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회 수 365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인쇄 첨부

한국 영화 100年史 속 봉준호, 그리고 김기영


-잊혀진 씨네아스트 김기영-



 사진(MBN 갈무리).png 김기영 기획전 포스터(사진).png


▲ 사진(MBN뉴스 갈무리)                                      ▲ 김기영 기획전 포스터(사진)



 영화 기생충이 아카데미 최고상인 작품상과 칸 황금종려상을 동시에 석권했다. 영화 역사상 이 둘을 동시 석권한 작품은 1945년 빌리 와일더의 잃어버린 주말, 1955년 델버트 만의 주말, 단 두 작품밖에 없다. 기생충은 무려 64년 만에 이 놀라운 기록을 새로 썼다. 한국 영화 역사 100년이 되는 해에 일어난 겹경사였다. 봉준호 감독은 얼떨떨한 얼굴로 연설을 시작했고 이내 특유의 재치로 스콜시즈 감독에 대한 찬양사를 읊었다. 아카데미와 유독 인연이 없었던 스콜세지는 그날 봉준호의 언급으로 박수 갈채를 받는 이색적인 장면을 연출한다. 승자와 패자의 경계가 사라지고 모두가 하나가 되는 순간이었다.


 봉 감독은 제72회 칸영화제 시상식 이후 기자회견에서도 고전 감독을 찬양한 바 있었다. “이번 수상을 통해 아시아에 일본의 구로사와 아키라, 중국의 장이머우 감독만 있는 것이 아니라 故 김기영 감독처럼 한국에도 외국 거장을 능가하는 마스터가 존재 한다는 사실이 널리 알려지길 바란다."


 김기영의 女들


 김기영만큼 자기 세계에 끊임없이 집착한 감독은 드물다. 하녀, 화녀, 화녀82, 충녀 그리고 육식동물 등으로 이어지는 동어반복. 그는 독보적인 스타일리스트라는 수식어를 달고 다녔다. 김기영의 영화에서 남자들은 항상 불안해한다. 그들은 우유부단하고 무능력하다. 반면 그의 영화 속 여자들은 가부장의 위기, 우유부단한 남자들 속에서 점점 미쳐간다. 그의 영화 속에서 남성과 여성의 역할은 언제나 고정적이다. 등장인물들은 집단화 되어 있다. 모든 인물은 감독이 의도한 상징으로 읽힌다. 상징은 김기영의 작품에 굉장히 중요한 요소이다. 부르주아 가정의 계단. 계단을 통해 인물들은 상승과 하락을 반복한다. 이 반복은 점점 가정을 몰락시킨다. 계단은 수직의 불안한 이미지를 상징한다. 봉준호는 김기영의 이 상징에서 기생충의 전체 구조에 대한 영감을 받았노라고 여러 차례 말한 바 있다.


 시대 정서의 영화들


 김기영 영화는 그로테스크하다는 평을 들었지만 그렇다고 시대와 동떨어져 있는 것은 아니었다. 오히려 시대상이 적극 반영되었다.“ <하녀>도 그 시대의 상황이 반영된 영화다. 그 당시는 전라도, 경상도에서 처녀들이 무작정 서울로 올라올 때다... 그런 시대를 알지 못하면 이 영화의 현실감을 이해하지 못한다”라며 김기영 본인이 직접 인터뷰에서 밝히기도 했다. 당시 관객들이 영화를 보다 일어나“ 저년 죽여라”를 외칠 정도였다.  <살인 나비를 쫓는 여자>에서는 청년들의 무기력함을 그려낸다.“ 라면은 먹어 도 먹어도 배가 고프니, 차라리 죽는 게 낫겠군” 주인공은 라면을 끊임없이 먹어댄다. 아무리 먹어도 공허함이 채워지지는 않는다.  이마무라 쇼헤이 감독의 <나라야마 부시코> 보다 20년 먼저 만들어진 <고려장>. 김기영은 이 영화가 단순히 원시시대를 동화처럼 묘사한 듯 보일 수도 있지만, 사실은 4·19 정신, 즉 시대적 억압에 대한 저항 정신을 다룬 측면도 있노라고 밝혔다.


 자신만의 독특한 영화를 만든 김기영은 한국영화 암흑기와 함께 홀연 사라진다. 그러다 1997년 부산국제영화제에서 ‘김기영 회고전’을 통해 부활한다. 1998년 2월 5일, 명륜동 본가가 불에 전소한다. 김기영은 이 화재로 너무나도 영화적인 죽음을 맞이한다. 차기 작으로 준비하고 있던 “악녀”의 원고를 손에서 놓지 않은 채였다. 2020년 한국영화 101주년과 봉준호 감독의 쾌거로 다시 한번 김기영은 주목받는다. 코로나 감염병 때문에 전 세계가 신음 중인 지금 만약 김기영이 살아 있다면 어떤 상징으로 이 시 대를 그렸을까? 아무리 먹어도 배부를 수 없는 라면. 그 라면을 먹으며 배고픔 중에도 삶의 의지를 꺾지 않고 당당히 거리를 걷는 주인공? 김기영이 그렸을 이 시대를 상상해 보는 것으로 김기영, 그리고 김기영의 영화를 추모해 본다.





MBN / 김영진 MBN MBN 김영진 증명사진.png



  1. 제2의 장미란이 아닌 제1의 박혜정을 꿈꾸며

    제2의 장미란이 아닌 제1의 박혜정을 꿈꾸며 ▲ 지난 7월 21일, 충남 서천에서 열린 전국 춘계역도대회’에서 용상 154kg을 ▲ 박혜정 선수가 코치로부터 발로 밟히는 특이한 스트레칭을 받고 있다. 번쩍 들어 올려 한국 주니 어 신기록을 세운 박혜정 선수...
    Date2020.09.16 Views363
    Read More
  2. [취임사] 영상기자 100년을 위해 함께 합시다!

    영상기자 100년을 위해 함께 합시다! ▲한국영상기자협회장 이 · 취임식에서 제27대 나준영 회장이 제26대 한원상 회장으로부터 협회기를 전달받고 있다. 영상기자 역사 60년의 해에 영상기자 100년을 향하여 1961년 12월, 대한민국에 오늘을 영상으로 ...
    Date2021.03.11 Views364
    Read More
  3. 기억의 외주화와 영상의 공공성

    기억의 외주화와 영상의 공공성 미국 911 이후 쌍둥이 빌딩의 폐허 자리에 지하 공간을 유지해 참사를 기억하자고 했던 건축가 다니엘 리베스킨드(Daniel Libeskind)의 제안보다 그 인근에 고만고만한 건물들을 건설하자는 계획은 시민들의 더 큰 반발을 샀다....
    Date2020.07.17 Views364
    Read More
  4. ‘단순실수’가 단순하지 않은 이유

    ‘단순실수’가 단순하지 않은 이유 영상 데스킹, 케케묵은 이야기 최근 몇 개월 동안 KBS뉴스는 보도 영상에 관한 여러 가지 일들로 인해서 큰 홍역을 치렀다. 지난 7월, 일본 불매운동을 소개하는 뉴스에 특정 정당 로고가 노출되는 방송사고가 있...
    Date2020.01.08 Views365
    Read More
  5. 한국 영화 100年史 속 봉준호, 그리고 김기영

    한국 영화 100年史 속 봉준호, 그리고 김기영 -잊혀진 씨네아스트 김기영- ▲ 사진(MBN뉴스 갈무리) ▲ 김기영 기획전 포스터(사진) 영화 기생충이 아카데미 최고상인 작품상과 칸 황금종려상을 동시에 석권했다. 영화 역사상 이 둘을 동시 석권한 작품은 1945년...
    Date2020.05.07 Views365
    Read More
  6. 일반인의 방송출연

    일반인의 방송출연 나는 어릴 때 퀴즈 프로그램을 즐겨 봤다. 일요일 아침마다 하던 ‘장학퀴즈’, 일요일 오후에는 대학생들이 출연한 ‘퀴즈 아카데미’, 혹은‘ 퀴즈 탐험 신비의 세계’를 매주 챙겨봤다. 처음에는 어렵다가 나중에는 비슷비슷한 질문이 많아 적...
    Date2020.07.16 Views366
    Read More
  7. 드라마는 감독의 작품인가

    드라마는 감독의 작품인가 1. “습관이 이상하게 들어 시나리오를 집이나 사무실이 아닌 카페나 커피숍에서 쓴다. 영화가 개봉할 때쯤에 가보면 그 커피숍이 망해서 없어졌다.” 2020년 미국 헐리우드비평가협회 시상식에서 각본상을 수상한 ‘...
    Date2020.03.11 Views367
    Read More
  8. 세상의 민주주의를 위한 , 세상에 없던 상의 탄생 힌츠페터국제보도상 제정의 의미

    세상의 민주주의를 위한 , 세상에 없던 상의 탄생 힌츠페터국제보도상 제정의 의미 힌츠페터가 80년 5월 우리에게 보여준 것 - 한 사람의 올바른 감시자가 역사의 흐름을 바꿀 수 있다. 한국인에게 1980년 5월은 독재 권력이 국가의 이름으로 시민의 생명과 인...
    Date2021.05.06 Views371
    Read More
  9. Unprecedented - 코로나 1년과 영상기자

    Unprecedented - 코로나 1년과 영상기자 unprecedented : [형용사] 전례가 없는, 미증유의’ MBC에 입사하기 전, 학생들에게 수능 영어를 가르치던 시절 자주 접했던 단어. 하지만 이 단어를 수능 시험지에서 본 횟수보다 지난 1년간 해외 언론의 기사에...
    Date2021.03.10 Views373
    Read More
  10. 한국영상기자협회 입회에 즈음하여…

    한국영상기자협회 입회에 즈음하여… “‘제3의 눈’으로 한국 사회 발전 보도…협회 회원들과 유대 깊어지길” 우선 저희 외신기자단을 회원으로 받아 주신 전국의 모든 회원님들에게 감사 말씀을 올립니다. 이번에 한국영상기자협회 회원으로 가입한 외신영상기자...
    Date2021.09.24 Views374
    Read More
  11. [뉴스VIEW]사회적 분노와 불신, 피해자 고통을 키우는 위험한 범죄자 보도

    사회적 분노와 불신, 피해자 고통을 키우는 위험한 범죄자 보도 범죄자의 서사를 강화시키는 언론의 위험한 보도경쟁 사건보도는 뉴스의 특성상 다른 뉴스에 비해 흥미성을 갖추고 있다. 가해자와 피해자가 존재하는 명확한 서사구조와 원초적인 정서를 자극하...
    Date2022.03.08 Views374
    Read More
  12. 해외 출장의 필수 관문 ‘까르네’ 제대로 알고 계신가요?

     해외 출장의 필수 관문 ‘까르네’ 제대로 알고 계신가요?  ▲ 까르네 클레임 사본. 아주 간단한 메일이지만 클레임 해소가 되지 않으면 상당한 금액의 세금을 납부해야만 한다. 연말연시면 으레 다양한 인사들이 오간다. 연락이 뜸했던 취재원의 안부 문자에...
    Date2023.06.28 Views375
    Read More
  13. 이제 자야지? 이재야!

    이제 자야지? 이재야! ▲막 태어난 딸 '이재'를 처음 안아보는 필자 2020년 11월 2일 아침 6시 아내에게 진통이 찾아왔다. 불안감과 설레는 마음을 뒤로 하고 야간 근무를 서기 위해 오후 4시 30분 회사로 출발했다. 다음날 오전 3시, 성남에 사는 처제...
    Date2021.01.07 Views376
    Read More
  14. [줌인] 수색꾼에게 필요한 것, 단 한 명의 친구, 동지

    수색꾼에게 필요한 것, 단 한 명의 친구, 동지 역사적으로 봐도, 진실과 정의는 언제나 높은 곳에 감춰져 있었다. 그것이 알려지거나 폭로되면 불편해지는 이들이 높고 깊고 후미진 데에 진실을 숨겨 놓았기 때문이다. 의미 있는 사실일수록 우연히 땅에 떨어...
    Date2019.09.09 Views377
    Read More
  15. 기억의 상처를 안고

    기억의 상처를 안고 ▲ 한강에서 구조대원들이 시신을 수습하고 있다. 몇 날 며칠을 쉬지 않고 비가 내렸다. 시커멓게 변한 한강은 점점 수위를 높이며 주변 공원들을 삼켜나갔다. 그칠 줄 모르고 내리는 폭우에 취약시설이 붕괴되고 저지대가 침수되는 사고가 ...
    Date2019.07.02 Views378
    Read More
  16. [줌인] 포비아와 왜(倭)신

    포비아와 왜(倭)신 국내에서 처음 코로나19 확진자 및 사망자가 한두 명씩 나올 때까지만 해도 코로나19는 자기 진면목을 온전히 보여주지 않았다. 당시엔 그 누구도 코로나19가 이렇게까지 파괴적일지 알지 못했다. 코로나19 감염병 발생 초기, 국내 언론은 ...
    Date2020.05.07 Views378
    Read More
  17. 영상기자와 유튜브

    영상기자와 유튜브 올드미디어의 시대가 저물고 있다. 2019년 기준 지상파 방송사의 광고시장 점유율은 36.7%로 2015년 55.0%보다 20% 가까이 급감했다. 방통위가 시행한 ‘2019 방송매체 이용행태’ 조사에서는 스마트폰을 필수 매체로 선택한 응답...
    Date2020.09.16 Views379
    Read More
  18. [초상권] 살인하면 영웅이 되는 나라

    살인하면 영웅이 되는 나라 서울 구로구에 위치한 모텔에서 종업원으로 근무하고 있던 장대호(38)라는 사람이 투숙객 A씨와의 다툼 끝에 살인을 했다. 범행 동기에 대해서 그는 추호도 반성의 기미를 보이지 않으면서 “반말을 했고, 숙박비 4만 원을 주...
    Date2019.09.09 Views381
    Read More
  19. 워킹대디도 힘들어요

    워킹대디도 힘들어요 ▲ OBS 강광민기자 가족 워킹맘은 힘듭니다. 육아만 하는 것도 너무 힘든데 직장 일까지 같이 해내는 엄마들은 얼마나 더 힘들까요? 이에 대한 사회적 공감이 점점 늘고 있습니다. 최근에 남성의 육아 참여가 늘어나는 것도 같은 맥락입니...
    Date2019.11.06 Views382
    Read More
  20. [릴레이 기고 - 협회에 바란다①] 내 삶과 가까운 협회, 내편이 되어주는 협회

    내 삶과 가까운 협회, 내편이 되어주는 협회 협회장에 취임한 지 두 달이 되어갑니다. 협회업무 인수인계, 새로운 사업들의 준비, 협회사업과 연관된 사람들을 만나다보니, 두 달이라는 시간이 순식간에 지나가 버렸습니다. 협회장 출마를 마음먹었을 때, 전국...
    Date2021.05.06 Views382
    Read More
  21. [뉴스VIEW]노동이 사라진 대선, 영상이 사라진 방송 뉴스

    뉴스VIEW 노동이 사라진 대선, 영상이 사라진 방송 뉴스 노동이 사라진 대선이라고 합니다. 그런데 ‘노동’은 대선에서만 사라진 것이 아닙니다. 언론에서도 ‘노동’은 사라졌습니다. 얼마 전 당선이 유력한 국민의힘 대선 후보인 윤석열의 ‘최저임금제’, ‘주52...
    Date2022.01.06 Views384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Next
/ 11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