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09.09 16:54

TV, 올드미디어일까?

조회 수 318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인쇄 첨부

TV, 올드미디어일까?

 

 

 역사적인 사건의 현장에 서는 순간마다 내가 영상기자가 된 것을 실감한다. 대중의 관심을 받는 사건의 현장마다 취재진이 몰려든다. 빼곡히 채워진 포토라인, 그 사이에 서 있을 때면 긴장감을 느낀다. 동시에 내가 영상기자란 것, 역사의 현장을 기록하고 있다는 것도.

 

 전두환이 광주에서 재판을 받기 위해 광주로 향하던 날. 나는 아침부터 전두환 자택 앞에 있었다. 하지만 당사자인 전두환 씨는 이미 집을 나서고 없는 상태였다. 

 

 전두환을 옹호하는 보수 유튜버들이 취재진에 시비를 걸었다.

 ‘있는 사실 그대도 보도하세요.’

 ‘편집하지 마세요.’

 ‘너희는 올드미디어, 우리는 뉴미디어!’

 

 그 광경에 적잖이 충격을 받았다. 냉소적인 말이긴 해도 그냥 넘기기는 쉽지 않았다. 편집과 사실 보도가 무슨 관계가 있을까? 우린 올드미디어가 맞는가?

 

 입사 후에 당황스러웠던 몇몇 순간들이 있었다. 그중 하나는 증거품 스케치. 증거품을 만지고 던지고 하며 촬영하는 풍경이 나에게는 적잖이 당황스러웠다. 대상을 있는 그대로 보여준다는 것은 어떻게 가능한가? 현장에서는 사람들에게 무언가 액션을 요구하거나 소위 그림을 만들어야 하는 상황이 종종 있다. 나아가 현장은 보여줄 것이라곤 전혀 없는 경우도 허다하다. 그런 상황에서 사실을 보여주어야 하는 몫은 오롯이 영상기자 책임이다. 그렇다면 내가 하는 행위는 조작일까? 윤리적으로는 아무런 문제가 없을까?

 

 액체로 된 증거품을 그대로 놓고 찍어서는 액체의 물질적 특성을 전달할 수가 없다. 에어컨 실외기 취재를 하면서 단순히 에어컨 실외기를 보여주는 것만으로는 실외기의 뜨거운 바람을 느끼게 할 수가 없다. 액체를 흔들어보거나 어딘가에 따라 보여 주어야 액체의 물성을 전달할 수 있다. 에어컨 실외기의 뜨거운 바람 앞에 휴지라도 대 봐야 실외기의 뜨거운 바람을 느끼게 할 수 있다. 그런 액션이나 상황 설정은 과장이나 거짓, 혹은 왜곡인가?

 

 보수 유튜버들이 말 중에서도 귀담아들어야 할 게 있다. 사실과 진실을 영상으로 제시할 의무가 내게 있기 때문이다. 영원한 숙제다. 여전히 많은 질문이 미해결 상태다. 편집을 거의 거치지 않고 보여주는 것은 사실 전달에 충실한 방법일까? 사실과 진실 전달에 가장 부응하는 편집은 어떤 걸까? 자극적으로 사고 현장을 그대로 보여주는 것은 어디까지 온당한가?

 

 초상권과 재산권 등 개인의 권리가 높아져 이제는 현장에서 챙겨야 할 것들이 한둘이 아니다. 촬영하면서 이런저런 요건을 모두 고려하는 것은 어렵지만 피해서는 안 된다. 시대는 변했다. 업무 수행 과정에서 까다로워진 것이 많지만 우린 시민들의 권리를 지켜줄 의무가 있다. 90년대 카메라 출동과 같이 유치장에 있는 사람이나 무단 횡단하는 사람을 여과 없이 보여줄 수 있는 시대는 분명 끝난 것이다.

 

 새로운 매체의 등장으로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다. 방송이 올드미디어가 되느냐 마느냐는 우리 하기에 달렸다. 과거보다 더 치밀하고 치열한 노력이 필요하다.

 

 

이동학 / MBN    이동학.jpg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조회 수
이미지와 권력 Image and Power file 2018.04.27 905
공정보도와 보도영상조직의 역할 file 2018.04.27 704
그들은 왜 조용필을 불렀나 file 2018.04.27 1335
‘제31회 한국방송카메라기자협회 시상식’ 축사 file 2018.04.05 568
조용필 평양공연 지켜지지 않은 합의서 file 2018.04.05 628
특별기고 한반도 주변 불안정과 달러 위기의 연관성 file 2018.03.15 739
다가오는 '본격' 지방자치시대 지역방송사, 무엇부터 준비해야 하나? file 2018.01.10 686
방송환경의 변화에 영상기자들의 변화 file 2018.01.10 757
일곱 번의 연기 끝에 성사된 '조용필 평양공연' file 2018.01.10 1461
국제정세를 어떻게 읽을 것인가 file 2018.01.10 83912
故 MBC 김경철 기자 10주기 추모글 file 2018.01.10 715
특별기고- 공영방송 지배구조를 위해 file 2017.11.04 674
한국 미디어가 주시해야 하는 ‘소리 없는 세계통화전쟁’ file 2017.11.04 637
북한 개성 방문기 file 2017.11.04 893
필사는 창작의 왕도 file 2017.11.04 651
수중 촬영에서 피사체를 쉽게 찍을 수 없을까 file 2017.11.04 565
아시아·태평양전쟁에 있어서 원자폭탄의 정치·군사적 함의 file 2017.08.30 631
드론의 구체적인 제도화가 필요하다 file 2017.08.30 606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에 대한 한일 합의의 문제점과 해결의 길 file 2017.07.21 996
‘가짜 단독’을 없애기 위한 우리의 ‘진짜 노력’ file 2017.07.21 640
다기능 멀티플레이어가 요구되는 시대 file 2017.07.21 742
Board Pagination Prev 1 ... 2 3 4 5 6 7 8 9 10 11 Next
/ 11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