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회 수 351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인쇄 첨부

나열하려는

욕망의 바닥

 

 

 하루 중 일어나는 수많은 사건에 우선순위를 매기는 일은 아무나 할 수 없는, 난도 높은 일이다. 어떤 사건이 뉴스 가치가 높은가? 누가 혹은 누구의 말이 오늘 더 집중 조명될 필요가 있는가? 이 질문에 대한 해답은 개인마다 천차만별이고 대중이 이에 어떻게 반응할지 헤아리는 것도 사실상 불가능에 가깝다.

 

 선택에는 위험이 따른다. 선택은 모험이다. 그것은 마치 룰렛 게임과도 같다. 이른바 백화점식의 ‘나열 뉴스’는 선택의 이러한 위험성을 제거한다. 위험하지 않다는 것. 그것은 업자들에게 다분히 매력적이다. 나열은 안정을 추구한다. 거기엔 모험이나 살을 베는 평가가 없다. 보기 좋게 나열된 사건들의 천국에서는 그 누구도 하나 혹은 둘을 선택하는 위험을 무릅쓰지 않는다.

 

 나열 뉴스에서 문제는 오직 어떤 순서로 나열하는가에 있을 뿐이다. 먼저가 있고 나중이 있을 뿐이다. 순서(어느 꼭지가 먼저, 어느 꼭지가 나중), 결핍(어느 꼭지가, 어느 장면이 빠졌는가), 추가(어느 것이 더 들어갔는가). 이것이 나열 뉴스가 다름을 흉내 내는 도구들이다.

 

 나열은 점점 더 촘촘한 나열을 추구한다. 사건을 나열하고 종국에는 한 커트 안에서도 나열을 시도한다. 뉴스업자들이 흔히 사용하는 화면의 3분할, 4분할도 나열하려는 욕망을 반영한다. 하나의 화면조차 나열의 효율적 공간으로 배분되어야 한다. 한 꼭지엔 여러 화면이 담기고, 나아가 자막과 그래픽 등 까지 담겨야 한다. 나열이란 질서 안에서 몇 개가 더 나열되었는가 하는 것은 문제가 되지 않는다.
 

헬리캠 : 더 많이 보여주려는 욕망
 

 나열은 취재 방식과 긴밀하게 연결된다. 어느 곳에나 카메라가 존재하는 것. 그것이 나열 뉴스의 카메라가 일하는 방식이다. 10개의 카메라보다는 100개의 카메라가 낫다. 두 군데의 포인트보다 네 군데의 포인트가 더 심혈을 기울인 증거가 된다. 중요한 일, 강조하고 싶은 것일수록 더 많은 카메라가 동원된다. 누가 더 다양한 장면을 포착했는가? 누가 가장 희소한 영상을 소유하고 있는가? 이 게임은 영상기자들의 과중한 노동을 당연시할 뿐만 아니라 찬양한다. 누가 더 깊이 갔는가, 가 아니라 누가 더 넓게 퍼졌는가, 가 중요해진다.

 

 헬리캠 영상은 더 높게, 더 넓게, 더 많이 보여주려는 욕망을 반영한다. 우리 중 누구도 헬리캠 영상이 거기 왜 필요한지 제대로 설명하지 못한다. 도로, 인파, 대자연, 어디든 헬리캠을 띄운다.

 

 새의 시선은 인간의 관점에서 괴이하다. 인간은 새의 시선을 얻기 위해 산, 높은 구조물 등의 위에 올라가거나 비행기를 타야 했다. 하지만 이제는 손쉽게 새의 시선을 얻는다.

 

 우리 눈에 익숙하지 않기에 더 아름답고 더 경이롭게 느껴진다. 그것은 수많은 요소를 일시에 나열하고 있기 때문이다. 헬리캠은 더 넓게, 더 많은 것을 담고자 하는 욕망을 반영한다. 이것은 나열 뉴스의 끝판왕이다.

 

 

김정은 / 편집장    3447be21a91babf88bb372975282bc85.jpg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조회 수
병아리 깃털과 초콜릿 상자 file 2020.11.17 390
방종혁의 씨네노트 - 사극의 두 얼굴, 허구와 실화 '군도-민란의 시대' VS '명량' file 2014.08.14 3335
방종혁의 시네노트 - 흑백으로 되살린 전쟁범죄의 기억-『지슬』 file 2013.06.04 3435
방송환경의 변화에 영상기자들의 변화 file 2018.01.10 717
박주영의 세상보기 - 역경은 창조주가 준 선물 file 2014.03.21 2159
박수칠 때 떠나자: 한국 언론의 국제뉴스의 자립 선언 file 2023.06.29 158
민주주의를 위한 벨라루스의 투쟁과 한국의 힌츠페터 국제보도상 file 2023.06.29 158
미디어의 속도와 책무감에 대해서 file 2018.12.19 541
미디어 풍요시대, 필요한 건 미디어리터러시 교육 file 2021.07.06 375
무선마이크 900Mhz 전환기 file 2021.01.07 1171
무분별한 운영, 드론의 위험성 file 2019.09.09 446
마스크가 바꾼 2020년 취재현장 file 2021.01.08 406
디지털 경험을 통해 새롭게 보이는 것들 file 2020.01.08 243
드론의 구체적인 제도화가 필요하다 file 2017.08.30 579
드라마는 감독의 작품인가 file 2020.03.11 319
도심 속 고궁 산책 file 2020.11.17 244
데이터 저널리즘과 영상 file 2021.01.08 261
다양한 경험, 재치 그리고 순발력 뉴미디어 콘텐츠 만드는 데 밑거름 file 2021.01.08 431
다시 찾아온 기회 그리고 설렘 file 2019.05.08 305
다기능 멀티플레이어가 요구되는 시대 file 2017.07.21 689
다가오는 '본격' 지방자치시대 지역방송사, 무엇부터 준비해야 하나? file 2018.01.10 642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Next
/ 11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