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회 수 39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인쇄 첨부

나열하려는

욕망의 바닥

 

 

 하루 중 일어나는 수많은 사건에 우선순위를 매기는 일은 아무나 할 수 없는, 난도 높은 일이다. 어떤 사건이 뉴스 가치가 높은가? 누가 혹은 누구의 말이 오늘 더 집중 조명될 필요가 있는가? 이 질문에 대한 해답은 개인마다 천차만별이고 대중이 이에 어떻게 반응할지 헤아리는 것도 사실상 불가능에 가깝다.

 

 선택에는 위험이 따른다. 선택은 모험이다. 그것은 마치 룰렛 게임과도 같다. 이른바 백화점식의 ‘나열 뉴스’는 선택의 이러한 위험성을 제거한다. 위험하지 않다는 것. 그것은 업자들에게 다분히 매력적이다. 나열은 안정을 추구한다. 거기엔 모험이나 살을 베는 평가가 없다. 보기 좋게 나열된 사건들의 천국에서는 그 누구도 하나 혹은 둘을 선택하는 위험을 무릅쓰지 않는다.

 

 나열 뉴스에서 문제는 오직 어떤 순서로 나열하는가에 있을 뿐이다. 먼저가 있고 나중이 있을 뿐이다. 순서(어느 꼭지가 먼저, 어느 꼭지가 나중), 결핍(어느 꼭지가, 어느 장면이 빠졌는가), 추가(어느 것이 더 들어갔는가). 이것이 나열 뉴스가 다름을 흉내 내는 도구들이다.

 

 나열은 점점 더 촘촘한 나열을 추구한다. 사건을 나열하고 종국에는 한 커트 안에서도 나열을 시도한다. 뉴스업자들이 흔히 사용하는 화면의 3분할, 4분할도 나열하려는 욕망을 반영한다. 하나의 화면조차 나열의 효율적 공간으로 배분되어야 한다. 한 꼭지엔 여러 화면이 담기고, 나아가 자막과 그래픽 등 까지 담겨야 한다. 나열이란 질서 안에서 몇 개가 더 나열되었는가 하는 것은 문제가 되지 않는다.
 

헬리캠 : 더 많이 보여주려는 욕망
 

 나열은 취재 방식과 긴밀하게 연결된다. 어느 곳에나 카메라가 존재하는 것. 그것이 나열 뉴스의 카메라가 일하는 방식이다. 10개의 카메라보다는 100개의 카메라가 낫다. 두 군데의 포인트보다 네 군데의 포인트가 더 심혈을 기울인 증거가 된다. 중요한 일, 강조하고 싶은 것일수록 더 많은 카메라가 동원된다. 누가 더 다양한 장면을 포착했는가? 누가 가장 희소한 영상을 소유하고 있는가? 이 게임은 영상기자들의 과중한 노동을 당연시할 뿐만 아니라 찬양한다. 누가 더 깊이 갔는가, 가 아니라 누가 더 넓게 퍼졌는가, 가 중요해진다.

 

 헬리캠 영상은 더 높게, 더 넓게, 더 많이 보여주려는 욕망을 반영한다. 우리 중 누구도 헬리캠 영상이 거기 왜 필요한지 제대로 설명하지 못한다. 도로, 인파, 대자연, 어디든 헬리캠을 띄운다.

 

 새의 시선은 인간의 관점에서 괴이하다. 인간은 새의 시선을 얻기 위해 산, 높은 구조물 등의 위에 올라가거나 비행기를 타야 했다. 하지만 이제는 손쉽게 새의 시선을 얻는다.

 

 우리 눈에 익숙하지 않기에 더 아름답고 더 경이롭게 느껴진다. 그것은 수많은 요소를 일시에 나열하고 있기 때문이다. 헬리캠은 더 넓게, 더 많은 것을 담고자 하는 욕망을 반영한다. 이것은 나열 뉴스의 끝판왕이다.

 

 

김정은 / 편집장    3447be21a91babf88bb372975282bc85.jpg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조회 수
<영상보도가이드라인> 지키지 않을 이유가 없다 file 2024.05.08 112
[프레임 밖에서] 39년 동안 화성에서 산 우주인 _ ‘오펜하이머’와 상관없는 노래 file 2023.08.31 113
건강을 위해 하루 자전거 한알 file 2023.11.15 123
[프레임 밖에서] 어떤 상황에도 "카메라를 멈추면 안 돼!" file 2023.11.15 131
영상기자, 한국과 국제사회에 대한 이해를 넓히게 된 행복한 시간 file 2023.12.21 131
기후변화로 달라진 기상 재난 현장. 우리는 얼마나 준비되어 있나? file 2023.08.31 158
평범한 일상과 업무 속에서 새로운 문제의식을 찾아가는 것의 중요성 file 2023.12.21 164
여름 휴가에 가서 세네카를 만나자 file 2023.06.28 165
체르노빌의 기자들을 잊지 않은 한국에 감사 file 2023.12.21 167
[뉴스VIEW] 진실을 가짜로 만드는 무소불위의 힘은 누구인가 file 2023.08.31 173
우리가 찾던 ‘저항의 언어’ file 2023.06.28 174
내가 사랑한 영화 '냉정과 열정사이' file 2023.12.20 178
취재를 잊은 언론, 진실을 숨긴 언론 file 2023.12.21 191
영상을 통한 공감과 연결, 더 나은 미래의 모색 file 2023.06.29 193
[뉴스VIEW] 졸속과 파행의 공영방송 공격 file 2023.06.29 206
박수칠 때 떠나자: 한국 언론의 국제뉴스의 자립 선언 file 2023.06.29 209
민주주의를 위한 벨라루스의 투쟁과 한국의 힌츠페터 국제보도상 file 2023.06.29 220
‘불특정 그룹 샷의 난민사진을 본 사람들, 반난민정책 더 선호’ file 2023.08.31 240
길(路)의 재발견 file 2020.11.17 245
부동산 정책? 건강한 인식(認識)이 먼저 file 2020.09.15 258
전에 없던 새로움을 탐하다 ② file 2020.09.15 260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Next
/ 11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