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회 수 224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인쇄 첨부

우리만 모르는, 우리 안의 갑질은 없을까?

 

 

울산 스타벅스.png      울산 경비원.png

       ▲ 지난 6월 30일 울산 스타벅스, 매장 직원에게 폭언하는 갑질 손님        ▲ 지난 5월 19일 울산 울주군, 경비업무 중인 아파트 경비원

          <사진/CCTV> 

 

 

 

 # 장면 1

 손님 : 내가 분명히 아이스 라떼 하나, 따뜻한 라떼 하나! 내가 너한 테 X발 이라고 했니? ... 경찰 부르세요, 그러면... 아가씨가 미안하다고 하면 되는 일 아니에요?

 

 직원 : 고객님 죄송해요.

 

 울산의 한 음료 매장에서 주문한 음료가 잘못 나왔다며 손님이 직원 멱살을 잡고 폭언하는 장면이다.

 

 # 장면 2

 입주민 : 아니 맨날 붙입니까, 한두 번도 아니고. ... 아 XX 진짜 죽여 버릴까... 못 배워 처먹어 가지고.

 

 경비원 : ...

 

  울산의 한 아파트 입주민이 불법 주차 스티커를 붙였다며 경비원에게 폭언하는 장면이다.

 

 최근 두 개의 리포트를 편집하면서 이 대화를 반복해 들어야만 했다. 칼날처럼 날카로운 목소리가 지금도 귓가에 맴도는 듯하다. 피해자들이 누군가의 딸, 누군가의 아버지라고 생각하면 가슴이 먹먹하다. 이런저런 생각이 끝도 없이 머릿속을 맴돈다. 그러다가 문득 궁금해졌다. 혹시 우리 기자들은 이러한 갑질 행태가 없을까? 인터넷 검색창에 ‘기자 갑질’, ‘언론 갑질’이라고 검색하니 여러 사례가 검색된다.

 

  취재 중 ‘갑질’ 논란

  툭하면 욕설에 폭행, 언론계 갑질주의보

 ‘안하무인’ 기자 갑질에 부글거리는 지자체들

 

 미국 뉴욕타임스는 ‘갑질(Gapjil)’이라는 단어를 한국어 표현 그대로 소개하며 지난 2014년 발생한 대한항공의 ‘땅콩 회황’ 사건을 소개했다. 이 신문은 재벌이라고 불리는 한국 특유의 가족 대 물림에 대해 소개하고, 갑질이란 이들이 법 위에 있는 듯한 행동으로 중세 봉건사회 영주처럼 부하직원이나 하도급 업자 등을 다루는 행위를 뜻한다고 덧붙였다.

 

 언젠가부터 ‘기레기’라는 단어가 흔하게 사용되고 있다. 또 길거리에서 시민들 붙잡고 인터뷰를 시도하는 것조차 조심스럽다. 변 화된 현실은 우리들 입장에서 조금 억울한 면이 없지 않지만 스스로를 돌아보는 따끔한 기회로 삼는다면 결코 나쁘지만은 않으리라. 머릿속에 몇 가지 사례들이 떠올랐다. 공보 담당자에게 촬영 대상자 섭외부터 인터뷰 내용까지 세팅해 달라는, 단순히 취재 편의를 넘어서는 것을 요구하는 것, 그림을 만들기 위해 무심코 안전을 무시하는 행위, 무리한 연출 요구, 각종 워크숍이나 체육대회 명목으로 기업체로부터 경품 협찬을 받는 것, 후배 기자나 오디오맨 등에게 막말과 폭언을 일삼는 것까지. 그리고 극히 일부겠지만, 취재 중 대접받는 식사나 기념품 제공까지, 어쩌면 갑질은 우리가 생각하는 것 이상으로 다양하게 존재하고 있는지 모른다.

 

 지금까지 당연하게 여겨왔던 것들이 시대가 바뀌면서 갑질로 지목되고 있다. 세상의 변화에 맞게 기자 사회 역시 변화해야 한다. 언론에 대한 불신이 최고조에 달해 있는 만큼 변화를 미룰 수는 없다. 우리 스스로 한 번쯤 자성하고 점검할 수 있길!

 

 

 

전상범 / 울산MBC (사진) 전상범 증명사진.jpg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조회 수
<특별기고> 콘텐츠 빠진 새로운 판짜기 file 2017.05.23 536
‘한반도 위기설’을 선동하는 일본의 의도 file 2017.05.23 639
<특별기고> ‘보도되는 자의 권리’이자 ‘보도하는 자의 윤리’로서 ‘초상권’ -류종현 초빙교수 - 부산신문방송학과 file 2017.06.06 763
<특별기고> 대통령선거와 카메라기자 - 이민규 교수 - 중앙대학교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부 file 2017.06.06 698
<새 정부에 바란다> 문재인 정부가 추진해야 할 언론 개혁 과제 file 2017.06.06 564
<새 정부에 바란다> 방송의 공공성을 회복하고 공정성을 확보해야 -김우철 /MBC - file 2017.06.06 711
알면 알수록 재미있는 몸짓 언어의 세계 file 2017.07.20 3039
지상파 UHD 방송 현황 file 2017.07.20 1472
다기능 멀티플레이어가 요구되는 시대 file 2017.07.21 678
‘가짜 단독’을 없애기 위한 우리의 ‘진짜 노력’ file 2017.07.21 595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에 대한 한일 합의의 문제점과 해결의 길 file 2017.07.21 945
드론의 구체적인 제도화가 필요하다 file 2017.08.30 575
아시아·태평양전쟁에 있어서 원자폭탄의 정치·군사적 함의 file 2017.08.30 593
수중 촬영에서 피사체를 쉽게 찍을 수 없을까 file 2017.11.04 511
필사는 창작의 왕도 file 2017.11.04 613
북한 개성 방문기 file 2017.11.04 841
한국 미디어가 주시해야 하는 ‘소리 없는 세계통화전쟁’ file 2017.11.04 605
특별기고- 공영방송 지배구조를 위해 file 2017.11.04 613
故 MBC 김경철 기자 10주기 추모글 file 2018.01.10 660
국제정세를 어떻게 읽을 것인가 file 2018.01.10 83807
일곱 번의 연기 끝에 성사된 '조용필 평양공연' file 2018.01.10 1414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Next
/ 11
CLOSE