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회 수 464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2019 수중촬영

업그레이드교육 보고서

 

 

2019 수중촬영 업그레이드교육 보고서(사진).jpg

▲ 수중촬영 업그레이드 교육이 지난 9월 23일부터 27일까지 제주도 서귀포에서 있었다.

 

 2017년 여름, 스쿠버다이빙 교육을 위해 필리핀 바닷속을 처음 경험했다. 그리고 어느새 2년이 지났다. 같이 갈 버디가 없다, 시간이 없다 등의 핑계로 자격증을 취득한 뒤로 바닷속에 단 한 번도 들어가지 않았다. 다이빙 스케줄을 몇 번 알아보기는 했지만 실행에 옮기는 데까지는 나아가지 못했다. 

 

 그러던 중 지난 9월 23일부터 수중촬영 업그레이드 교육에 참가하게 됐다. 내게는 2년 전 처음 교육받을 당시의 마음가짐으로 돌아갈 찬스이기도 했다. 교육은 크게 오픈워터, 어드밴스드, 심화촬영교육 3가지로 나뉘었다. 당연히 수중촬영 교육을 먼저 듣고 싶었지만 그러기에는 내 레벨이 따라주지 않았다. 일단 수중에서 자유롭게 다니는 것이 먼저다. 그것이 되어야 카메라를 들 수 있을 것이다.

 

 오랜만에 입어보는 슈트와 BCD를 보니 욕심이 샘솟았다. 이번에 기회가 온 만큼 부력만큼은 제대로 잡아서 수중촬영의 ‘ㅊ’이라도 꺼낼 수 있게 만들어 보자, 하고 나는 결심했다. 풀장 내에서는 부력 잡는 연습에 매진했다. 하지만 (이전 오픈워터 교육을 받았을 때도 느낀 것인지만) 풀장에서 부력을 잡는 것은 사실 가장 힘든 과정에 속한다. 수심이 깊지가 않기 때문에 조금만 올라가도 수면 위로 뜨고, 호흡을 한 번만 잘못해도 금방 수위 조절에 실패하고 오르락내리락하게 된다.

 

 이튿날. 제주 바다에서의 실전 연습. 제주 바다는 이전에 경험했던 필리핀 바다와는 전혀 달랐다. 시야나 수중환경이 다르다는 말은 이전부터 많이 들어오던 터였다. 하지만 바닷속에 직접 들어가 몸으로 부딪쳐 보니 실상은 내 예상을 훨씬 뛰어넘는 것이었다. 조금 과장하면, 둘은 전혀 다른 세상이라고 할 정도였다.

 

 필리핀 바다는 정적이고 안정적인 데 반해 제주의 바다는 다이내믹하고 역동적이며 변화무쌍했다. 인파로 치면 변수가 적은 시사회나 콘서트장이 필리핀의 바다 환경이다. 반면 촛불집회 같은 집회 현장은 제주의 바다다. 실제로 국내 수중 촬영을 감안한다면 필리핀 바다는 내 업무와 거리가 먼 환경이라고 할 수 있으리라. 한강 같은 민물이나 서해, 동해처럼 시야 확보가 어려운 수중 환경이 훨씬 많은 것이다. 나의 주된 취재 무대가 결국 제주 바다 같은 환경일 것이기에 나에게는 오히려 도움이 된다. 그런 마음으로 최대한 더 적응하고 감각을 익힐 수 있도록 안간힘을 쏟았다. 숲섬에서 다이빙을 하며 심화 촬영 교육을 받는 선배들을 지켜봤는데 내 쪽과는 분위기가 사뭇 달랐다. 안정 정지하는 동안에도 카메라를 잡으며 계속 부력 유지와 촬영테크닉을 익히는 모습이 인상적이었다. 수중하우징 장비와 조명의 무게도 상당한데 부력을 유지하며 촬영을 하는 모습을 보니 내가 지금 부력을 제대로 잡는다고 해도 장비 운용을 정상적으로 할 수 있을까 하는 의문이 들었다.

 

 오픈워터 교육에 참여한 몇몇 사람들이 고프로를 착용하고 수중에서 촬영을 시도했다. 결과물 퀄리티는 생각보다 괜찮았다. 조명을 쓰고 미세한 조정이 가능한 수중촬영 장비의 결과물과 비교하는 것은 무리지만. 고프로와 같은 액션캠의 발달은 조도가 부족한 상황을 보완해 주고 스태빌라이저 기능 발달로 움직임도 한결 부드러워졌다. 심지어 한 손에 액션캠, 한 손에 손전등을 들고 촬영한다면 조명 문제도 어느 정도는 보완할 수 있을 정도로. 장비보다 중요한 것은 스쿠버라는 생각이 들었다. 핵심은 스쿠버 개인의 능력이다. 난 이제 막 스쿠버에 대한 걸음마를 뗀 것에 불과하다. 지식과 경험을 더 쌓아야 한다. 그전에 펀 다이빙을 통해 이번 교육을 통해 익힌 감각을 유지하는 문제가 남았다. 내 노력이 필요한 부분이다.

 

 4박 5일 동안 원활하고 안전한 교육을 위해 도움을 주신 한국언론진흥재단과 여러 강사님께 감사드린다.

 

 

김용우 / SBS    SBS김용우 증명사진.png

 


  1. 협회, 오는 9월부터 '2020 영상보도 가이드라인' 교육 실시

    협회, 오는 9월부터 '2020 영상보도 가이드라인' 교육 실시 ▲ 지난해 12월 10일과 11일 서울 상암동 MBC 골든마우스홀에서 영상기자, 영상 편집자 등 방송 관련 종사자들을 대상으로 '영상보도 가이드라인 교육'을 실시했다<사진> 한국영상기자협회(이하 협회)...
    Date2020.07.03 Views462
    Read More
  2. 협회, 영상기자 연수교육 실시

    협회, 영상기자 연수교육 실시 ▶ 2019 영상기자 연수교육 실시 한국영상기자협회는 한국언론진흥재단 후원으로 지난 4월 12일에서 13일까지 1박 2일간 충남 공주시 사곡면 한국문화연수원에서 영상기자 연수교육을 실시했다. 이번 교육에는 디지털 방송 환경의...
    Date2019.05.08 Views555
    Read More
  3. 협회, 에디우스 편집교육 마쳐

    협회, 에디우스 편집교육 마쳐 한국방송카메라기자협회는 한국언론진흥재단의 후원으로 지난 7월 28일부터 8월 12일까지 매주 주말을 이용해 목동 한국방송회관 15층 한국방송카메라기자협회에서 편집 교육을 실시했다. 이번 교육은 최기홍 전 KBS뉴스혁신팀장...
    Date2018.10.19 Views443
    Read More
  4. 협회, 드론 저널리즘 교육 실시

    협회, 드론 저널리즘 교육 실시 ▲ 지난 12월 4일부터 5일까지 한국언론진흥재단 교육센터에서 ‘디지털저널리즘 아카데미 드론 저널리즘 교육’을 실시했다. 한국영상기자협회는 한국언론진흥재단의 후원으로 지난 12월 4일부터 5일까지 이틀간 한국프레스센터 1...
    Date2020.01.10 Views511
    Read More
  5. 협회, UHD & Mobile 디지털 영상편집 교육 실시

    협회, UHD & Mobile 디지털 영상편집 교육 실시 ▲ UHD & Mobile 디지털 영상편집 교육(사진) 한국영상기자협회 (회장 한원상)는 한국언론진흥재단의 후원으로 목동 한국방송회관 15층 강의실에서 주말을 이용해 지난 6월 1일부터 2일까지 <UHD & M...
    Date2019.07.02 Views525
    Read More
  6. No Image

    협회, 11월 30일 전국신입주니어영상기자 연수 실시

    협회, 11월 30일 전국신입주니어영상기자 연수 실시 - 입사 1년 차에서 3년 차 이내 영상기자 대상 - 영상저널리즘 전반에 대한 교육 및 멘토와 조별대화활동 진행 예정  협회는 ‘전국신입주니어영상기자연수’를 오는 11월 30일(목)부터 12월 2일(토)까지 2...
    Date2023.11.15 Views64
    Read More
  7. 현장영상기자들의 고민과 변화의 노력들을 직접 만나고 이야기한 기회

    <2022 전국회원연수 참가기> 현장영상기자들의 고민과 변화의 노력들을 직접 만나고 이야기한 기회  전국회원연수 2박 3일의 시간은 제가 일하고 있는 제주도를 넘어 전국의 선배, 후배 기자 분들과 함께 다양한 지식을 얻고 영상기자의 현재와 미래를 고민...
    Date2022.08.31 Views211
    Read More
  8. No Image

    평생 영상기자로 의지하고 힘이 될 수 인연들과의 만남

    평생 영상기자로 의지하고 힘이 될 수 있는 인연들과의 만남 영상기자로서 어떻게 살아갈 것인가를 고민한 시간 지난 12월 9일부터 11일까지 2박 3일간 진행되었던 연수는 많은 것을 얻을 수 있는 기회였다. 선배님들의 경험담과 조언, 취재현장에서 실질적으...
    Date2022.01.07 Views149
    Read More
  9. No Image

    특강을 통해 알게된 영상기자

    <오늘을 역사로 기록하는 영상기자> 전국대학생특강 참여기 특강을 통해 알게된 영상기자  2023년 5월 30일, 한국외국어대학교 사이버관 소강당에서 한국영상기자협회 주관으로 영상기자 설명회가 열렸습니다. 본 직업에 대한 개괄적인 소개 및 실무, 취업 ...
    Date2023.06.29 Views61
    Read More
  10. 트라우마 탈출

    트라우마 탈출 ▲ 2019 수중촬영 업그레이드교육(제주도 서귀포) 어릴 적 바닷가에 놀러 가서 파도에 휩쓸려 죽을 뻔한 기억이 있다. 그 이후엔 바닷물에 발도 담그지 않았다. 그냥 모래사장에서 멀찌감치 바라만 볼 뿐. 내게는 바다에 대한 트라우마가 있었던 ...
    Date2019.11.05 Views359
    Read More
  11. No Image

    초상권 세미나 미니중계 2편(JTV 전주방송)

    강력범죄 피의자의 초상권과 인권에 관한 세미나 본 협회 주최로 지난 4월 3일 이루어진 초상권 관련 세미나를 JTV 전주방송에서 취재하여 이틀에 걸쳐 방송하였습니다. 시청자가 알기쉽도록 자료화면을 곁들여 재구성하였습니다. 본 내용은 제2편 입니다. 제...
    Date2009.04.30 Views4946
    Read More
  12. No Image

    초상권 세미나 미니중계 1편(JTV 전주방송)

    강력범죄 피의자의 초상권과 인권에 관한 세미나 본 협회 주최로 지난 4월 3일 이루어진 초상권 관련 세미나를 JTV 전주방송에서 취재하여 이틀에 걸쳐 방송하였습니다. 시청자가 알기쉽도록 자료화면을 곁들여 재구성하였습니다. 본 내용은 제1편 입니다. 제...
    Date2009.04.30 Views4991
    Read More
  13. 챗GPT, 바드(BARD), 큐(CUE)가 만든 영상, 뉴스에 사용해도 되나?

    챗GPT, 바드(BARD), 큐(CUE)가 만든 영상, 뉴스에 사용해도 되나? - 협회, ‘AI저널리즘의 미래와 취재제작윤리’세미나 개최 - 세미나에서 다뤄진 문제들, 내년도 <영상보도가이드라인>개정작업에 적극 반영예정 ▲ 지난 7월 6일 제주에서 열린 <뉴스소재개발회...
    Date2023.11.15 Views59
    Read More
  14. 지역 카메라기자를 위한 HD 뉴스제작 시스템 교육자료 (SBS 태양식)

    'HD net-work 워크플로어'에 관한 연구
    Date2009.11.26 Views5975
    Read More
  15. 지역 카메라기자를 위한 HD 뉴스제작 시스템 교육자료 (KBS 정민욱)'NLE활용'

    뉴스제작과 NLE의 활용
    Date2009.11.26 Views5929
    Read More
  16. 지역 카메라기자를 위한 HD 뉴스제작 시스템 교육자료 (KBS 정민욱)

    SONY XDCAM 블루레이 방식 HD 카메라의특성
    Date2009.11.26 Views5848
    Read More
  17. 지역 카메라기자를 위한 HD 뉴스제작 시스템 교육

    한국방송카메라기자협회(회장 양용철)는 지역 방송사 카메라기자의 직무 능력 향상을 위하여 HD카메라의 장단점 비교 분석, HD 뉴스제작 시스템 분석, 지역사의 HD 방송장비 현황, NLE 편집기의 활용에 관한 강의가 진행되었다. 이번 교육은 지역 카메라기자...
    Date2009.11.25 Views5617
    Read More
  18. 제2회 영상저널리즘스쿨 개최

    제2회 영상저널리즘스쿨 개최 한국방송카메라기자협회(회장 이중우)가 주최하고 삼아GVC(대표 인기환)가 후원한 제2회 영상저널리즘스쿨이 지난달 17일,18일 이틀에 걸쳐 중앙대학교에서 성황리에 개최됐다. 2012년과 올해에 이어 두 번째로 개최된 영상저널...
    Date2014.03.20 Views4149
    Read More
  19. 제1회 힌츠페터 국제보도상

    한국영상기자협회는 5·18기념재단과 함께 지난 10월 27일 한국방송회관 2층 코바코홀에서 제1회 힌츠페터 국제보도상을 개최했다. 힌츠페터 국제보도상은 위르겐 힌츠페터 영상기자의 정신을 본받아 인권을 지키고 정의를 구현하는 현장과 역사의 기록자로서 ...
    Date2021.11.01 Views265
    Read More
  20. 전시비상상황의 취재보도 준칙

    전시-비상상황에서의 취재보도 준칙에 관한 토론회 열려 비상상황에서 새로운 보도 가이드라인 필요 지난 12월 20일 한국언론진흥재단은 ‘전시-비상상황에서의 취재보도 준칙’에 관한 긴급 토론회를 주최했다. 이번 토론회는 천안함 사태와 연평도 포격에서 ...
    Date2010.12.22 Views5382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Next
/ 5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