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카타르 월드컵 2차 예선

한국 vs 투르크메니스탄 (2)

 
 
 우린 서둘러 호텔로 돌아왔다. 편집하고, 최대한 작은 용량의 파일로 만들어 웹하드에 전송할 준비를 마쳤다. 그런데 이게 웬일? 로그인이 되지 않는다. 몇 번을 시도해도 결과는 마찬가지였다. 혹시 모를 상황을 대비해 준비해 갔던 MBC 자체 웹하드로 접속을 시도해 보았다. 역시나 되지 않는다. 크롬에 네이버 메인 페이지는 정상적으로 열리는데 웹하드만 접속이 되지 않았다. 눈 앞이 깜깜해지고 등줄기에 땀이 흘렀다.
 
 웹하드/MBC 웹하드 접속을 시도해 보았지만 역시나 헛수고였다. 다른 방법을 찾아야만 했다.
 
 천만다행으로 구글 드라이버 접속은 가능했다. 그런데 12초짜리 스텐업 영상을 업로드하는 순간... 마치 지옥의 문이 열리는 끔찍한 순간을 맞이하게 되었다.
 
 ‘업로드 완료 예상시간 1시간 20분.’
 
 이런! 계속 지켜보는데 시간이 줄어들지 않는다. 순간 속으로 신은 죽었다, 를 외치고 싶은 심정이었다. 냉정하게 볼 때 웹하드와 구글 드라이버를 믿고 영상을 송출할 수는 없는 상황이었다. 남은 것은 MNG뿐이다.
 
 다행히 MNG LCD 창으로 보이는 유심 통신 상태는 지난번 테스트 때처럼 선명한 초록빛이었다. 잠시 후 MNG 송수신 담당자와 연락이 닿았다. ‘영상이 수신 서버와 라인에서 확인이 되지 않는다.’
 
 MNG에 사용한 유심이 해외 통신 차단되는 상황인 듯했다. 이것은 내가 처리할 수 있는 것이 아니다. 본사에서 MNG 제작회사로 문의해 해결 방법을 찾아야 한다.
 
 잠시 뒤 MNG 본사에서 중국 지역 중계탑을 이용하면 송출이 가능할 것 같다는 답변이 왔다.
 
 수신 서버에 영상이 보인다!
 
 영상 송출 상태는 썩 좋지 않았다. 소위 깍두기처럼 조각조각 나는 상황. 재송출을 여러 번 해야만 하는 상황이었다. 우여곡절 끝에 4번의 재송출. 각사 인제스트에서 문제가 없을 것 같다는 답변을 듣고 안도의 한숨을 내쉬었다. 3시간이 3일처럼 길게 느껴졌다. 마치 지옥을 맛보고 온 듯한 느낌이었다.
 
 대사관 쪽에 문의하자 대통령 방문 전 문체부 담당자들이 방문해 기자실에 관한 모든 시스템을 투르크메니스탄 협조를 받아 설치하고 작업을 해 놓아서 인터넷 상황에는 문제가 없었다는 답변을 들었다. 씁쓸한 맘을 지울 수가 없었다.
 
 드디어 결전의 날!!
 
 경기가 열릴 아슈가바트의 코페트다그 스타디움. 도착하자마자 기자석에 자리를 잡았다. 기자석이라는 게 고작 중앙 스탠드 앞쪽에 테이블 몇 개를 가져다 놓은 게 전부였다. 무선 와이파이를 설치해 놓았지만 외부 어플은 사용할 수 없었다. 기자석을 벗어나면 그것도 연결이 끊겨 사용이 불가능했다. 경기 시작 시간이 다가오면서 관중석이 차자 핸드폰이 불통되어 전화조차도 쓸 수 없었다.
 
 주심의 휘슬이 울리며 경기가 시작되었다. 약 3만 명의 현지 응원단이 일방적인 응원을 펼쳤다. 경기는 우리 대표팀의 2대0 완승.
 
 경기 전 그라운드 피치에서 촬영은 불가능했다. 기자석 중앙에 포인트를 잡았다. 촬영과 동시에 편집도 병행했다. 경기 종료 후엔 기자회견이 이어졌다.
 
 인파를 뚫고 경기장을 빠져나온 우리는 호텔로 향했다. 경기가 끝난 다음 날 새벽 5시까지 곧바로 공항으로 이동을 해야 하는 일정. 아슈가바트에 머물 수 있는 시간도 얼마 남지 않았다.
 
 호텔 복귀 후 마지막 송출 영상을 웹하드로 업로드했다. 어느덧 호텔 체크아웃을 해야 할 시간이었다. 이곳에서 보낸 3박 4일이 주마등처럼 머리를 스쳤다. 취재 말고 다른 기억은 떠오르지가 않는다. 그만큼 일에 몰두해 긴박하게 보낸 시간이다.
 
 이곳에서의 추억을 기억에 담고 동고동락한 노트북 전원을 껐다. 공항으로 향하는 버스 안에서 VPN을 연결해 데스크 선배께 문자를 남긴다.
 
 “지옥을 맛보고 복귀합니다.” 첫날 이후로 웹하드는 문제없이 접속됐다. 업로드 속도도 빨랐다. 왜 그땐 모든 웹하드가 차단되어 접속되지 않았을까. 또 어떻게 해서 그 이후에는 전혀 문제없이 접속이 된걸까? 여전히 의문이 풀리지 않고 남은 상태이다.
 
 
서현권 / MBC    서현권 증명사진.jpg

 


  1. 카타르 월드컵 2차 예선 한국 vs 투르크메니스탄 (2)

    카타르 월드컵 2차 예선 한국 vs 투르크메니스탄 (2) 우린 서둘러 호텔로 돌아왔다. 편집하고, 최대한 작은 용량의 파일로 만들어 웹하드에 전송할 준비를 마쳤다. 그런데 이게 웬일? 로그인이 되지 않는다. 몇 번을 시도해도 결과는 마찬가지였다. 혹시 모를 ...
    Date2020.01.10 Views482
    Read More
  2. 아시안게임 취재기 - 우당탕탕 Jakarta

    <아시안게임 취재기> 우당탕탕 Jakarta ▶ 자카르타 팔렘방 아시안게임을 취재하는 필자 인도네시안 타임 도착하자마자 불길한 예감은 적중했다. 아시안게임 델리게이트 레인으로 입국심사는 비교적 빠른 시간에 끝났지만, 위탁 수하물을 찾을 때부터 ‘인...
    Date2018.10.19 Views482
    Read More
  3. 청와대 비순방 취재기

    청와대 비순방 취재기 ▲ 금년 6월, 서울 종로구 삼청동 일대에서 청와대 출입기자단 설렘의 첫발 활주로 한가운데 웅장한 대통령 전용기 앞에서 멋진 포즈의 사진이 첨부된 취재기를 협회보에서 종종 봐왔던 터. 해외순방 취재는 영상기자로서 한 번쯤 경험해...
    Date2020.11.18 Views475
    Read More
  4. 작년과 달리 봄의 생기가 돌지만, 사람들의 삶은 아직

    작년과 달리 봄의 생기가 돌지만, 사람들의 삶은 아직 ▲ 대구카톨릭대학병원에서 확진자 병동 촬영 준비 중인 필자 (MBN 김형성 기자) 어느새 코로나와 맞는 두 번째 봄. 여전히 하루 300~400명의 확진자가 나오고 KF94 마스크를 쓴 채이지만 기나긴 겨울을 견...
    Date2021.05.06 Views470
    Read More
  5. 오늘을 역사로 기록하는’ 영상기자들이 뽑은 2021년 10대뉴스

    ‘오늘을 역사로 기록하는’ 영상기자들이 뽑은 2021년 10대뉴스 코로나19와 싸움 속에서도 새로운 이슈들로 치열했던 2021년의 뉴스현장 한국영상기자협회(회장 나준영)는 지난 12월 15일부터 17일까지 3일간, 전 회원을 대상으로 온라인 투표를 진행해 ‘영상기...
    Date2022.01.07 Views467
    Read More
  6. 긴장과 평화가 공존하는 곳 연평도

    긴장과 평화가 공존하는 곳 연평도 ▲ 연평도에서 북쪽을 주시하면서 취재하는 필자 북한과 가장 가까운 섬 개성 남북연락사무소가 폭파되고 다음 날 선발대로 연평도에 들어갔다. 연평도는 서해 5도 섬 가운데 북한과 가장 가까운 섬이다. 북방한계선(NLL)과는...
    Date2020.09.11 Views467
    Read More
  7. <태풍 취재기> 고글쇼에 대한 단상

    고글쇼에 대한 단상 ▲ 고글은 태풍현장에 안전하지 않았다.<사진> “선배, 그거 뭘까?” 제주총국 보도국에 이상한 놈이 나타났다. 물안경과 비슷하지만 그보다 크고, 스포츠 고글과도 비슷하지만 그것보다 투박하다. 분명한 건 뒤쪽의 밴드를 머리...
    Date2019.11.08 Views466
    Read More
  8. <10.29참사 취재영상기자 간담회> “참사 당시로 돌아간다면 다시 현장취재 할 수 있을지 의문”…현장기자들, 트라우마 ‘심각’

    <10.29참사 취재영상기자 간담회> “참사 당시로 돌아간다면 다시 현장취재 할 수 있을지 의문”…현장기자들, 트라우마 ‘심각’ 협회 차원의 구체적인 참사 취재 가이드라인 개정·취재트라우마 극복 위한 제도적 지원 필요 10.29 이태원 참사가 발생한 지 두 달이...
    Date2022.12.28 Views463
    Read More
  9. 하노이 회담, 그 기억의 단편

    하노이 회담, 그 기억의 단편 호텔, 양국 정상의 잠자리 북미 2차 정상회담이 예정되었던 날짜보다 2주가량 이르게 베트남 하노이에 도착했다. 도착하자마자 시작한 취재는 정상들의 유력 숙소지, 회담 장소 등이었다. 멜리아, jw메리어트, 메트로폴 하노이, ...
    Date2019.05.08 Views462
    Read More
  10. <태풍 취재기> 태풍 취재현장의 생생함과 안전 그리고 그 중간은 어디?

    태풍 취재현장의 생생함과 안전 그리고 그 중간은 어디? ▲ 제17호 태풍‘타파’현장<사진> “위험합니다. 더 떨어지세요!” 지난 9월 22일 제17호 태풍 ‘타파’ 강풍에 주차타워 건물의 외벽 재가 떨어진 상황. 현장 관리자가 ...
    Date2019.11.08 Views456
    Read More
  11. ‘기적의 생환’ 조은누리, 온 국민이 한마음 한뜻으로

    ‘기적의 생환’ 조은누리, 온 국민이 한마음 한뜻으로 ▲ 군ㆍ경찰이 조은누리양을 찾기 위해 수색 작업을 벌이고 있다<사진>. ▲ 지난 7월 23일 충북 청주의 한 야산에서 실종됐다가 열 흘 만에 구조됐던 조은누리 양이 충북대병원으로 이송 되고 있...
    Date2019.09.09 Views455
    Read More
  12. 태풍 콩레이 영덕 강구면을 할퀴고 가다

    태풍 콩레이 영덕 강구면을 할퀴고 가다 지난 10월 6일 강력한 태풍 콩레이가 한반도에 도착한 후 경남 통영을 지나 경북 영덕에 상륙을 했다. 태풍의 이동 속도가 빨라 짧은 시간에 지나갈 것으로 예측되었지만 그 짧은 시간에 경북 영덕 강구면에는 큰 피해...
    Date2018.12.20 Views454
    Read More
  13. 스포츠 정신을 더럽히는 욱일기

    스포츠 정신을 더럽히는 욱일기 2019년 11월 17일 일본 도쿄돔에서 프리미어 프로 12 결승전이 열렸다. 그것도 한일전! 일본 최초의 이 돔야구장은 수용인원 4만 6천 명 규모로, 전일 슈퍼라운드 한일전에 이어 결승전이 열리는 것이었다. 당연히 매진. 시합 ...
    Date2020.01.10 Views450
    Read More
  14. 2018 남북정상회담 평양 취재기

    2018 남북정상회담 평양 취재기 지난 4월 27일 판문점에서 세기의 만남이 이루어졌다. 남북정상이 11만에 다시 한자리에 섰다. 그때의 두 정상은 아니었지만 그때만큼 뜻 깊지 않을 수 없는 날이었다. 하지만, 나는 또 한 번 그들의 특별한 만남을 가까이서 지...
    Date2018.12.19 Views450
    Read More
  15. “슈퍼 태풍이 온다”

    “슈퍼 태풍이 온다” ▲2020년9월23일, 제주서귀포앞바다에입수하는모습 지난 3년 동안, 특히 여름철에 한반도는 각종 자연 재난으로 신음했습니다. 지난 해엔 역대 가장 많은 7개의 태풍이 왔고, 올해 여름에도 강력한 태풍 3개가 잇따라 한반도로 ...
    Date2021.01.08 Views448
    Read More
  16. 영상기자 디지털 팀, 뭘 만들까?

    영상기자 디지털 팀, 뭘 만들까? 1. 글 기사 : “이게 돼?!”- 그냥 ‘글ONLY’ 기사만 써도 출고가 된다?! ‘캡틴 아메리카, 타이완 반도체로 중국 때린다’ - KBS 고형석 기자 TSMC 같은 파운드리 반도체 업체가 미국의 대중...
    Date2021.03.11 Views446
    Read More
  17. ‘보이콧 재팬’ 일본 현지 취재기

    ‘보이콧 재팬’ 일본 현지 취재기 한일 양국의 갈등이 어느 때보다 심각하다. 지난 7월 1일 일본 정부는 당국이 생산하는 품목에 대해 한국 수출 규제를 강화하겠다고 발표했다. 수출 규제의 주요 대상은 우리나라 반도체와 디스플레이 산업의 핵심...
    Date2019.09.09 Views446
    Read More
  18. 태풍의 길목인 제주에서 제8호 태풍 ‘바비’

    태풍의 길목인 제주에서 제8호 태풍 ‘바비’ ▲ 제주시 연동에 신호등이 강풍에 꺽여 휘어진 모습 제8호 태풍 ‘바비’의 발생 소식에 제주도는 초 긴장상태에 돌입했다. 이번 태풍의 이동경로를 보니 제주도가 태풍의 위험반경인 오른쪽...
    Date2020.09.11 Views443
    Read More
  19. 그 시절 우리가 좋아했던 홍콩

    그 시절 우리가 좋아했던 홍콩 ▲ 홍콩거리에서 송환법 반대 시위현장을 취재하는 SBS 박현철 영상기자<사진 왼쪽>. 어린 시절 성룡의 ‘쿵후’ 영화로 시작되었던 홍콩에 대한 동경은 십 대에는 장국영과 주윤발, 이십 대에는 크리스토퍼 도일과 왕...
    Date2019.11.08 Views442
    Read More
  20. 도박에 빠진 청소년들

    도박에 빠진 청소년들 여느 때와 다르지 않은 더운 여름날‘ 청소년 도박의 심각성’에 대해 취재하게 되었다. 폭염에 지쳐 있을 무렵이라 신선하고 흥미로웠다‘. 청소년들이 이렇게 도박에 빠져있습니다.’ 하고 겉핥기식으로 끝날 것이...
    Date2018.10.19 Views439
    Read More
  21. 멈춰있는 시간의 현장

    멈춰있는 시간의 현장 ▲지난 1월 20일, 서울의료원 음압병동 안으로 들어가기 전 방역복을 입고 있는 필자 우리 직업의 매력 중 하나는 다양한 경험을 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제껏 수많은 제한구역과 여러 나라를 경험했다. 주변 친구들은 그런 나를 부러워하...
    Date2021.03.11 Views436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Next
/ 18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