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회 수 394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인쇄 첨부

1년차 지역총국 영상기자의 반성 

 

 

 8시 50분. 커피 한 잔과 함께 회사에 들어서며 하루가 시작됩니다. 9시 10분. 취재 일정이 나옵니다. 하루에 리포트 하나 정도를 제작하는 게 일반적입니다. 보통은 오전 10시쯤 시작해 3시경이면 현장 취재는 끝납니다. 취재기자는 복귀 후 인터뷰에 쓸 부분을 발췌하고 영상을 돌려 보며 기사를 씁니다.

 

 데스킹 후 오디오를 읽는 시간은 대개 6시에서 7시 사이. 오디오를 읽으면 편집하는 데 약 30분에서 1시간 정도가 걸립니다. 파일을 만들고 뉴스 영상 위에 상단도 직접 넣습니다. 테이프를 녹화하고 편집실에 갖다 주면 일과가 끝납니다.

 

 1년 차 영상기자.

 작년 이맘 때는 현직 기자의 길에 들어섰다는 것 만으로 설렜습니다. 내 시선으로 사람들이 세상을 본다는 것. 그게 가능하기나 한가? 무척 행복했습니다. 그러고 나서 그 이후엔?

 

 시간이 지날수록 한계, 혹은 한계 비슷한 것을 느끼게 됩니다. 다들 경험하셨겠죠? 남들 다 지나가는 사춘기 같은 게 좀 일찍 온 건가? 처음에는 그렇게 생각하며 버텼습니다. 그런데 한계는 멈추지 않고 계속 밀려오더군요. 지역이라서 그런 건가? 아쉬움은 제거되기는커녕 점점 쌓여만 갔습니다.

 

 환경 탓하기 딱 좋은 환경이긴 합니다 - 욕심인지 몰라도 손에 쥐고 있는 건 쉽게 잊게 되기도 합니다.

 

 이미 주어진 작업 환경, 지원이나 도움 없이 많은 것을 감당해야 하는 환경은 뒤집어보면 그만큼 보람이 크다는 말도 됩니다. 예를 들어 뉴스 스튜디오에서 앵커와 대담을 할 수 있는 기회도 있었죠. 직군 특성에 따라 내가 뻗어갈 수 있는 영역 또한 여전히 많을 것입니다.

 

 한 예능 프로그램에서 그러더군요. 어떻게 열 가지가 다 좋을 수 있는가? 그런 인생은 없다.

 

 ‘지역’에 근무하는 ‘영상기자’가 할 수 있는 건 아홉 가지나 있습니다. 남은 한 가지 때문에 부린 투정은 못난 내 마음이 만들어낸 것인지 모릅니다. 이 원고 작성을 계기로 다시 마음을 다잡아 봅니다. 아홉 가지를 가진 자로서 더욱 분발하려 합니다. 협회 선배들께서 많이 도와주십시오!

 

 

박평안 / KBS대전방송총국    KBS 대전방송총국 박평안 (증명사진).png

 

 


  1. KBS 김정은 기자와 함께 삽니다

  2. 1년차 지역총국 영상기자의 반성

  3. 취재현장의 유튜버, 취재의 자유와 방해의 경계에서…

  4. 병아리 깃털과 초콜릿 상자

  5. 제주 수중촬영 교육을 마치며…

  6. 스마트폰 중계, 또다른 도전의 시작

  7. [줌인]힌츠페터가 지금 언론에 시사하는 것

  8. 영상기자의 아내로 사는 법

  9. 펭수는 왜 이렇게 인기가 많을까?

  10. 기독교계 뉴스 취재 현장의 실상

  11. 52시간 근무제를 바라보는 지역방송사 현실

  12. 힌츠페터 국제 보도상 심사 후기 - '응답의 책임감’(answerability)

  13. 헬기 위 영상취재, 매년 반복되는 풍경

  14. 험지 취재에 유용한 경량 백패킹

  15. 채널2의 사회학

  16. 미디어 풍요시대, 필요한 건 미디어리터러시 교육

  17. 관행적인 위반, 바뀌어야 하지 않을까요?

  18. 영상기자에게 출입처란

  19. [2019년 각오] ‘왜 하필’의 가치를 고민하는 시간

  20. 해외 출장 후 자가격리기(記)

  21. 영상기자라는 이야기꾼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Next
/ 11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