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회 수 449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스포츠 정신을 더럽히는 욱일기

 
 
스포츠 정신을 더럽히는 욱일기 (사진).jpg
 
 2019년 11월 17일 일본 도쿄돔에서 프리미어 프로 12 결승전이 열렸다. 그것도 한일전! 일본 최초의 이 돔야구장은 수용인원 4만 6천 명 규모로, 전일 슈퍼라운드 한일전에 이어 결승전이 열리는 것이었다. 당연히 매진. 시합 두 시간 전부터 관중들의 입장이 시작됐다. 사방 출입문에서 줄지어 내려오는 팬들은 마치 용암이 흘러내려 낮은 곳에 고이는 광경을 연상케 했다. 그라운드 안전망 아래까지 내려온 팬들이 좋아하는 선수들을 찾아 사진을 찍었다. 아마 그 얇은 안전망이 없었다면 이 팬들의 용암은 그라운드 밑까지 흘러 내려갔을지도 모른다.
 
 2015년 초대 대회에서 우승한 한국은 이번 결승에서도 이변 없이 일본에게 멋진 KO를 날려야 했다. 취재진들 사이에서도 대회 2연패에 대한 열망이 끌어올랐다. 나는 이날, 중계 카메라를 대신해 결승 오프닝을 직접 촬영하는 미션을 받았다. 이승엽 해설위원 뒤로 관중이 이미 꽉 차 있었고, 이어폰 없이는 바로 옆에서 외치는 소리도 잘 들리지 않았다. 그래도 얼마나 흥분되는 순간인가? 도쿄돔 현장에서 결승 오프닝을 직접 취재할 수 있는 기회를 갖다니!
 
 여담 하나. 중계 주관사인 SBS의 ENG 포지션은 3루수 쪽 중계카메라 옆자리였다. (오른손 타자가 나올 때 뒤편에 있는 내 모습이 포커스 아웃으로 중계 화면에 보였노라고 귀국 후에 선후배들에게 얘기를 들었다.) 당시 나는 현장에서 내 모습이 중계 화면에 잡힐 수 있다는 건 안중에도 없었다. 파울볼이 운 좋게 날아와 프리미어 12 문구가 박힌 공을 하나 받았으면 하는 바람뿐이었다.
 
 통상 일본의 응원 문화는 한국 못지않게 시끄럽고 열정적이다. 그날 역시 외야수에 밀집된 응원군은 대형 깃발과 북을 이용해 일괄적으로 “NIPPON” 구호와 함성을 지르며 일어났다 앉았다 하며 열띤 응원전을 펼쳤다. 응원 규모, 열기 면에서 일본 쪽은 압도적이었다. 1회 초 김하성, 김현수 선수가 홈런을 쳤을 때 잠시의 정적이 흐른 것을 제외하면 일본의 응원 구호는 경기가 끝날 때까지 도쿄돔을 들었다 놨다 하기에 충분했다.
 
 내가 자리 잡은 3루 쪽 위치에서는 외야 관중을 정면으로 볼 수 있었다. 카메라 익스트림 줌을 이용해 그들의 표정까지 담을 수 있는 위치였다. 전날 슈퍼라운드 마지막 한일전에서 욱일기가 그려진 티셔츠를 입은 일본 관중이 잡혔고 KBO는 주최 측인 세계 야구 소프트볼 총 연맹(WBSC)에 정식으로 문제를 제기했다. 그러나 WBSC는 욱일기 영상이 나가지 않도록 중계 방송사와 협의하겠다는 소극적 태도를 보였을 뿐이다. 결승전 시작 전 욱일기 관련 검사와 같은 대비는 이루어지지 않았다. 당연히 취재진들은 KBO가 WBSC에 문제 제기를 한 지 하루 만에 또다시 욱일기가 나타나지는 않을지 예의 주시했다.
 
 내가 SBS “영상토크”에 올렸듯이 3회 초반 외야 뒤편 출입구 1번 기둥에서 욱일기를 망토처럼 두른 노인을 발견하게 되었다. 앞모습은 일반 옷차림으로 평범해 보였으나, 뒤를 돌 때마다 대형 욱일기가 카메라에 잡혔다. 본인도 떳떳하지 않은지 지정된 응원석이 아닌 계단 뒷줄에서 마스크를 쓴 채 출입문을 들락거리며 응원을 하고 있었다. 경기가 끝난 후에는 입고 있던 망토를 벗어 들고 흔들다 결국 경찰의 제지로 퇴장을 당했다. 시상식이 이뤄지는 마지막까지 그 노인은 욱일기로 무슨 메시지를 주려 했던 것일까.
 
 도쿄돔 입구 안내판에는 응원 깃발 및 현수막은 특정 국가나 지역을 비방하는 내용, 어떤 정치적·종교적 내용도 포함되어서는 안 된다고 명시되어 있었다. 게다가 욱일기는 우리나라를 침략한 일본 군국주의의 상징이며 전범기다. 특히, 태평양 전쟁으로 일본이 아시아 각국을 침략할 때 육군과 해군에서 군기로 사용된 이 욱일기를 한일전이 열리는 경기장에서 망토처럼 두르고 나타난 저의가 무엇인가? 더욱이 내년 자국에서 열리는 도쿄올림픽에서도 욱일기를 제한하지 않겠다고 말한 일본 외무성은 ‘욱일기는 일본 문화의 일부이고 국제적으로 폭 넓게 받아들여지고 있다’라고 주장하고 있다.
 
 내가 취재한 영상의 그 욱일기 노인은 결코 떳떳하게 자기네 문화의 일부로서 응원하지 않았다. 한마디로 성숙한 응원문화라고 볼 수 없다. 일본의 한국 침략 등 전쟁 범죄를 저지른 역사를 떠올리게 한다는 점에서 스포츠 경기 응원에서 욱일기를 사용한다는 것은 스포츠 정신에 어긋난 행동이다. 공명정대하고 순수해야 할 국제 스포츠 이벤트가 프로파간다와 비상식적인 수사로 흠집을 입는다면 이는 일본뿐 아니라 전 세계에 상처를 되새기는 일이 될 뿐이다.
 
 
김흥기 / SBS    SBS 김흥기 증명사진.jpg

 


  1. 안나푸르나, 그 높은 좌절의 벽

    안나푸르나, 그 높은 좌절의 벽 어느 날 아침, 급하게 걸려온 전화벨 소리에 묻어 온 출장 지시. 장소는 네팔이었다. 세상에 가장 높은 산들이 모여 있는 네팔, 그 이후 내용은 귀에 들어오지 않았다. 설마 걸어서 올라가진 않겠지? 엄청 춥겠지? 고산병은 어...
    Date2020.03.12 Views357
    Read More
  2. 스포츠 정신을 더럽히는 욱일기

    스포츠 정신을 더럽히는 욱일기 2019년 11월 17일 일본 도쿄돔에서 프리미어 프로 12 결승전이 열렸다. 그것도 한일전! 일본 최초의 이 돔야구장은 수용인원 4만 6천 명 규모로, 전일 슈퍼라운드 한일전에 이어 결승전이 열리는 것이었다. 당연히 매진. 시합 ...
    Date2020.01.10 Views449
    Read More
  3. 카타르 월드컵 2차 예선 한국 vs 투르크메니스탄 (2)

    카타르 월드컵 2차 예선 한국 vs 투르크메니스탄 (2) 우린 서둘러 호텔로 돌아왔다. 편집하고, 최대한 작은 용량의 파일로 만들어 웹하드에 전송할 준비를 마쳤다. 그런데 이게 웬일? 로그인이 되지 않는다. 몇 번을 시도해도 결과는 마찬가지였다. 혹시 모를 ...
    Date2020.01.10 Views480
    Read More
  4. <태풍 취재기> 태풍의 최전선 가거도, 제13호 태풍 ‘링링’ 그 중심에 서다

    태풍의 최전선 가거도, 제13호 태풍 ‘링링’ 그 중심에 서다 ▲ 제13호 태풍 ‘링링’ 가거도 취재현장<사진> 지난 9월 초, 제13호 태풍 ‘링링’이 한반도를 관통할 것이란 예보가 나왔다. 지리적으로 태풍의 가장 직접적인 영...
    Date2019.11.08 Views612
    Read More
  5. <태풍 취재기> 태풍 취재현장의 생생함과 안전 그리고 그 중간은 어디?

    태풍 취재현장의 생생함과 안전 그리고 그 중간은 어디? ▲ 제17호 태풍‘타파’현장<사진> “위험합니다. 더 떨어지세요!” 지난 9월 22일 제17호 태풍 ‘타파’ 강풍에 주차타워 건물의 외벽 재가 떨어진 상황. 현장 관리자가 ...
    Date2019.11.08 Views456
    Read More
  6. <태풍 취재기> 고글쇼에 대한 단상

    고글쇼에 대한 단상 ▲ 고글은 태풍현장에 안전하지 않았다.<사진> “선배, 그거 뭘까?” 제주총국 보도국에 이상한 놈이 나타났다. 물안경과 비슷하지만 그보다 크고, 스포츠 고글과도 비슷하지만 그것보다 투박하다. 분명한 건 뒤쪽의 밴드를 머리...
    Date2019.11.08 Views466
    Read More
  7. 그 시절 우리가 좋아했던 홍콩

    그 시절 우리가 좋아했던 홍콩 ▲ 홍콩거리에서 송환법 반대 시위현장을 취재하는 SBS 박현철 영상기자<사진 왼쪽>. 어린 시절 성룡의 ‘쿵후’ 영화로 시작되었던 홍콩에 대한 동경은 십 대에는 장국영과 주윤발, 이십 대에는 크리스토퍼 도일과 왕...
    Date2019.11.08 Views440
    Read More
  8. 아세안지역안보포럼 출장이 일러준 방향

    아세안지역안보포럼 출장이 일러준 방향 ▲ 아세안지역안보포럼 회의장 휴가 마지막 날, 울려오는 전화를 받았다. 나의 첫 출장을 알려오는 전화였다. 일본의 화이트 리스트 배제와 관련된 언급이 나올 것으로 예상되는 “아세안지역안보포럼(ASEAN Region...
    Date2019.11.07 Views404
    Read More
  9. 카타르 월드컵 2차 예선 한국 vs 투르크메니스탄 (1)

    카타르 월드컵 2차 예선 한국 vs 투르크메니스탄 (1) ▲ 아슈바하트 올림피아드 경기장 마지막 늦더위가 기승을 부리던 8월 어느 날, 핸드폰 진동이 울린다. 데스크의 전화였다. “여보세요?” “다음 달에 월드컵 예선 출장 좀 갔다 와라! 투르...
    Date2019.11.07 Views351
    Read More
  10. ‘보이콧 재팬’ 일본 현지 취재기

    ‘보이콧 재팬’ 일본 현지 취재기 한일 양국의 갈등이 어느 때보다 심각하다. 지난 7월 1일 일본 정부는 당국이 생산하는 품목에 대해 한국 수출 규제를 강화하겠다고 발표했다. 수출 규제의 주요 대상은 우리나라 반도체와 디스플레이 산업의 핵심...
    Date2019.09.09 Views446
    Read More
  11. [헝가리 유람선 사고 취재기] 화려함 아래 잠긴 슬픔

    화려함 아래 잠긴 슬픔 ▲ 다뉴브강의 야경<사진> 아침에 눈을 뜨면 제일 먼저 스마트폰의 알람을 끈다. 자연스레 화면의 연합뉴스 속보 알림을 읽는다. 지난 5월 30일 아침, 헝가리 다뉴브 강의 유람선 사고, 승객은 모두 한국인들임을 알리는 속보가 떴다. 기...
    Date2019.09.09 Views373
    Read More
  12. 홍콩, 20세기 제국과 21세기 제국 사이에 놓이다

    홍콩, 20세기 제국과 21세기 제국 사이에 놓이다 ▲ 홍콩 시위 현장<사진>. ‘2019年 07月 27日’과 ‘21/07/2019’ 홍콩과 중국은 다르다. 우선, 언어부터 본토의 표준어인 ‘만다린’이 아니고 광둥어와 영어를 쓴다. 심지어 ...
    Date2019.09.09 Views401
    Read More
  13. 무너진 성벽이 준 교훈

    무너진 성벽이 준 교훈 튀어나오고, 깨지고... 전주 풍남문 ‘안전 우려’ 전주 풍남문 일부 성벽이 돌출됐다는 제보가 있었고 현장에 가 보았다. 성벽은 접근을 차단하기 위한 구조물에 가려져 있었다. 시 관계자의 도움을 받아 안으로 들어가 보았...
    Date2019.09.09 Views376
    Read More
  14. ‘기적의 생환’ 조은누리, 온 국민이 한마음 한뜻으로

    ‘기적의 생환’ 조은누리, 온 국민이 한마음 한뜻으로 ▲ 군ㆍ경찰이 조은누리양을 찾기 위해 수색 작업을 벌이고 있다<사진>. ▲ 지난 7월 23일 충북 청주의 한 야산에서 실종됐다가 열 흘 만에 구조됐던 조은누리 양이 충북대병원으로 이송 되고 있...
    Date2019.09.09 Views455
    Read More
  15. 제2의 고향 속초, 이재민들의 여름 나기

    제2의 고향 속초, 이재민들의 여름 나기 ▲ 일부 이재민들이 에어컨 고장으로 선풍기에만 의존해서 여름 나기 하고 있다<사진>. ▲ 이재민들을 위해 조립식 임시 주택이 마련되어 있다<사진>. 강원도 속초는 나의 ‘두 번째 고향’이다. 지역 순환근무...
    Date2019.09.09 Views345
    Read More
  16. [고성 산불 취재기] 화마와의 사투

    화마와의 사투 ▲ 지난 4월 강원도 고성군 야산에서 발생한 산불(사진) 그동안 수많은 화재현장을 취재해 봤지만 이처럼 빠르게 번지고 피해지역이 광범위한 경우는 처음이다. 처음 인제에서 실화로 산불이 발발했고, 고성군에서 다른 산불이 또 붙었다. 고온 ...
    Date2019.07.01 Views548
    Read More
  17. [고성 산불 취재기] 고성 산불 그 후

    고성 산불 그 후 ▲ 불에 타 무너져 내린 집을 떠나지 못한 피해주민이 망연자실하고 있다(사진). ▲ 그을린 나무와 잿더미를 뚫고 대나무 죽순이 다시 자라나고 있다(사진). 산림 2천832ha를 잿더미로 만들고, 1천289명의 보금자리를 앗아간 동해안 산불. 현장...
    Date2019.07.01 Views543
    Read More
  18. 해양 탐사선 ‘이사부 호’ 동승 취재기

    해양 탐사선 ‘이사부 호’ 동승 취재기 ▲ 남태평양 항해 중인 이사부호(사진) 미국령 괌에 가는 출장이 갑작스럽게 잡혔다. 경남 거제항에서부터 북위 6도 부근 적도 해역까지 항해하며 연구 활동을 한 대양 탐사선 ‘이사부 호’의 전 ...
    Date2019.07.01 Views590
    Read More
  19. 하노이 회담, 그 기억의 단편

    하노이 회담, 그 기억의 단편 호텔, 양국 정상의 잠자리 북미 2차 정상회담이 예정되었던 날짜보다 2주가량 이르게 베트남 하노이에 도착했다. 도착하자마자 시작한 취재는 정상들의 유력 숙소지, 회담 장소 등이었다. 멜리아, jw메리어트, 메트로폴 하노이, ...
    Date2019.05.08 Views461
    Read More
  20. ‘극한출장, 베트남 2차 북미정상회담’

    ‘극한출장, 베트남 2차 북미정상회담’ ▶ 할롱베이 크루즈 투어 나서기 직전 크르주 안에서 건배를 제의하는 북한 리수 용 노동당부위원장. ▶ 할롱베이 투어를 떠나는 북측고위급대표단. 북측대표단이 할롱베이를 찾았다는 것 은 북한이 관광산업단...
    Date2019.05.08 Views491
    Read More
  21. 39년 만에 광주를 찾은 전두환

    39년 만에 광주를 찾은 전두환 아침 일찍 눈이 저절로 떠졌다. 3월 11일. 전두환 씨가 광주 법정에 서는 날. 기자 생활 14년 동안 수없이 자료화면을 통해 보고 편집하며 만나온 그의 ‘실물’을 직접 취재한다는 사실이 묘한 긴장감과 설렘을 주었...
    Date2019.05.08 Views389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18 Next
/ 18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