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회 수 467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긴장과 평화가 공존하는 곳 연평도

 

 

(사진)긴장과 평화가 공존하는 곳 연평도.jpg

▲ 연평도에서 북쪽을 주시하면서 취재하는 필자

 

 

 

북한과 가장 가까운 섬

 개성 남북연락사무소가 폭파되고 다음 날 선발대로 연평도에 들어갔다. 연평도는 서해 5도 섬 가운데 북한과 가장 가까운 섬이다. 북방한계선(NLL)과는 1.5km 떨어져 있고 북한 장재도와는 7km 거리다. 10년 전 군인과 주민 등 4명이 숨진 포격 도발의 상흔이 남은 곳이라 긴장감이 극도로 큰 곳이다.

 

포문이 열리다

 북한의 특이 동향을 포착하는 게 나의 롤이었다. 입도한 지 셋째 날 그동안 해무로 볼 수 없었던 북한 개머리 해안 지역의 포문이 망원렌즈로 포착됐다. 다음날 인근 대수압도에서도 포문이 개방된 것이 관측되었다. 지난 2018년 9·19 남북군사 합의로 해상 완충구역에서 남북 모두 포문을 폐쇄했다. 하지만 눈앞에 포문들은 열려 있었다. 동굴을 파고 안에 들여놓는 형태로 설치하는 북한 해안포는 습기 제거 차원에서 군사 합의 이후에도 포문을 열었다, 닫았다 한 적이 있다. 다만, 지금 같은 상황에서 북한이 여러 개의 포문을 개방했다는 건 남북 간 긴장감을 고조시키기 위한 의도가 다분히 엿보였다. 연평도엔 긴장감이 고조되고 있었다.

 

대피소와 함께 하는 주민들

긴장감이 감도는 가운데 연평면사무소는 불안감을 덜어주려는 의도로 대피소를 취재진에 공개했다. 평소 문화 강좌들이 열리기도 해 대피소는 연평면 주민들에게 익숙한 공간이다. 코로나 19 여파로 대피소의 문을 닫고 있었는데 이번 사태를 계기로 (주민들이 쉽게 들어갈 수 있 게) 번호키가 설치됐다.

 

 연평도에는 8개의 대피소가 있다. 이들 대피소는 2010년 11월 북한의 연평도 포격 이후 차례로 지어졌다. 취재진에 공개된 대피소는 주민 500명을 수용할 수 있는 곳으로, 강당과 취사 시설, 진료소, 비상 발전시설 등을 갖춰 장기간 동안 지내는 데 불편함이 없도록 설계됐다. 언제든 북한의 타격이 가해지면 바로 대피소로 뛰어가기 위해 주민들은 평소에도 외출복을 입은 채 잠을 잔다고 한다. 주민 한 명 한 명 몸으로 기억하는 순간이 있어서다.

 

변한 건 없다

 10년이 지났지만 변한 것은 없다. 연평도 부녀회장 김영애 씨는 어젯밤 천둥소리에 그때가 떠올라 깜짝 놀랐다고 했다.

 

 “천둥소리도 폭탄 떨어지는 소리죠. 그 소리가 나면 자는 중에 깜짝 놀라 핏대가 올라요. 저만 그런 게 아니고 여러 사람들이(트라우마를) 겪고 있어요.”

 

 긴 시간이 지났지만, 주민들은 여전히 2010년을 살고 있었다.

 

 “걱정은 되는데 심하게 걱정하지는 않아요. 일상처럼 자꾸 받아들이고 있는 거죠.”

 

  입도한 지 6일째 되는 날. 후발대와 교대하고 연평도를 떠나는 배에 올랐다. 며칠 지나지 않아 강화도 접경 지역에선 설치됐던 확성기가 철수됐다고 전해졌다. 연평도 주민들은 긴장감 속에서 일상을 살고 있다.

 

 

 

 

박세준 / KBS (사진) 박세준 증명사진.jpg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조회 수
태풍 콩레이 영덕 강구면을 할퀴고 가다 file 2018.12.20 454
‘기적의 생환’ 조은누리, 온 국민이 한마음 한뜻으로 file 2019.09.09 455
<태풍 취재기> 태풍 취재현장의 생생함과 안전 그리고 그 중간은 어디? file 2019.11.08 456
하노이 회담, 그 기억의 단편 file 2019.05.08 462
<10.29참사 취재영상기자 간담회> “참사 당시로 돌아간다면 다시 현장취재 할 수 있을지 의문”…현장기자들, 트라우마 ‘심각’ file 2022.12.28 463
<태풍 취재기> 고글쇼에 대한 단상 file 2019.11.08 466
긴장과 평화가 공존하는 곳 연평도 file 2020.09.11 467
오늘을 역사로 기록하는’ 영상기자들이 뽑은 2021년 10대뉴스 file 2022.01.07 467
작년과 달리 봄의 생기가 돌지만, 사람들의 삶은 아직 file 2021.05.06 470
청와대 비순방 취재기 file 2020.11.18 475
아시안게임 취재기 - 우당탕탕 Jakarta file 2018.10.19 481
카타르 월드컵 2차 예선 한국 vs 투르크메니스탄 (2) file 2020.01.10 481
‘극한출장, 베트남 2차 북미정상회담’ file 2019.05.08 491
한국산‘ 불법 수출 쓰레기’ 필리핀 떠나던 날 file 2019.03.12 496
우리가 아는 ‘팀킴’은 김경두의‘ 킴’이었다 file 2019.01.02 502
지하철 승강장에서 탄생한 아기 file 2020.05.11 517
선거, 새로움을 탐하다(1) file 2020.07.02 525
세상 열심히 변기를 찍다. file 2019.03.12 532
<평양 체류기>-KBS 김대원 2015.11.21 540
[고성 산불 취재기] 고성 산불 그 후 file 2019.07.01 543
[고성 산불 취재기] 화마와의 사투 file 2019.07.01 548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18 Next
/ 18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