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회 수 46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인쇄 첨부

다름과 깊이가 있는 뉴스

 

 

  나열 뉴스는 독재 시대의 욕망을 반영한다. 독재 사회에서 뉴스는 특권과 긴밀하게 연결돼 있다. 특권을 지속시키기 위해 뉴스는 깊이 들어갈 수 없다. 독재 사회에서 뉴스는 깊이 들어가는 순간 그들(언론)이 가진 특권을 잃는다. 역설적으로 특권을 유지하기 위해 그들 스스로 깊이 들어가지 않는다. 거기엔 무의미한 나열, 맹목적인 외침만이 있을 뿐이다. 독재 사회에서는 뉴스도 영화도 단지 나열에 불과하다. 거기엔 깊이와 다양성이 결여돼 있다.

 

 현대사회 대부분의 영화들은 스스로 나열되기를 원하지 않는다. 빌리엘리어트에서 빌리는 흰 옷을 입은 소녀들 사이에서 유일하게 청색 반바지를 입은 남자아이다. 시작부터 끝까지 빌리는 그 안에 등장하는 소녀들, 심지어 영화 속 다른 남자들과도 다르다. 영화 속에서 춤을 추는 다른 소녀들은 주목받지 못한다. 그녀들은 같은 옷을 입고 같은 동작을 반복하며 같은 표정을 짓기 때문이다.

 

  대한민국 모든 언론사들이 앵커의 얼굴, 목소리, 뉴스 세트, 정장의 색 등에 변화를 주지만 거기엔 다름이 없다. 다른 앵커, 다른 세트, 다른 옷은 이미 동어 반복의 우리 안에 갇혀 있다.

 

 그들의 열띤 나열에는 다름이 없다. 나열하는 뉴스에는 본디 시선과 시각, 주관성과 철학이 있을 수 없다. 개별자의 생각, 날카로운 시선이 결여되어 뉴스는 밍밍한 맛을 낼 뿐이다. 다름이란 치열한 자기 깎기의 결과물이다. 달라지기 위해 하나의 대상을 치열하게 깎고 또 깎아야 한다. 나열의 형식은 본디 개별자의 이러한 깎는 수고를 덜어준다. 나열은 깎는 것이 아니라 반대로 충실하게 더하는 일이다. 더함으로써 날카로움을 잃는 대신 안전함, 즉 위험성으로부터의 해방을 얻는다.

 

 나열 뉴스에서, 경쟁이란 무엇이 빠졌는가만을 말한다. 만약 다른 데는 AB를 가지고 있는데 내가 A만 가지고 있다면 그것은 내가 경쟁에서 패배한 것이다. 나는 왜 B를 가지지 못했는가? 기자들이 흔히 쓰는 물 먹었다는 표현은 자기 수중에 B가 없기에 오늘 충실한 나열에 실패했다는 것을 의미한다.

 

  나열의 게임에서 재미를 보는 것은 역설적으로 자기 자신, 바로 언론뿐이다. 내가 왜 이 채널을 보는가? 채널을 선택한 수용자(시청자)에게는 실익이 없다. 어느 채널이든 뉴스를 지켜보는 것 자체가 악몽이다. 수용자들은 어디를 둘러봐도 같은 풍경만이 펼쳐지는 끔찍한 동화의 주인공이 되어야만 한다.

 

 서점은 다름의 천국이다. 다양성이야말로 서점의 생명이다. 한 주제, 한 영역, 하나의 사건에 대해 보는 이마다 다른 이야기를 풀어놓았기에 손님에게 선택의 재미가 생긴다. 대한민국 뉴스는 다름이 없기에 손님의 발길이 끊겼다.

 

 대한민국 뉴스엔 무엇보다 깊이가 결여돼 있다. 깊이 들어가는 것은 모두 날카로운 것이다. 깊이 들어가기 위해서는 끝을 날카롭게 다듬어야 한다. 뭉뚝한 것은 표면 위에서 깨지고 부서진다. 성역이란, 표면에서 깨어지고 부서질 뿐 그 안으로 깊이 들어갈 수 없는 장소다. 성역은 날카로움이 없는 공간, 즉 선진국보다는 후진국, 민주화가 덜 된 사회, 부패한 국가, 봉건적인 조직에 더 자유롭게 자리한다. 성역이란 언제나 날카로움이 없는 언론과 한 쌍이다. 성역이 굳건한 곳마다 반드시 창끝이 무딘 언론이 있기 마련이다. 언론의 창끝이 뭉뚝해서 그저 표면 위에서 적당히 깨지고 적당히 부서지기 때문에 성역은 유지된다.

 

  AB, C 중에 무엇이 있고 무엇이 없는가가 아니라 A1, A2, A3... 혹은 A’, A”, A’”로 나아가기 위해서는 역설적으로 BC가 없어야 한다. BC는 더 깊이 들어가야만 하는 A를 위해 제거되어야 한다. 이것은 나열의 경쟁보다 훨씬 위험하다. 나열하지 않았기 때문에 남이 가지고 있는 것이 나에게 없기 때문이다. 그러나 정반대로 수용자들은 즐거움과 행복을 되찾게 된다. 거기엔 다름이 있고 깊이가 있기 때문이다.

 

 

김정은 / 편집장    김정은.jpg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조회 수
병아리 깃털과 초콜릿 상자 file 2020.11.17 388
방종혁의 씨네노트 - 사극의 두 얼굴, 허구와 실화 '군도-민란의 시대' VS '명량' file 2014.08.14 3334
방종혁의 시네노트 - 흑백으로 되살린 전쟁범죄의 기억-『지슬』 file 2013.06.04 3434
방송환경의 변화에 영상기자들의 변화 file 2018.01.10 715
박주영의 세상보기 - 역경은 창조주가 준 선물 file 2014.03.21 2159
박수칠 때 떠나자: 한국 언론의 국제뉴스의 자립 선언 file 2023.06.29 157
민주주의를 위한 벨라루스의 투쟁과 한국의 힌츠페터 국제보도상 file 2023.06.29 158
미디어의 속도와 책무감에 대해서 file 2018.12.19 539
미디어 풍요시대, 필요한 건 미디어리터러시 교육 file 2021.07.06 372
무선마이크 900Mhz 전환기 file 2021.01.07 1169
무분별한 운영, 드론의 위험성 file 2019.09.09 446
마스크가 바꾼 2020년 취재현장 file 2021.01.08 406
디지털 경험을 통해 새롭게 보이는 것들 file 2020.01.08 241
드론의 구체적인 제도화가 필요하다 file 2017.08.30 578
드라마는 감독의 작품인가 file 2020.03.11 318
도심 속 고궁 산책 file 2020.11.17 243
데이터 저널리즘과 영상 file 2021.01.08 258
다양한 경험, 재치 그리고 순발력 뉴미디어 콘텐츠 만드는 데 밑거름 file 2021.01.08 427
다시 찾아온 기회 그리고 설렘 file 2019.05.08 303
다기능 멀티플레이어가 요구되는 시대 file 2017.07.21 685
다가오는 '본격' 지방자치시대 지역방송사, 무엇부터 준비해야 하나? file 2018.01.10 640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Next
/ 11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