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회 수 353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인쇄 첨부

[줌인] 이유 있는 뉴스 신뢰도 꼴찌, 한국 언론





 “유시민은 솔직히 개인적으로 한 번 쳤으면 좋겠어요. ... 사실 유를 치나 안 치나 뭐 대표님한테 나쁜 건 없잖아요. ... (협조) 안 하면 그냥 죽어요. 지금보다 더 죽어요. ... 이렇게 하면 실형은 막을 수 있어요. 가족은 살릴 수 있어요. 가족을 어떻게 살릴 것이냐. 그 부분은 이제 잘 조율을 해야죠.”


 “언론에서 때려 봐. 당연히 반응이 오고 수사도 도움이 되고 이거는 당연히 해야 되는 거고 양쪽(검찰과 언론)에 도움이 되는 것이다.” - 2020. 3. 31


  MBC 뉴스데스크 보도 내용 중 일부 MBC 뉴스데스크가 폭로한 녹취록의 내용은 자못 충격적이었다. 하지만 이 기사가 지닌 폭발성, 가치 등을 고려할 때 다른 언론사들의 반응은 아주 시들했다. 검찰발 사건에 앞뒤 가리지 않고 집단적으로 달려드는 평소 언론 태도를 생각하면 놀라울 정도다. 혹시 이 사건에 검찰이 불리하게 개입되어 있기 때문일까? 채널A는 자체 진상 조사를 구실 삼아 검찰 압수수색을 거부했고, 두 달쯤 지난 5월 22일, 자사 뉴스 프로그램을 통해 뜻이 모호한 조사 결과를 내놓았다.


 “조사 결과 저희 기자가 검찰 고위 관계자와의 친분을 과시하며, 이를 취재에 이용하려 한 사실을 확인했습니다. 명백한 잘못이고, 채널A의 윤리강령과 기자 준칙에 어긋나는 일입니다.”

-5월 22일 채널 A‘ 뉴스A’ 앵커 클로징 멘트 중


 해당 기자는 자사가 벌이는 진상 조사 전에 이미 노트북 PC를 포맷하고 두 대의 핸드폰을 초기화해 데이터를 모두 삭제했다. 지휘 책임이 있는 보도부의 상급자들 역시 카톡 메시지 등 해당 기자와의 통신 기록을 삭제한 상태였다. 가장 중요한 것이 빠진 채로 벌인 조사의 결론은 이것이 기자 개인의 취재 윤리 위반이라는 것이었다. 채널A는 6월 25일, 인사위원회를 열어 해당 기자를 해고했다.


 검찰은 폭로 보도 후인 4월 8일, 검찰총장 지시로 대검 인권부에 사건 조사를 맡기는 등 뜨뜻미지근한 태도로 일관하다 여론의 비판에 직면했다. 검찰의 대응은 조직적으로 해당 검사를 보호하려는 무리한 제스처로 읽혔다. 결국 법무부가 보도 석 달 만인 지난 6월 25일, 한동훈 검사장에 대한 직접 감찰에 착수했다. 동시에 한동훈 검사장을 전보 조처했다. 이른바 검언유착, 즉 표적수사와 이를 받아 적어 보도하는 언론의 관행은 진화를 거듭해 오늘에 이르렀다. 부끄럽기 짝이 없다. 검찰과 언론, 이 듀오가 만들어내는 증오, 반인간적 광기는 숱한 비극을 양산했다. 이는 심각한 사회 문제로 지적되어 왔다. 2017년 국정농단 사태 와중에 당사자인 대통령과 비서들, 장관 못지 않게 검찰과 언론이 개혁(처벌) 1순위로 꼽힌 이유다. MBC 폭로는 이 두 권력의 검은 그림자가 여전히 우리 사회에 뿌리 깊게 드리워져 있음을 시사한다. 검찰, 언론 두 권력이 자신들이 타깃 삼은 부정에 대해 치는 칼은 지나치다 싶을 정도로 가혹하고 잔인하지만, 이들의 칼날은 지극히 선택적 이고 자의적이다. 무엇보다 검찰, 언론 자신들의 문제에는 철저히 관대하다. 언론은 권력을 감시해야 하지만 그 권력 리스트에 언제나 검찰이 빠져 있다. 대한민국 사회의 권력 카테고리 안에 가장 지속적이고 파괴적인 권력이 검찰이었는데도 말이다. 그리고 이 리스트엔 부끄럽게도 언론 자신 역시 빠져 있다. 검찰과 언론, 대한민국 사회를 관통하는 이 두 권력이 짜고 치는 듯한 무서운 진실 게임이 언제쯤 끝날까? 언제쯤 이 공고한 광기의 카르텔에 균열이 일까?


 지난 6월 13일 한국언론진흥재단이 영국 옥스퍼드대학교 부설 로이터저 널리즘연구소와 공동연구 발간한『디지털뉴스 리포트 2019에 따르면 우리 나라 뉴스 신뢰도는 조사 대상 38개국 가운데 최하위였다. 조사 시작 후 벌써 4년째 내리 꼴찌다. 이 결과는 비판과 감시라는 기능을 사실상 상실한 채 권력 놀이를 즐기고 있는 언론 행태에 따른 필연적인 결과가 아닐까? 하지만 언론인들이 정작 이것을 얼마나 진지하고 두렵게 받아들일지는 의문이다.



김정은  /  편집장  80bd43629d1aee725d3202b2f5daa482.jpg






  1. 스마트폰 맛집 투어

    스마트폰 맛집 투어 ▲ 맛집 음식 ‘오늘 점심은 무엇을 먹을까?’ 보통 직장인들이 하루 중 가장 많이 하는 고민 일 것이다. 하루하루 전국 방방곡곡을 누비는 우리들의 고민도 크게 다르지는 않다. '끼니 때우기’ 로 치자면 흔한 순댓국집이나 해장국집 등을 찾...
    Date2020.05.07 Views363
    Read More
  2. 기억의 외주화와 영상의 공공성

    기억의 외주화와 영상의 공공성 미국 911 이후 쌍둥이 빌딩의 폐허 자리에 지하 공간을 유지해 참사를 기억하자고 했던 건축가 다니엘 리베스킨드(Daniel Libeskind)의 제안보다 그 인근에 고만고만한 건물들을 건설하자는 계획은 시민들의 더 큰 반발을 샀다....
    Date2020.07.17 Views363
    Read More
  3. [취임사] 영상기자 100년을 위해 함께 합시다!

    영상기자 100년을 위해 함께 합시다! ▲한국영상기자협회장 이 · 취임식에서 제27대 나준영 회장이 제26대 한원상 회장으로부터 협회기를 전달받고 있다. 영상기자 역사 60년의 해에 영상기자 100년을 향하여 1961년 12월, 대한민국에 오늘을 영상으로 ...
    Date2021.03.11 Views364
    Read More
  4. 일반인의 방송출연

    일반인의 방송출연 나는 어릴 때 퀴즈 프로그램을 즐겨 봤다. 일요일 아침마다 하던 ‘장학퀴즈’, 일요일 오후에는 대학생들이 출연한 ‘퀴즈 아카데미’, 혹은‘ 퀴즈 탐험 신비의 세계’를 매주 챙겨봤다. 처음에는 어렵다가 나중에는 비슷비슷한 질문이 많아 적...
    Date2020.07.16 Views365
    Read More
  5. ‘단순실수’가 단순하지 않은 이유

    ‘단순실수’가 단순하지 않은 이유 영상 데스킹, 케케묵은 이야기 최근 몇 개월 동안 KBS뉴스는 보도 영상에 관한 여러 가지 일들로 인해서 큰 홍역을 치렀다. 지난 7월, 일본 불매운동을 소개하는 뉴스에 특정 정당 로고가 노출되는 방송사고가 있...
    Date2020.01.08 Views365
    Read More
  6. 한국 영화 100年史 속 봉준호, 그리고 김기영

    한국 영화 100年史 속 봉준호, 그리고 김기영 -잊혀진 씨네아스트 김기영- ▲ 사진(MBN뉴스 갈무리) ▲ 김기영 기획전 포스터(사진) 영화 기생충이 아카데미 최고상인 작품상과 칸 황금종려상을 동시에 석권했다. 영화 역사상 이 둘을 동시 석권한 작품은 1945년...
    Date2020.05.07 Views365
    Read More
  7. 드라마는 감독의 작품인가

    드라마는 감독의 작품인가 1. “습관이 이상하게 들어 시나리오를 집이나 사무실이 아닌 카페나 커피숍에서 쓴다. 영화가 개봉할 때쯤에 가보면 그 커피숍이 망해서 없어졌다.” 2020년 미국 헐리우드비평가협회 시상식에서 각본상을 수상한 ‘...
    Date2020.03.11 Views366
    Read More
  8. 세상의 민주주의를 위한 , 세상에 없던 상의 탄생 힌츠페터국제보도상 제정의 의미

    세상의 민주주의를 위한 , 세상에 없던 상의 탄생 힌츠페터국제보도상 제정의 의미 힌츠페터가 80년 5월 우리에게 보여준 것 - 한 사람의 올바른 감시자가 역사의 흐름을 바꿀 수 있다. 한국인에게 1980년 5월은 독재 권력이 국가의 이름으로 시민의 생명과 인...
    Date2021.05.06 Views371
    Read More
  9. Unprecedented - 코로나 1년과 영상기자

    Unprecedented - 코로나 1년과 영상기자 unprecedented : [형용사] 전례가 없는, 미증유의’ MBC에 입사하기 전, 학생들에게 수능 영어를 가르치던 시절 자주 접했던 단어. 하지만 이 단어를 수능 시험지에서 본 횟수보다 지난 1년간 해외 언론의 기사에...
    Date2021.03.10 Views373
    Read More
  10. 한국영상기자협회 입회에 즈음하여…

    한국영상기자협회 입회에 즈음하여… “‘제3의 눈’으로 한국 사회 발전 보도…협회 회원들과 유대 깊어지길” 우선 저희 외신기자단을 회원으로 받아 주신 전국의 모든 회원님들에게 감사 말씀을 올립니다. 이번에 한국영상기자협회 회원으로 가입한 외신영상기자...
    Date2021.09.24 Views373
    Read More
  11. 해외 출장의 필수 관문 ‘까르네’ 제대로 알고 계신가요?

     해외 출장의 필수 관문 ‘까르네’ 제대로 알고 계신가요?  ▲ 까르네 클레임 사본. 아주 간단한 메일이지만 클레임 해소가 되지 않으면 상당한 금액의 세금을 납부해야만 한다. 연말연시면 으레 다양한 인사들이 오간다. 연락이 뜸했던 취재원의 안부 문자에...
    Date2023.06.28 Views373
    Read More
  12. [뉴스VIEW]사회적 분노와 불신, 피해자 고통을 키우는 위험한 범죄자 보도

    사회적 분노와 불신, 피해자 고통을 키우는 위험한 범죄자 보도 범죄자의 서사를 강화시키는 언론의 위험한 보도경쟁 사건보도는 뉴스의 특성상 다른 뉴스에 비해 흥미성을 갖추고 있다. 가해자와 피해자가 존재하는 명확한 서사구조와 원초적인 정서를 자극하...
    Date2022.03.08 Views374
    Read More
  13. 이제 자야지? 이재야!

    이제 자야지? 이재야! ▲막 태어난 딸 '이재'를 처음 안아보는 필자 2020년 11월 2일 아침 6시 아내에게 진통이 찾아왔다. 불안감과 설레는 마음을 뒤로 하고 야간 근무를 서기 위해 오후 4시 30분 회사로 출발했다. 다음날 오전 3시, 성남에 사는 처제...
    Date2021.01.07 Views375
    Read More
  14. [줌인] 수색꾼에게 필요한 것, 단 한 명의 친구, 동지

    수색꾼에게 필요한 것, 단 한 명의 친구, 동지 역사적으로 봐도, 진실과 정의는 언제나 높은 곳에 감춰져 있었다. 그것이 알려지거나 폭로되면 불편해지는 이들이 높고 깊고 후미진 데에 진실을 숨겨 놓았기 때문이다. 의미 있는 사실일수록 우연히 땅에 떨어...
    Date2019.09.09 Views377
    Read More
  15. 기억의 상처를 안고

    기억의 상처를 안고 ▲ 한강에서 구조대원들이 시신을 수습하고 있다. 몇 날 며칠을 쉬지 않고 비가 내렸다. 시커멓게 변한 한강은 점점 수위를 높이며 주변 공원들을 삼켜나갔다. 그칠 줄 모르고 내리는 폭우에 취약시설이 붕괴되고 저지대가 침수되는 사고가 ...
    Date2019.07.02 Views378
    Read More
  16. [줌인] 포비아와 왜(倭)신

    포비아와 왜(倭)신 국내에서 처음 코로나19 확진자 및 사망자가 한두 명씩 나올 때까지만 해도 코로나19는 자기 진면목을 온전히 보여주지 않았다. 당시엔 그 누구도 코로나19가 이렇게까지 파괴적일지 알지 못했다. 코로나19 감염병 발생 초기, 국내 언론은 ...
    Date2020.05.07 Views378
    Read More
  17. 영상기자와 유튜브

    영상기자와 유튜브 올드미디어의 시대가 저물고 있다. 2019년 기준 지상파 방송사의 광고시장 점유율은 36.7%로 2015년 55.0%보다 20% 가까이 급감했다. 방통위가 시행한 ‘2019 방송매체 이용행태’ 조사에서는 스마트폰을 필수 매체로 선택한 응답...
    Date2020.09.16 Views378
    Read More
  18. [초상권] 살인하면 영웅이 되는 나라

    살인하면 영웅이 되는 나라 서울 구로구에 위치한 모텔에서 종업원으로 근무하고 있던 장대호(38)라는 사람이 투숙객 A씨와의 다툼 끝에 살인을 했다. 범행 동기에 대해서 그는 추호도 반성의 기미를 보이지 않으면서 “반말을 했고, 숙박비 4만 원을 주...
    Date2019.09.09 Views380
    Read More
  19. [릴레이 기고 - 협회에 바란다①] 내 삶과 가까운 협회, 내편이 되어주는 협회

    내 삶과 가까운 협회, 내편이 되어주는 협회 협회장에 취임한 지 두 달이 되어갑니다. 협회업무 인수인계, 새로운 사업들의 준비, 협회사업과 연관된 사람들을 만나다보니, 두 달이라는 시간이 순식간에 지나가 버렸습니다. 협회장 출마를 마음먹었을 때, 전국...
    Date2021.05.06 Views381
    Read More
  20. 워킹대디도 힘들어요

    워킹대디도 힘들어요 ▲ OBS 강광민기자 가족 워킹맘은 힘듭니다. 육아만 하는 것도 너무 힘든데 직장 일까지 같이 해내는 엄마들은 얼마나 더 힘들까요? 이에 대한 사회적 공감이 점점 늘고 있습니다. 최근에 남성의 육아 참여가 늘어나는 것도 같은 맥락입니...
    Date2019.11.06 Views382
    Read More
  21. [뉴스VIEW]노동이 사라진 대선, 영상이 사라진 방송 뉴스

    뉴스VIEW 노동이 사라진 대선, 영상이 사라진 방송 뉴스 노동이 사라진 대선이라고 합니다. 그런데 ‘노동’은 대선에서만 사라진 것이 아닙니다. 언론에서도 ‘노동’은 사라졌습니다. 얼마 전 당선이 유력한 국민의힘 대선 후보인 윤석열의 ‘최저임금제’, ‘주52...
    Date2022.01.06 Views384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Next
/ 11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