극복 위한 제도적 지원 필요 10.29 이태원 참사가 발생한 지 두 달이...
    Date2022.12.28 Views464
    Read More
  6. 오늘을 역사로 기록하는’ 영상기자들이 뽑은 2021년 10대뉴스

    ‘오늘을 역사로 기록하는’ 영상기자들이 뽑은 2021년 10대뉴스 코로나19와 싸움 속에서도 새로운 이슈들로 치열했던 2021년의 뉴스현장 한국영상기자협회(회장 나준영)는 지난 12월 15일부터 17일까지 3일간, 전 회원을 대상으로 온라인 투표를 진행해 ‘영상기...
    Date2022.01.07 Views467
    Read More
  7. 긴장과 평화가 공존하는 곳 연평도

    긴장과 평화가 공존하는 곳 연평도 ▲ 연평도에서 북쪽을 주시하면서 취재하는 필자 북한과 가장 가까운 섬 개성 남북연락사무소가 폭파되고 다음 날 선발대로 연평도에 들어갔다. 연평도는 서해 5도 섬 가운데 북한과 가장 가까운 섬이다. 북방한계선(NLL)과는...
    Date2020.09.11 Views468
    Read More
  8. <태풍 취재기> 고글쇼에 대한 단상

    고글쇼에 대한 단상 ▲ 고글은 태풍현장에 안전하지 않았다.<사진> “선배, 그거 뭘까?” 제주총국 보도국에 이상한 놈이 나타났다. 물안경과 비슷하지만 그보다 크고, 스포츠 고글과도 비슷하지만 그것보다 투박하다. 분명한 건 뒤쪽의 밴드를 머리...
    Date2019.11.08 Views471
    Read More
  9. 작년과 달리 봄의 생기가 돌지만, 사람들의 삶은 아직

    작년과 달리 봄의 생기가 돌지만, 사람들의 삶은 아직 ▲ 대구카톨릭대학병원에서 확진자 병동 촬영 준비 중인 필자 (MBN 김형성 기자) 어느새 코로나와 맞는 두 번째 봄. 여전히 하루 300~400명의 확진자가 나오고 KF94 마스크를 쓴 채이지만 기나긴 겨울을 견...
    Date2021.05.06 Views471
    Read More
  10. 청와대 비순방 취재기

    청와대 비순방 취재기 ▲ 금년 6월, 서울 종로구 삼청동 일대에서 청와대 출입기자단 설렘의 첫발 활주로 한가운데 웅장한 대통령 전용기 앞에서 멋진 포즈의 사진이 첨부된 취재기를 협회보에서 종종 봐왔던 터. 해외순방 취재는 영상기자로서 한 번쯤 경험해...
    Date2020.11.18 Views477
    Read More
  11. 카타르 월드컵 2차 예선 한국 vs 투르크메니스탄 (2)

    카타르 월드컵 2차 예선 한국 vs 투르크메니스탄 (2) 우린 서둘러 호텔로 돌아왔다. 편집하고, 최대한 작은 용량의 파일로 만들어 웹하드에 전송할 준비를 마쳤다. 그런데 이게 웬일? 로그인이 되지 않는다. 몇 번을 시도해도 결과는 마찬가지였다. 혹시 모를 ...
    Date2020.01.10 Views483
    Read More
  12. 아시안게임 취재기 - 우당탕탕 Jakarta

    <아시안게임 취재기> 우당탕탕 Jakarta ▶ 자카르타 팔렘방 아시안게임을 취재하는 필자 인도네시안 타임 도착하자마자 불길한 예감은 적중했다. 아시안게임 델리게이트 레인으로 입국심사는 비교적 빠른 시간에 끝났지만, 위탁 수하물을 찾을 때부터 ‘인...
    Date2018.10.19 Views486
    Read More
  13. ‘극한출장, 베트남 2차 북미정상회담’

    ‘극한출장, 베트남 2차 북미정상회담’ ▶ 할롱베이 크루즈 투어 나서기 직전 크르주 안에서 건배를 제의하는 북한 리수 용 노동당부위원장. ▶ 할롱베이 투어를 떠나는 북측고위급대표단. 북측대표단이 할롱베이를 찾았다는 것 은 북한이 관광산업단...
    Date2019.05.08 Views491
    Read More
  14. 한국산‘ 불법 수출 쓰레기’ 필리핀 떠나던 날

    한국산‘ 불법 수출 쓰레기’ 필리핀 떠나던 날 지난 1월 11일, 영상취재팀 캡으로부터 해외출장 준비를 해야겠다는 연락을 받았다. 해외 재난·재해도 없던 때라 출장에 대한 묘한 기대감이 생기기도 했다. 그리고 오래지 않아 알게 된 취재...
    Date2019.03.12 Views497
    Read More
  15. 우리가 아는 ‘팀킴’은 김경두의‘ 킴’이었다

    우리가 아는 ‘팀킴’은 김경두의 ‘킴’이었다 지난 11월 8일, 대구의 한 세미나실의 문을 열었다. 그곳엔 평창 동계 올림픽의 스타‘ 팀킴’이 있었다. 그들은 십 분도 지나지 않아 눈물을 흘렸다. 아마 평창에서 이들을 취재...
    Date2019.01.02 Views503
    Read More
  16. 지하철 승강장에서 탄생한 아기

    지하철 승강장에서 탄생한 아기 “아기가 나와요”....달려온 시민들의 응급조치 ▲ 산모 출산 직전 ▲ 역무원들이 산모를 보호하기 위해 승객들의 접근을 용산역 승강장 앞 계단 손잡이에 몸을 의지하고 차단하고 있다<사진=MBC뉴스 갈무리>. 있는 산...
    Date2020.05.11 Views517
    Read More
  17. 선거, 새로움을 탐하다(1)

    선거, 새로움을 탐하다(1) "6개월 간 대장정, 선거 방송을 준비하며..." 선거 방송기획단으로 발령 작년 11월, 21대 총선 개표 방송을 위한 선거방송기획단으로 발령이 났다. (선거 방송에서 영상 비중이 갈수록 확대됨에 따라 2014년 지방선거 때부터 영상기...
    Date2020.07.02 Views526
    Read More
  18. 세상 열심히 변기를 찍다.

    세상 열심히 변기를 찍다. 국립현대미술관, <마르셀 뒤샹>전 데스크가 내게 취재 일정을 부여하며 던진 한 마디, “내일 2분 분량 정도로 변기를 찍는대… OOO 취재기자 하고 상의해봐”, “네? 변기 촬영만으로’ 2분 리포트를요?&...
    Date2019.03.12 Views534
    Read More
  19. No Image

    <평양 체류기>-KBS 김대원

    Date2015.11.21 Views540
    Read More
  20. [고성 산불 취재기] 고성 산불 그 후

    고성 산불 그 후 ▲ 불에 타 무너져 내린 집을 떠나지 못한 피해주민이 망연자실하고 있다(사진). ▲ 그을린 나무와 잿더미를 뚫고 대나무 죽순이 다시 자라나고 있다(사진). 산림 2천832ha를 잿더미로 만들고, 1천289명의 보금자리를 앗아간 동해안 산불. 현장...
    Date2019.07.01 Views544
    Read More
  21. [고성 산불 취재기] 화마와의 사투

    화마와의 사투 ▲ 지난 4월 강원도 고성군 야산에서 발생한 산불(사진) 그동안 수많은 화재현장을 취재해 봤지만 이처럼 빠르게 번지고 피해지역이 광범위한 경우는 처음이다. 처음 인제에서 실화로 산불이 발발했고, 고성군에서 다른 산불이 또 붙었다. 고온 ...
    Date2019.07.01 Views549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18 Next
/ 18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